기타/각종정보

「구례 천은사 극락보전求禮 泉隱寺 極樂寶殿」보물 지정

노촌魯村 2019. 5. 26. 02:59

구례 천은사 극락보전보물 지정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50구례 천은사 극락보전(求禮 泉隱寺 極樂寶殿)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2024호로 지정하였다.

 

구례 천은사 극락보전(이하 극락보전)은 천은사의 주불전으로 1774(영조 50)에 혜암선사(惠庵禪師)가 중창하면서 세워졌으며, 중생들의 왕생극락을 인도하는 아미타불을 주불로 하여 정면 3, 옆면 3칸 규모의 다포계 팔작지붕 건물이다.

* 중창(重創): 낡은 건물을 헐거나 고쳐서 다시 새롭게 지음

* 다포(多包式): 공포를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배열한 공포 형식

 

극락보전의 특징은 내부에 높게 세운 기둥인 고주(高柱)의 윗부분에서 대량(大樑)과 툇보를 일체화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높인 가구(架構) 구성뿐만 아니라 전체 규모는 크지 않으면서도 내부 고주를 뒤쪽으로 좀 더 옮기고 양옆에 보조기둥을 한 개씩 세워 넓은 불단과 후불벽(불단 뒤쪽의 벽)을 구성하여 예불공간이 더욱 돋보이고 위엄을 갖추도록 구성하였다.

* 고주(高柱): 한옥에서 대청 한복판에 다른 기둥보다 높게 세운 기둥

* 대량(大樑): 앞뒤 중간 기둥에 걸쳐서 지붕 무게를 받치는 가장 큰 들보

* 툇보(退): 툇기둥과 안기둥에 얹힌 짧은 보. 퇴량(退樑)

* 가구(架構): 기둥이나 공포위에 얹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나 구조물

 

또한, 앞면과 옆면의 공포(栱包)는 풀과 꽃, 봉황머리를 조각하여 화려하게 장식했지만, 뒷면은 장식을 두지 않고 간략히 처리하였다. 그리고 용의 머리와 꼬리를 조각한 안초공(按草栱)의 사용, 섬세하고 화려한 우물천장과 내부 닫집 등의 우수한 조각 기법은 18세기말 다포식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 공포(栱包): 처마의 무게를 받치려고 기둥머리에 짜 맞추어 댄 나무쪽

* 안초공(按草栱): 기둥머리의 내외로 두꺼운 가로재인 평방(平枋)에 직각으로 교차해 끼워 기둥 상부의 공포를 받는 부재

* 닫집: 사찰 등에서 불상을 감싸는 작은 집이나 불상위를 장식하는 덮개

 

극락보전 내부 단청은 안료분석 결과 19세기 이전의 천연안료가 그대로 남아있는 상태로 벽화·단청 채화기법이 뛰어나고 보존상태도 양호하여 조선 후기의 단청 전통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구례 천은사 극락보전은 18세기 말 다포식 불전의 여러 특성을 잘 보여줄 뿐만 아니라 해남 미황사 대웅전(보물 제947)이나 영광 불갑사 대웅전(보물 제830), 나주 불회사 대웅전(보물 제1310)과 비슷한 특징을 보인다는 점에서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역사적, 건축적, 예술적 가치가 충분하다.

 

극락보전이 자리하고 있는 구례 천은사는 지리산 남서쪽 자락에 있는 사찰로 828(신라 흥덕왕 3) 덕운선사(德雲禪師)에 의해 창건되어 감로사(甘露寺)로 불리다가, 1679(조선 숙종 5) 조유선사(祖裕禪師)에 의해 중창된 후 천은사(泉隱寺)로 바뀌어 불렸다.

 

문화재청은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적극적으로 협력해 이번에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된 문화재가 체계적으로 보존활용되도록 노력할 것이다.

보 물 지 정 개 요


종 별: 보물 제2024 

문화재명: 구례 천은사 극락보전(求禮 泉隱寺 極樂寶殿) 

지정내용

ㅇ 소 재 지: 전라남도 구례군 노고단로 209(방광리 70번지)

ㅇ 소유자(관리자): 대한불교조계종 천은사

ㅇ 구조/형식: 목구조(정면3×측면3, 86), 다포, 팔작지붕, 1고주5량가

ㅇ 조성연대: 1774

ㅇ 수 량: 1

ㅇ 지정면적: 201 

지정사유

구례 천은사는 지리산 남서쪽 자락에 위치한 사찰로, 사적기(寺籍記)따르면 신라 흥덕왕 3(828) 덕운선사(德雲禪師)에 의해 창건되어 감로사(甘露寺)라고 불리다가 숙종 5(1679) 조유선사(祖裕禪師)에 의해 중창되면서 천은사(泉隱寺)로 바꾸었음 

ㅇ 천은사의 주불전인 극락보전은 영조 50(1774)에 혜암선사(惠庵禪師)가 중창불사를 일으키면서 세워졌다. 아미타불을 주불로 하며,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의 다포계 팔작지붕 건물임

* 다포(多包式): 공포를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배열한 공포 형식 

극락보전의 특징은 먼저 내부고주와 후면 내부공포의 유기적인 구성 및 내부고주의 상부에서 대량과 툇보를 일체화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높인 가구(架構)구성에서 찾아볼 수 있음

* 고주(高柱): 한옥에서 대청 한복판에 다른 기둥보다 높게 세운 기둥

* 공포(栱包): 처마의 무게를 받치려고 기둥머리에 짜 맞추어 댄 나무쪽

* 툇보(退): 툇기둥과 안기둥에 얹힌 짧은 보. 퇴량(退樑)

* 가구(架構): 기둥이나 공포위에 얹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나 구조물 

ㅇ 그리고 제공(齊工) 살미의 판재화와 일체화를 비롯하여 초화문(草花文)과 봉두(鳳頭)를 새긴 화려한 공포형식과 공포구성의 법식화, 용두와 용미를 조각한 안초공(按草栱)의 사용, 섬세하고 화려한 반자와 보개, 불교 장엄 등에 보이는 우수한 조각 수법 등은 18세기말 다포식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줌

* 제공(齊工): 첨차와 살미가 층층이 짜여진 공포

* 살미: 궁궐이나 성문 따위의 기둥 위 도리 사이에 장식하는 촛가지를 짜서 만든 물건

* 안초공(按草): 기둥머리의 내외로 평방에 직교하여 끼워서 기둥상부의 공포를 받는 부재

* 반자: 방이나 마루의 천장을 평평하게 만들어 놓은 시설

* 보개(寶蓋): 보륜과 수연사이에 있는 덮개 모양의 장식

* 장엄(莊嚴): 아름다움과 훌륭함, 엄숙과 위엄을 나타내기 위해 장식하는 것 

또한, 극락보전 내부 단청은 19세기 이전의 것으로 기법면에서 뛰어나고 보존상태도 양호하여 조선후기의 단청 전통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라 할 수 있음 

이처럼 구례 천은사 극락보전은 18세기말 다포식 불전의 여러 특성을 잘 보여줄 뿐만 아니라 해남 미황사 대웅전(보물 제947)이나 영광 불갑사 대웅(보물 제830), 나주 불회사 대웅전(보물 제1310)과 친연성이 높다는 점에서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역사적, 건축적, 예술적 가치가 충분함


<출처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