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기타 1451

광화문 월대 밑에서 조선 전기 유구 확인- 조선 전기 문화층에서 햇빛 가리는 차일 철제 고정쇠 발견 - 고종 이전 시기의 ‘광화문 앞 공간’ 활용한 물적 증거

문화재청 국립서울문화재연구소(소장 김지연)는 광화문 월대의 복원·정비를 위해 실시한 추가 발굴조사 과정에서 고종년간에 축조된 광화문 월대 하부에서 고종년간보다 앞선 시기의 것으로 보이는 유구의 흔적을 일부 확인하였다. 이번 조사는 2023년 4월 언론공개회를 통해 광화문 월대의 규모와 기초시설, 전체 모습 등 그간 조사가 완료된 성과를 한 차례 공개한 이후에 추가로 실시한 발굴이다. 추가로 발굴한 월대 하부층에 대한 조사 성과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조선시대 전기부터 현재에 이르는 광화문 앞 공간의 퇴적양상과 활용양상을 확인하였다는 점이며, 두 번째는, 고종년간에 월대가 축조되기 이전에도 광화문 앞 공간이 활용되었다는 사실을 조선왕조실록 등의 기록을 통해서만 확인해오다가 이번 발굴조사..

기타/각종정보 2023.05.31

싸리나무

싸리(Lespedeza bicolor)는 낙엽이 지는 활엽관목으로, 높이는 1-2m 정도이다. 가지는 곧지 않고 휘며, 잎은 3출겹잎으로 마주나며 잎자루를 가지고 있다. 잎에 달리는 총상화서는 참싸리와는 달리 잎보다 길다. 작은잎은 둥근 달걀 모양으로, 가장자리는 매끈하며 길이는 2-4cm 정도이다. 꽃은 늦여름에 피는데, 홍자색의 작은 나비꽃이 총상꽃차례를 이루면서 달린다. 열매는 협과로 납작한 원형을 하고 있는데, 속에는 1개의 씨가 만들어진다. 주로 산지에 많으며 한국 각지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국외는 일본, 중국 동북부, 우수리지방에 분포하고 있다. 꽃은 7~8월 핀다.(출처 : 위키백과)

기타/꽃 2023.05.30

엉겅퀴(tiger-thistle, 가시나물, 항가새)

엉겅퀴(tiger-thistle, 가시나물, 항가새) 엉겅퀴(thistle)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한국·일본·중국 북동부에 분포하며, 가시나물·항가새라고도 한다. 높이 50-100cm이고 전체에 흰 털과 더불어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뿌리잎은 꽃필 때까지 남아 있고 줄기잎보다 크다. 줄기잎은 피침상 타원형으로 깃처럼 갈라지고 밑은 원대를 감싸며 갈라진 가장자리가 다시 갈라지고 결각상의 톱니와 더불어 가시가 있다 꽃은 6-8월에 피고 자주색에서 적색이다. 총포의 포편은 7-8열로 배열하고 안쪽일수록 길어진다. 열매는 수과이며 관모는 길이 16-19mm이다. 잎이 좁고 녹색이며 가시가 다소 많은 것을 좁은잎엉겅퀴, 가시가 많은 것을 가시엉겅퀴라고 한다. 연한 식물체와 어린순을 나물로 먹고 성..

기타/꽃 2023.05.30

컴프리(comfrey, 콤푸레, 감부리甘富利)

컴프리(comfrey, 콤푸레, 감부리甘富利) 컴프리(comfrey)는 지치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유럽 원산으로 사료용으로 사용한다. 컴프리는 밭에서 나는 우유, 채소중의 채소로 불릴 만큼 영양성분이 풍부해 미용, 건강식품으로 최고의 명성을 자랑한다. 높이 60-90cm이다. 전체에 흰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난상 피침형. 뿌리에서 나는 잎에는 잎자루가 있고, 줄기의 윗 잎은 잎몸과 잎자루가 구별되지 않고, 잎이 줄기에 연결되어 줄기에 지느러미가 달린 것같이 보인다. 꽃은 6~7월에 피는데 종 모양이고, 엷은 붉은색이거나 자주색이다. 화축은 1-2회 2개씩 갈라지고, 화서의 끝이 말린다. 화관이 얕게 5갈래로 갈라지고, 수술은 5개이며, 열매는 4개의 소견과로 난형이다. 한방에서는 잎과 뿌리를 감부..

