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부산 28

범어사 비로전(梵魚寺毘盧殿)과 범어사 미륵전(梵魚寺 彌勒殿)

범어사 비로전(梵魚寺毘盧殿.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 범어사 비로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의 맞배지붕 부불전(副佛殿)으로, 처마는 전면만 부연(附椽)을 둔 겹처마이고, 배면은 홑처마로 되어 있다. 2014년 시행된 비로전 해체수리 때 종도리 밑면에서 발견된 「동래도호부북령금정산범어사비로전상량문(東萊都護府北嶺金井山梵魚寺毘盧殿上樑文)」이란 제목의 묵서(墨書)한 상량문을 통해 1684년(康熙 24)에 중창(重創)된 건물이라는 건축 연혁을 분명하게 알 수 있게 됨으로써 그동안 간접사료에 기록된 범어사 비로전의 건립연대를 확인했을 뿐 아니라, 부산 지역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건물 중의 하나임이 입증되었다. 범어사 비로전의 고졸(古拙)한 익공식 공포(翼工式..

부산 2023.11.19

부산 범어사 대웅전(釜山 梵魚寺 大雄殿)

부산 범어사 대웅전(釜山 梵魚寺 大雄殿. 보물. 부산 금정구 범어사로 250, 범어사 (청룡동)) 경상남도 3대 절 중 하나로 유명한 범어사는 『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르면 의상대사가 통일신라 문무왕 18년(678)에 처음으로 지었다고 한다. 또한 옛날 일본인이 침입했을 때에는 이곳의 승려들이 전쟁에 직접 참여하여 함께 싸우기도 했던 중요한 곳 중 하나로도 알려져 있다. 1993년 문화재연구소 정밀실측 중 대웅전 종도리 묵서명에서 효종 9년(1658) 상량식을 거행한 내용이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 대웅전이 1592년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후 1602년 당시 현감이 임시 복구하였으며 1658년 효종 9년에 중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밖에 암막새 명문과 기단 각자, 목부재 기록 등으로 볼 때 현재 대웅전은 ..

부산 2023.11.19

범어사 팔상·독성·나한전(梵魚寺八相·獨聖·羅漢殿)

범어사 팔상·독성·나한전(梵魚寺八相·獨聖·羅漢殿.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전. 범어사 팔상·독성·나한전(梵魚寺捌相·獨聖·羅漢殿)은 부산 범어사 대웅전(釜山梵魚寺大雄殿)의 서쪽 상단에 위치한다. 범어사 팔상·독성·나한전은 1706년(숙종 32) 이전에 건립된 이후, 1905년(고종 42) 11월부터 1906년 11월까지 약 1년여에 걸친 대공사 끝에 현재의 모습으로 새롭게 단장되었다. 각각의 3불전(佛殿)을 하나의 건물에 융합하였는데, 중앙에 독성전(獨聖殿)을 두고 좌우에 팔상전(八相殿)과 나한전(羅漢殿)이 각각 배분되어 있다. 원래는 중앙의 천태문(天台門)을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팔상전과 나한전이란 별개의 건물이 있었다. ..

부산 2023.11.19

부산 범어사 삼층석탑(釜山 梵魚寺 三層石塔). 범어사 석등(梵魚寺 石燈)

선찰대본산 금정총림 범어사 신라 문무왕 18년(678년), 의상대사가 해동의 화엄십찰(華嚴十刹) 중 하나로 창건하였다. 전국 사찰중에서 유일하게 국보 를 소장하고 있으며, 가장 오래된 판본 중 하나로 권4의 5편에 들어 있는 '의상전교(義湘傳敎)'에는 의상대사가 열 곳의 절에 교를 전하게 해 화엄십찰을 창건하는 내용이 나오고, 이 가운데 '금정지범어(金井之梵魚)' 즉 금정산 범어사가 들어있음이 언급되어 있다. 또한 에는 금빛 나는 물고기가 하늘에서 내려와 우물에서 놀았다고 해서 산 이름이 금정산(金井山)이고 그곳에 사찰을 지어 범어사(梵魚寺)를 건립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화엄경의 이상향인 맑고 청정하여 서로 돕고 이해하고 행복이 충만한 아름다운 삶을 지상에 실현하고자 설립된 사찰로 범어사는 역사적으로 많..

