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경기도 98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楊平 龍門寺 銀杏나무)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楊平 龍門寺 銀杏나무. 천연기념물. 경기 양평군 용문면 신점리 626-1번지)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병충해가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정자나무 또는 가로수로도 많이 심는다. 용문사의 은행나무는 나이가 약 1,100살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42m, 뿌리부분 둘레 15.2m이다. 우리나라 은행나무 가운데 나이와 높이에 있어서 최고 높은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줄기 아래에 혹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나무는 통일신라 경순왕(재위 927∼935)의 아들인 마의태자가 나라를 잃은 설..

경기도 2023.05.30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楊州 檜巖寺址 無學大師塔). 무학대사탑 앞 쌍사자 석등(無學大師塔 앞 雙獅子 石燈). 무학대사비(無學大師碑)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楊州 檜巖寺址 無學大師塔. 보물 제388호. 경기 양주시 회암동 산8-1번지 회암사) 회암사는 고려 충숙왕(1328)때 지공(指空)이 창건하여 조선 순조 때인 1800년대에 폐사된 사찰이다. 조선 전기 왕실의 보호를 받던 절로서 태조 이성계가 늙은 후에 머무르면서 수도하던 곳으로도 유명하다. 절터의 북쪽 능선 위에 지공(指空), 나옹(懶翁)의 승탑과 함께 서있는 이 탑은 무학대사(無學大師)의 묘탑이다. 둘레에는 탑을 보호하기 위한 난간이 둘러져 있다. 회암사의 주지이기도 했던 무학은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활약한 승려로,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와의 관계로 더욱 알려지게 되었다. 이성계의 꿈을 풀이하여 왕이 될 것을 예언한 이야기와 한양천도와 관련된 설화 등은 특히 유명하다...

경기도 2019.04.06

지공선사부도 및 석등(指空禪師浮屠 및 石燈) 그리고 양주회암사지공선사부도비(楊洲檜岩寺指空禪師浮屠碑)

지공선사부도 및 석등(指空禪師浮屠 및 石燈. 시도유형문화재 제49호. 경기 양주시 회암동 산8-1번지) 회암사에 놓여 있는 부도와 석등이다.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신다. 회암사에 서 있는 이 부도는 회암사를 창건한 인도인 승려 지공선사의 사리를 모시고 ..

경기도 2019.04.06

여주 신륵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驪州 神勒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像)

여주 신륵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驪州 神勒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像. 보물 제1791호.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 여주 신륵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은 보살상의 보관과 대좌가 후보(後補)된 것을 제외하곤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주존인 불상을 좌상으로 하고 협시상을 입상으로 한 구성은 ..

경기도 2018.09.14

양평 용문사 금동관음보살좌상(楊平 龍門寺 金銅觀音菩薩坐像)

양평 용문사 금동관음보살좌상(楊平 龍門寺 金銅觀音菩薩坐像. 보물 제1790호.경기도 양평군 용문산로 782-0 (용문면, 용문사)) 양평 용문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은 고려후기 14세기에 크게 유행하여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던 금동보살상의 전형을 보여주는 상이다. 이 유형의 보살상은 현재 대마도 관음사에 봉안되어 있는 서산(瑞山) 부석사( 浮石寺) 금동관음보살좌상(1330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금동관음·대세지보살입상(이왕가박물관 구장(舊藏), 1333년), 국립전주박물관 금동보살좌상, 청양 운장암 금동보살좌상 등을 꼽을 수 있으며 선운사 도솔암 금동지장보살좌상도 같은 양식범주에 넣을 수 있다. 이 형식의 보살상은 살이 많은 방형의 얼굴에, 사실적인 이목구비, 가지런한 앞머리, 어깨 위에 흘러내리는 수발(垂髮..

경기도 201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