기타/꽃 2023.05.27

때죽나무(Japanese styrax, 족나무)

때죽나무(Japanese styrax, 족나무) 때죽나무는 진달래목 때죽나무과의 나무이다. 학명은 Styrax japonicus이다. 속명 Styrax는 ‘안식향을 산출한다’는 뜻의 그리스어 ‘Storax’에서 유래되었는데, 실제로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자라는 때죽나무 중에는 줄기에 흠을 내어 흘러나오는 물을 받아 안식향을 얻었던 것이 있다고 한다. 때죽나무라는 이름은 가을에 땅을 향하여 매달리는 수많은 열매의 머리(종자껍질)가 약간 회색으로 반질반질해서 마치 스님이 떼로 몰려있는 것 같은 모습에서 처음에 ‘떼중나무’로 부르다가 때죽나무가 된 것이라는 설이 있다. 한편, 열매 찧은 물로 물고기를 ‘떼’로 ‘죽’여 잡거나 줄기에 때가 많아 검게 보이는 데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또, 옛날에는 열매와 과피를..

기타/꽃 2023.05.27 (1)

자란초(Korean bugle, 紫蘭草, 큰잎조개나물)

자란초(Korean bugle, 紫蘭草, 큰잎조개나물) 해발고도 500m 이상 되는 지역의 부식질이 풍부하고 습윤한 반그늘 낙엽수림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줄기는 높이 50cm에 달하고 원줄기에 털이 거의 없다. 잎은 마주나며 아래쪽 잎은 작고 위로 갈수록 커진다. 잎몸은 큰 잎의 경우 길이 17cm, 너비 9cm에 달하며 광타원형이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앞면과 뒷면 맥 위에 털이 약간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와 털이 있으며 아랫부분이 좁아져서 잎자루로 흐른다. 꽃은 6월에 짙은 자주색으로 피는데 총상꽃차례는 길이 3cm 정도이고 원줄기 끝 또는 잎겨드랑이에 밀착한다. 꽃받침통은 길이 2.5mm 정도의 도란형이고 10개의 맥이 있으며 털이 다소 있고 열편은 길이 5m..

기타/꽃 2023.05.27

붉은병꽃나무(Old-fashion weigela, 조선금대화朝鮮金帶花, 조선병꽃나무)

붉은병꽃나무(Old-fashion weigela, 조선금대화朝鮮金帶花, 조선병꽃나무) 붉은병꽃나무(학명: Weigela florida)는 인동과 애기병꽃아과에 속하는 낙엽 관목이다. 한국, 중국, 일본에 자생한다.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높이 1~3m, 새 가지는 녹색 또는 붉은색이 도는 세로줄이 있으며, 2년 된 가지는 갈색 또는 붉은 갈색으로 반들거리고 껍질은 어두운 회색이다.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는 길이 1~2 mm, 잎몸은 넓은 타원형으로 길이 2.4~6.2cm, 폭 11~30mm, 밑은 넓은 쐐기 모양이고 끝은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잎 윗면에 털이 있으며 뒷면 잎맥에 거친 털이 있다. 꽃은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가운데까지 갈라지며, 털이 있다. 꽃부리는 붉은색..