부산 2023.11.18

범어사 보제루(梵魚寺普濟樓)

범어사 보제루(梵魚寺普濟樓.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있는 조선 후기 누각 형식의 건물. 널리 중생을 제도한다는 뜻이 담긴 보제루(普濟樓))에서는 예불(禮佛)과 법요식(法要式)이 거행된다. 범어사 일주문(梵魚寺一柱門)·범어사 천왕문(梵魚寺天王門)·범어사 불이문(梵魚寺不二門)의 삼문을 거쳐 높은 석계를 올라 도달하는 중간 마당의 첫째 건물이 범어사 보제루(梵魚寺普濟樓)이다. 범어사 보제루는 1699년(숙종 25)에 승려 자수의 주관으로 창건되었다. 사적기(事績記)에 의하면 1813년(순조 13)에 승려 신정의 주관으로 중건되었으며, 이후 1827년(순조 27)에 다시 중건된 기록이 있다.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의 단층 건물로, 이익공식(二翼..

부산 2023.11.17

범어사 천왕문(梵魚寺天王門)

범어사 천왕문(梵魚寺天王門.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천왕문. 범어사 천왕문(梵魚寺天王門)은 삼문(三門) 가운데 두 번째 문으로서 사찰의 대문 역할을 하며, 13단의 높은 석계를 오르는 축대 위에 4구의 사천왕상(四天王像)을 봉안한 건물이다. 사천왕은 지상에서 가장 가까운 하늘의 동서남북 사방을 담당하여, 인간이 선을 행하고 악을 행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 불법(佛法)의 수호신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점에서 범어사 천왕문은 범어사(梵魚寺)라는 성역에 이르기 위해 속세의 티끌을 걸러내는 중요한 통과 의례 장치에 해당한다. 범어사 천왕문은 범어사의 일주문인 부산 범어사 조계문(釜山梵魚寺曹溪門)과 중문(中門)인 범어사 불이문..

부산 2023.11.17

범어사 불이문(梵魚寺不二門)

범어사 불이문(梵魚寺不二門.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이문. 범어사 불이문(梵魚寺不二門)은 부산 범어사 대웅전(釜山梵魚寺大雄殿)으로 오르는 축선상의 삼문 가운데 세 번째 문으로, 범어사 보제루(梵魚寺普濟樓)와 연결된다. 범어사 불이문은 1699년(숙종 25)에 승려 자수가 범어사 천왕문(梵魚寺天王門)과 함께 창건하였다. 지금의 건물은 창건 이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최근에 정면 기둥의 초석을 교체하였다.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의 겹처마 맞배지붕 건물이다. 공포는 내외 이출목(二出目)의 주심포작으로 결구되어 있지만 다포식 공포와 흡사한 형상이 특이한 점이다. 불이문은 진리가 둘이 아니고 하나임을 강조한 사찰의 상징적..

부산 2023.11.17

부산 범어사 조계문(釜山 梵魚寺 曹溪門)

부산 범어사 조계문(釜山 梵魚寺 曹溪門. 보물. 부산 금정구 범어사로 250 (청룡동)) 경상남도 3대 절 중 하나로 유명한 범어사는『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르면 의상대사가 통일신라 문무왕 18년(678)에 처음으로 지었다고 한다. 또한 옛날 일본인이 침입했을 때에는 이곳의 승려들이 전쟁에 직접 참여하여 함께 싸우기도 했던 곳 가운데 하나로도 알려져 있다. 이 건물을 세운 시기를 알 수는 없으나 조선 광해군 6년(1614)에 묘전화상이 절내 여러 건물을 고쳐 지을 때 함께 세운 것으로 추측한다. 정조 5년(1781)에 백암선사가 현재의 건물로 보수했다. 앞면 3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한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부산 2023.11.15

부산 복천동 고분군(釜山 福泉洞 古墳群)

부산 복천동 고분군(釜山 福泉洞 古墳群. 사적. 부산 동래구 복천동 일원) 부산 복천동 일대의 구릉 위에 있는 가야 때 무덤들이다. 여러 차례에 걸친 발굴조사로 40여 기의 무덤이 확인되었으나, 대부분의 무덤은 아직도 땅 밑에 남아있다. 무덤의 형태는 땅을 파서 넓은 방을 만들고 나무관을 넣은 덧널무덤(토광목곽묘), 땅속에 네모난 돌로 벽을 쌓고 천장을 덮어 만든 구덩이식 돌방무덤(수혈식석실묘), 땅속에 시체를 바로 묻는 널무덤을 비롯해 여러 가지 형식의 무덤들이 있다. 이 무덤들에는 도굴되지 않은 큰 무덤이 많아 2000점 이상의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굽다리접시(고배), 목항아리(장경호), 토제등잔을 비롯한 토기류는 4∼5세기 낙동강 하류지역의 특징적인 토기들이다. 철제 갑옷·투구류도 다양하게 출..

