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기타/각종정보

충무공 이순신의 명량대첩 역사를 찾아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 수중발굴조사 착수 / 2016년4월 28일 -

노촌魯村 2016. 4. 29. 04:07

충무공 이순신의 명량대첩 역사를 찾아서

-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 수중발굴조사 착수 / 2016년428-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직무대리 이정훈)는 2016년 4월28일 전남 도군 명량대첩로 해역에서 제4차 수중발굴조사의 시작을 알리고 발굴단의 안전을 기원하는 개수제(開水祭)를 개최한다.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은 조류가 빠르게 흘러 배가 지나가기 힘든 험로이나, 예로부터 해지름길로 알려져 많은 선박이 오갔다. 특히, 이곳은 임진왜란 중 전함 13척으로 일본 전함 130여 척을 무찌른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명량대첩(1597)으로 유명한 울돌목에서 남동쪽으로 약 4km 떨어져 있어 관련 유물을 통해 역사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는 장소이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2011년 이 해역에서 발견된 유물을 불법 매매하려던 도굴범이 검거된 것을 계기로 2012년부터 2014년까지 긴급탐사와 세 차례의 중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조선 시대에 사용된 개인 화기인 소소자총통(小小勝字銃筒) 3점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유물 650여 점을 발굴하는 과를 거두었다.

 

명량대첩로에서 가장 많이 발굴된 유물은 색감이 좋고 장식과 문양이 화려한 최고급 고려청자이다. 강진에서 제작된 기린 모양 향로, 붓꽂이, 베개 등이 대표적이며, 용도를 알기 어려웠던 기대형(器臺形) 청자 2점이 전통 타악기 요고(腰鼓)로 밝혀지는 등, 고려청자 연구에 도움이 되는 유물이 다수 출수되었다.

 

또한, 임진왜란에서 실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총통(銃筒)과 석환(石丸, 돌포탄) 등 전쟁유물들이 최초로 확인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원삼국 시대 토기, 중국의 닻돌, 송나라 시대 동전 등이 발굴되어, 이 해역이 삼국 시대 초기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대외교류를 위한 해상통로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 닻돌: 나무로 만든 가벼운 닻을 물속에 잘 가라앉히기 위하여 매다는 돌

 

올해는 수중지층탐사기(SBP, Sub-Bottom Profiler)로 해저면 하부를 정탐사하여 이상체가 확인된 지점과 유물 집중매장처로 추정되는 곳을 조사할 정으로2016년 1028일까지 진행된다.

 

한편, 2014년까지 진행된 진도 명량대첩로 수중조사에서 발굴된 유물들은 2016년 4월 15일부터 오는 619일까지 서울대학교박물관에서 열리는 명량鳴梁 저유물 특별전에서 만나볼 수 있다.

 

명량대첩로 해역은 유물이 넓은 범위에 흩어져 묻혀있고, 물속에서 시야(0~0.5m)가 확보되지 않아 장기적인 연차 조사가 필요한 곳이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조사와 연구를 통해 임진왜란의 흔적을 찾고, 바닷속 잠든 유물들에 깃든 찬란한 해양문화를 밝혀나갈 계획이다.


<글.사진 출처: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