기타/꽃 2023.05.27

소래풀(Violet orychophragmus, 보라유채, 제갈채, 제비꽃냉이)

소래풀(Violet orychophragmus, 보라유채, 제갈채, 제비꽃냉이) 중국 원산의 귀화식물이며 덤불숲, 산기슭 등에서 자라는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풀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20~50cm, 아래쪽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흰 가루로 덮여 있다. 뿌리잎과 줄기 아래쪽 잎은 잎자루가 있으며 깃꼴로 갈라진다. 줄기 위쪽 잎은 좁은 난형으로 갈라지지 않으며, 밑부분은 귀 모양으로 줄기를 감싸고, 가장자리는 잔 톱니 모양, 끝은 뾰족하다. 꽃은 5~6월에 연한 붉은색 또는 보라색으로 피며,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꽃잎은 길이 25~30mm로 꽃받침잎의 2배 길이다. 열매는 각과, 7~8월에 익는데 선형으로 길이 5~11cm, 폭 1.5~3.0mm, 4개의 모서리가 있으며, 끝은 뿔..

기타/꽃 2023.05.25 (1)

개양귀비(corn-poppy, 꽃양귀비)

개양귀비(corn-poppy, 꽃양귀비) 개양귀비(-楊貴妃)는 양귀비과에 속하는 식물이다. 꽃양귀비, 우미인초(虞美人草) 등으로도 불린다. 들판에서 흔히 볼 수 있다. 30~80 cm 정도 자라는 두해살이풀로, 보통 붉은색 내지 주황색 꽃이 피지만 흰색 꽃이 피는 것도 있다. 꽃은 3~4장의 단엽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럽에서는 오래전부터 농작물로 재배해 왔으며, 풍년을 상징하는 꽃으로 오랫동안 여겨 왔다. 씨는 빵에 넣어서 먹거나 기름을 짜서 쓰며, 줄기는 채소로, 빨간 꽃잎은 시럽이나 술을 담는 데에 쓴다. 동양의학에서는 복통, 설사 등에 처방한다. 관상용으로는 개양귀비를 개량한 셜리양귀비(Shirley Poppy : 개양귀비P.rhoeas를 개량한 1년생 변종. 꽃은 흰색과 붉은색 또는 흰색과 분홍색..

기타/꽃 2023.05.25

큰금계국(lance-coreopsis)

큰금계국(lance-coreopsis)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이며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던 것이 야생화하여 도로 주변이나 들판의 다소 습한 풀밭에서 흔하게 자라는 높이 30~100cm 정도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잎은 모여나고 줄기잎은 마주난다. 잎몸은 피침형 또는 선형이다. 아랫부분에 있는 줄기잎은 끝이 3갈래로 갈라진다. 열편은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털이 다소 있다. 꽃은 6~8월에 피고 황색이다. 머리모양꽃은 지름 4~6cm이며 긴 꽃자루 끝에 1개씩 달린다. 혀모양꽃은 8개이며 도삼각형 또는 도란형이고 길이 1.3~3cm로서 끝이 깊은 톱니처럼 갈라진다. 관모양꽃은 황색이다. 열매는 수과로 둥글고 길이 2.3~3mm, 8월에 익는데 얇은 날개가 있다. 유사종인 금계국은 한두해살이풀로 재배하며 키와..

기타/꽃 2023.05.24

분홍바늘꽃(fireweed)

분홍바늘꽃(fireweed) 분홍바늘꽃은 바늘꽃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북반구 전역 원산이고, 주로 산이나 들에서 자라며, 한국의 중부 이북에 분포하고 있다. 줄기는 1.7미터 안팎이다. 온몸에 잔털이 있으며, 잎은 피침 모양으로 어긋난다. 꽃은 홍자색으로, 6~8월쯤 되면 줄기나 가지 끝에 큰 총상꽃차례를 이루면서 피는데, 각각의 꽃은 4개의 꽃잎을 가지고 있다. 한편, 씨방에는 흰털이 많이 나 있다. 열매는 9~10월경에 맺고 길이는 8~10cm, 삭과로 가느다란 긴 타원형인데 익으면 4갈래로 벌어지게 된다. 관리법은 직사광을 받지 않는 반그늘의 화단에 심는다. 번식법은 10~11월에 결실하는 종자를 바로 화분에 뿌리고, 이듬해 봄에 새싹이 올라올 때 포기나누기를 한다.(출처 : 위키백과)