부산 2023.11.15

부산 복천동 38호분 출토 철제갑옷 일괄(釜山 福泉洞 三十八號墳 出土 鐵製甲冑 一括)

부산 복천동 38호분 출토 철제갑옷 일괄(釜山 福泉洞 三十八號墳 出土 鐵製甲冑 一括. 보물.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로 63 (복천동, 복천박물관)) ‘부산 복천동 38호분 출토 철제갑옷 일괄’은 1994~1995년 부산 복천동 38호분 제5차 발굴조사 시 출토된 4세기 철제 갑옷이다. 종장판주[縱長板冑; 투구], 경갑[頸甲; 목가리개], 종장판갑[縱長板甲; 갑옷]으로 구성되어 지금까지 유일하게 일괄품으로 출토된 사례이다. 출토지가 명확하고 제작시기 역시 뚜렷하여 삼국시대 갑옷의 편년에도 기준이 되는 작품이다. 철제갑옷은 재료의 특성상 부식으로 인해 원형을 파악하기 어려운 반면 동 유물은 보존상태가 좋아 가야 철제 갑옷의 구성형식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철판을 두드려 가늘고 길..

부산 2023.11.15

동파두(銅把頭)

동파두(銅把頭.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로 63 (복천동, 복천박물관)) 파두는 동검이나 철검의 손잡이 끝에 부착하는 특이한 형태의 장식으로, 그 용도에 대해서는 칼자루 끝을 무겁게 하여 손에 쥐었을 때 균형을 잡을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의견이다. 파두의 대부분이 십자형의 조그만 것인데 비해 이 동파두는 십자형 2개를 옆으로 나란히 연결한 쌍십자 모양이다. 축의 끝부분에는 각각 한마리씩 모두 4마리의 말을 세웠고, 십자의 중심에는 커다란 사각기둥의 꼭지를 두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칼자루 끝장식의 형식이나 연대를 밝힐 유물의 양이 극히 적고 그나마 정리가 안 된 상태여서 앞으로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출처 : 문화재청)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복..

부산 2023.11.15

동래부 동헌東萊府東軒

동래부 동헌(東萊府東軒.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로112번길 61[수안동 421-56])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에 있는 조선 후기 동래부의 관아 건물. 동래부 동헌(東萊府東軒)은 조선 시대 동래 도호부(東萊都護府)의 부사가 직접 공무를 처리하던 장소로서 이청(吏廳), 무청(武廳), 향청(鄕廳) 등 각종 관아 건물의 중심이 된 건물이다. 동래부 동헌은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 421-56번지에 위치한다. 동래부 동헌은 1636년(인조 14)에 동래부사 정양필(鄭良弼)이 창건하였다. 같은 해 독진대아문(獨鎭大衙門)[동래부 동헌의 앞대문,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5호]이 건립되었으며, 1700년(숙종 26)에 독진대아문을 개수하였다. 1711년(숙종 37)에는 동래부사 이정신(李正臣)에 의해 ‘충신당(忠信堂)..

부산 2023.11.14

송공단宋公壇

송공단(宋公壇. 부산광역시 동래구 동래시장길 27[복천동 229-78])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에 있는 임진왜란 때 순절한 선열들을 추모하기 위해 만든 제단(祭壇). 1608년 동래부사 이안눌(李安訥)이 해마다 봄가을에만 제사지내던 송공사(宋公祠)에서 동래부사 송상현(宋象賢)이 순절한 4월 15일에도 제사를 지내도록 하였다. 그 뒤 동래읍성 남문 밖 농주산에 전망 제단(戰亡祭壇)을 만들어 해마다 음력 4월 15일[임진왜란 때 동래읍성을 빼앗긴 날] 송상현, 정발(鄭撥), 조영규(趙英圭), 노개방(盧蓋邦), 그리고 임진왜란 때 함께 순절한 이들에게 제사를 지냈다. 1742년(영조 18) 동래부사 김석일(金錫一)이 임진왜란 때 송상현이 순절한 정원루 터에 송공단(宋公壇)을 만들어 농주산 전망 제단의 선열들..

부산 2023.11.13

'월내(부산 기장군 장안읍 월내리 월내마을) ' 1976 VS 2022

울산 태화강역에서 부전행(동해선 전철) 열차을 이용하다, 월내역에 내려 월내항을 구경하고 식당(초산 아구찜)에서 1976년에 촬영된 사진을 보고 현재의 모습과 비교하여 보았습니다. 월내(月內)의 옛 이름은 월래(月來)였다. 명칭의 유래는 여러 가지이다. 먼저, ‘월(月)’은 경주의 옛 이름인 월성과 같이 울타리 또는 성(城)을 의미하며, ‘래(來)’는 서라벌의 라(羅)와 마찬가지로 마을 또는 촌락을 의미하여 성책(城柵)을 가진 마을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본다. 다음으로는 마을 북동쪽 월내천 옆에 이름 없는 큰 못이 풀숲에 덮여 있었는데, 밤에 달이 뜨면 마치 호수에서 달이 솟아오르는 듯하여 달[月]이 큰 못[湖] 안에서 뜨는 마을이라 하여 월호(月湖)라 하다가 1866년(고종 3) 달이 동리(洞里..