기타/꽃 2023.05.24

돌나물(stonecrop, 돈나물)

돌나물(stonecrop, 돈나물) 돌나물은 돌나물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이다. 한국 원산이며 학명은 Sedum sarmentosum이다. 돈나물이라고도 부른다. 뽑아서 아무 데나 버려 두어도 곧 뿌리를 내려 살아날 정도로 번식력이 매우 강하다. 식물 표본을 만들려고 신문지에 넣어 둔 채 한 달이 지나도 새싹을 낼 정도로 건조함에도 잘 견딘다.[1] 산과 들 어디서나 잘 자라며 줄기가 땅에 바짝 붙어서 옆으로 뻗으면서 마디마다 뿌리를 내린다. 잎은 세 장씩 돌려나며 긴 타원 모양이고 도톰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5~6월에 지름 6~10 밀미미터 정도의 노란 꽃이 취산꽃차례로 가득 핀다. 꽃잎은 다섯 장이다. 이른 봄에 김치를 담가 먹거나 어린 순을 나물로 무쳐 먹는다. 흔히 돈나물이라고 한다. 해독..

기타/꽃 2023.05.24

벳지(common-vetch 털갈퀴덩굴, 벨찌, 헤어리베치, 베치, 헤아리벳치)

벳지(학명:Vicia villosa Roth) 북아프리카, 유럽 원산이며 목초용 또는 녹비용으로 재배하던 것이 야생화하여 경작지 주변이나 길가에 자라는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로 귀화식물이다. 줄기는 덩굴지며, 길이 30~70cm, 가지를 치고, 전체에 흰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6~10쌍의 작은잎으로 된 깃꼴겹잎, 끝은 2~3갈래 덩굴손으로 된다. 작은잎은 긴 타원형으로 길이 1.2~3.0cm, 폭 7~10mm, 끝은 둔하거나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턱잎은 2장, 반달 모양으로 길이 5~12mm다. 꽃은 6~7월에 자주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대에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은 종 모양, 끝이 5갈래로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선형, 끝이 뾰족하다. 꽃부리는 나비 모양이다. 열매는 협..

기타/꽃 2023.05.23

펜스테몬

펜스테몬 학명은 Penstemon glaber Pursh이며 꽃말은 은혜이다. 검붉은색의 잎과 줄기는 이국적인 매력을 풍기며 키는 길이가 1m 정도로 자란다. 개화시기는 4~6월이며 꽃색은 적색, 황색, 복숭아색, 청색 등 다채로우며 복합색도 많다. 반상록성이며 노지월동 가능하며 다년초이다. 북아메리카가 고유 서식지인 식물로, 북미에서 매력적인 토종꽃이고 전세계에 약 250종이 분포한다.

기타/꽃 2023.05.22

「4.19혁명기록물」, 「동학농민혁명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역사 담긴 기록물로서의 가치 인정...총 18건의 세계기록유산 보유

2023년 5월 18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16차 유네스코 집행이사회(5.10.~5.24., Executive Board)는 「4.19혁명기록물」, 「동학농민혁명기록물」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UNESCO Memory of the World)으로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하였다. 「4.19혁명기록물」, 「동학농민혁명기록물」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한 역사적 사건에 대한 기록이다. 먼저,「4.19혁명기록물」은 1960년대 봄 대한민국에서 발발한 학생 주도의 민주화 운동에 대한 1,019점의 기록물로, 1960년대 세계 학생운동에 영향을 미친 기록유산으로서 세계사적 중요성을 인정받았다. 또한, 「동학농민혁명기록물」은 1894년~1895년 조선에서 발발한 동학농민혁명과 관련된 185점의 기록물..

기타/각종정보 2023.05.19 (1)

알리움(Onion)

알리움(Onion) 우리가 즐겨먹는 파, 부추 등의 채소가 알리움속 식물에 속하며 우리나라에도 산마늘, 산달래, 참산부추, 두메부추등 13종이 있다. 알리움은 백합과로서 세계적으로 약 300종(어떤 자료에는 700여종) 정도가 북반구의 건조한 평야나 산악지에서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약용, 식용 및 관상용으로 사용되는 것 외에 잡초종류도 무척 많다. 알리움류는 뿌리가 구근인 것들이 대부분이지만 근경(根莖 : 줄기뿌리)인 것도 있다. 원예적으로 재배되는 알리움종을 라틴어로 “마늘”이란 의미로 가을에 심는 추식구근이며, 대부분 봄에 개화하여 여름 6~7월경에 구근을 수확한다. 꽃이 피는 시기도 매우 다양해 봄에 피는 것, 여름에 피는 것, 가을에 피는 것들이 있다. 꽃색도 다양한 편으로 분홍, 진분홍,..

기타/꽃 2023.05.18

송엽국(松葉菊, 사철채송화)

송엽국(松葉菊, 사철채송화) 송엽국(松葉菊)은 번행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남아프리카 원산이다. 이름은 소나무의 잎과 같은 잎이 달리는 국화라는 뜻이며, 흔히 속명인 ‘람프란서스’라고 부른다. 잎이 솔잎처럼 선형이면서 두툼한 다육질이다. 꽃잎은 매끄럽고 윤이 난다.(출처 : 위키백과) 잎은 육질이 두꺼운 원통 모양으로 마주난다. 송엽국속 식물 대부분이 길고 즙이 많은 잎을 가지고 있다. 해가 지면 꽃이 오므라든다.

기타/꽃 2023.05.18

초롱꽃(spotted-bellflower, 자반풍령초)

초롱꽃(Campanula punctata)은 초롱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한국 원산으로 일본과 동부 시베리아에도 분포한다. 햇볕이 잘 드는 들이나 낮은 산에서 자라며, 꽃이 아름다워 심어 기르기도 한다. 키는 30~100 센티미터 남짓이며, 줄기는 곧게 서며 옆으로 기는 줄기가 함께 난다. 전체에 거친 털이 있다. 뿌리에서 나는 잎은 잎자루가 길며 심장꼴 달걀 모양이며, 줄기에서 나는 잎은 잎자루가 아주 짧거나 없고 삼각꼴 달걀 모양이거나 넓은 바소꼴이다. 어긋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6~8월에 종 모양으로 핀다. 꽃이 꼭 초롱 모양 고개를 숙이고 있어 이름이 초롱꽃이다. 흰색 꽃도 있고, 연한 자주색 꽃도 있는데, 꽃의 길이는 4~8 센티미터 정도이고 꽃받침은 5개이..

기타/꽃 2023.05.18

인동덩굴(Japanese honeysuckle , 겨우살이덩굴, 눙박나무, 금은화金銀花, 인동초忍冬草)

인동덩굴(Japanese honeysuckle , 겨우살이덩굴, 눙박나무, 금은화金銀花, 인동초忍冬草) 인동덩굴(忍冬-, Lonicera japonica)은 한반도 각처의 산과 들의 양지바른 곳에 흔한 덩굴성 낙엽관목으로 길이 5m이다. "겨우살이덩굴", "금은등"(金銀藤), "금은화"(金銀花), "인동"(忍冬), "인동초"(忍冬草) 등으로도 불린다. 가을 또는 겨울까지 잎이 붙어 있으며, 줄기는 오른쪽으로 감기고, 소지는 적갈색, 털이 있고, 속은 비어 있다. 잎은 마주나며, 긴 난형,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고, 털이 나 있다. 어린잎은 양 면에 털이 있으나 자라면 없어지고, 뒷면에 약간 남아 있는 것도 있다. 꽃은 처음에는 흰색이나 나중에는 노란색으로 변하고, 잎겨드랑이에..