부산 2022.01.08

기장죽성리해송(機張竹城里海松)

기장죽성리해송(機張竹城里海松. 부산광역시 기념물. 부산 기장군 기장읍 두호2길 20 (죽성리)) 이 해송은 5그루의 나무가 모여 마치 한 그루의 큰 나무처럼 보이는 노거수로서 수령은 약 250년∼300년으로 추정된다. 해송 종류로서는 좀처럼 보기 드문 빼어난 수형을 가지고 있으며 황학대라 불리는 죽성항 뒤편 언덕 위에 위치하고 있어 경치가 매우 뛰어나 주변에서 보면 그 모양이 매우 아름답고 웅장하다. 예로부터 동네 사람들이 음력 정월 보름에 풍어를 기원하는 풍어제를 지냈을 뿐 아니라 서낭신을 모신 국수당이 있어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장소로서 민속적인 유래도 깊은 곳이므로 문화재적 가치가 높은 자료이다.(출처 : 문화재청) 부산광역시 기장군 죽성리에 수령 약 400년의 곰솔 5그루이다 기장 죽성리해송은 ..

부산 2022.01.08

사이소! 보이소! 타이소! 자갈치크루즈 관광

사이소! 보이소! 타이소! - 자갈치크루즈 - 부산의 남항 일대를 관광하는 해상관광유람선 자칼치크루즈이다. 자갈치시장의 활기차고 정겨운 경치와 부산의 바다경관을 즐길 수 있다. 유람선 선착장이 자갈치시장에 위치해 있어 남포동, 국제시장, 부산타워, 부산송도케이블카 등 유명관광지와 가까이 있어 관광이 용이하다. 유람선은 길이 37.61m, 승선인원은 306명(승무원 포함) 이며 톤수는 379톤이다. 일층은 객실로 좌석 및 음향과 조명 시설을 갖춘 공연장이고, 이층은 객실 및 매점, 삼층은 선상에서 해안 절경과 바다를 감상하기 좋은 데크(Deck 갑판)이다. 운항코스는 자갈치시장 선착장을 출발하여 송도(암남공원), 태종대을 거쳐 자갈치시장 선착장으로 되돌아오며 시간은 약 1시간 30분 정도가 소요된다. 상세..

부산 2021.12.28

자갈치시장 친수공간親水空間에 있는 ‘보리밭’ 노래비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 자갈치시장 친수공간親水空間에 있는 작곡가 윤용하(尹龍河)와 가곡 「보리밭」 노래비이다. 이 노래비에는 악보 원본과 이 노래가 만들어지게 된 배경, 작곡가 윤용하 선생의 생애 등에 관한 기록이 새겨져 있다. `보리밭' 노래비(높이 1.9m, 가로 1.2m)는 버튼을 누르면 `보리밭 사이길로…'로 시작하는 노래가 흘러나온다. 서예가 박후상 씨가 노래를 작곡한 윤용하 선생의 생애와 업적, 가곡 보리밭의 탄생 배경과 악보를 글씨로 새겼다. `보리밭'은 1970년대 음악 교과서에 실리면서 대중의 인기를 얻었으며 현재까지도 국민가곡으로 사랑받고 있다. 보리밭 박화목(朴和穆: 1924~2005)​ 보리밭 사이 길로 걸어가면 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 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 고..

부산 2021.12.27

2020.12.31 부산타워에서 본 풍경

부산찬가(釜山讚歌) 수평선 바라보며 푸른 꿈을 키우고 파도 소리 들으며 가슴 설레이는 여기는 부산 희망의 고향 꿈 많은 사람들이 정답게 사는 곳 갈매기 떼 나는 곳 동백꽃도 피는 곳 아 너와 나의 부산 갈매기 떼 나는 곳 동백꽃도 피는 곳 아 너와 나의 부산 영원하리 뱃고동 울리며 정든 님 찾아오고 웃음 띤 얼굴로 서로 손 잡는 여기는 부산 사랑의 고향 정 많은 사람들이 정답게 사는 곳 갈매기 떼 나는 곳 동백꽃도 피는 곳 아 너와 나의 부산 갈매기 떼 나는 곳 동백꽃도 피는 곳 아 너와 나의 부산 영원하리 부산타워 아름다운 부산을 한눈에 해발 69m에 높이 120m로 지어진 타워로, 경주 불국사의 다보탑과 부산을 상징하는 등대 모양으로 복합 디자인하였다. 1973년 10월에 준공되었으며 탑 내부에는 스..

부산 2021.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