기타/꽃 2023.05.18

패랭이꽃(Dianthus sinensis, 석죽화石竹花, 남천축초南天竺草, 꽃패랭이, 참대풀이, 지여죽 枝如竹)

패랭이꽃(Dianthus sinensis, 석죽화石竹花, 남천축초南天竺草, 꽃패랭이, 참대풀이, 지여죽 枝如竹) 패랭이꽃(Dianthus chinensis)은 석죽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한국 각지에 널리 분포해 있는 풀로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한자어로 구맥(瞿麥)이라고 하며, 이명으로는 석죽화(石竹花)·거구맥(巨句麥)·대란(大蘭)·산구맥(山瞿麥)·남천축초(南天竺草)·죽절초(竹節草) 등이 있다. 높이가 30cm에 달하고 한 뿌리에서 여러 줄기가 나와 곧추 자라며 전체에 분백색(粉白色)이 돈다. 잎은 마주나고 선형 또는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서로 합쳐져서 짧게 통처럼 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6-8월에 피며 윗부분에서 약간의 가지가 갈라지고 그 끝에서 꽃이 1개씩 핀다. 꽃잎..

기타/꽃 2023.05.17

가자니아(태양국, 학명 Gazania rigens (L.) Gaertn, 영문명 Gazania)

가자니아(태양국, 학명 Gazania rigens (L.) Gaertn, 영문명 Gazania)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훈장국화라고도 한다. 키는 15∼20㎝. 잎은 혁질(革質)이고 주걱 모양이며 뒷면에는 흰털이 빽빽이 나 있다. 꽃은 초여름과 늦가을 줄기 끝에 두상화(頭狀花)로 핀다. 두상화의 중심부는 통상화(筒狀花), 주변부는 설상화(舌狀花)이며, 설상화의 밑부분에는 아름다운 무늬가 있다. 꽃의 빛깔은 황·백·적색 등으로 잘 변화하며 낮 동안에는 피고 저녁에는 오므라든다. 습기가 많은 더위와 추위에는 약하다. 실생(實生)에서는 꽃의 빛깔이 변하므로, 번식은 4∼5월에 3싹을 1포기로 포기나누기를 한다. 요즈음 흔히 보는 가자니아는 수종(數種)의 원종(原種)을 교배하여 개량한 것으로 꽃이 크다...

기타/꽃 2023.05.17

피라칸사스 (파라칸다,파라칸타)

피라칸사스 (파라칸다,파라칸타) 중국 양쯔강 이남 원산이며 관상용, 조경용, 울타리용 등으로 민가 주변에 심어 기르는 상록 떨기나무 또는 작은큰키나무로 높이 1~4m이다.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엉키고, 가시가 있다. 잎자루는 없거나 1~3mm이다. 잎은 어긋나며, 선상 타원형으로 길이 1.5~5.0cm, 폭 0.4~0.8cm,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두껍다. 잎 뒷면은 털이 많아서 흰빛이 돈다. 꽃자루는 짧고, 털이 난다. 꽃은 5~6월에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산방꽃차례로 피며 지름 3~5mm, 흰색 또는 노란빛이 도는 흰색이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지고, 조각은 넓은 삼각형이다. 꽃잎은 5장, 도란형, 끝이 오목하게 들어가기도 한다. 암술은 5개다. 열매는 이과이며, 둥글납작하고, 지름 5~6mm..

기타/꽃 2023.05.17

마거리트(Marguerite. 마가렛)

마거리트(Marguerite. 마가렛) 마거리트는 국화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1m쯤 자라며 관상용으로 많이 재배한다. 겨울부터 이듬해 봄에 걸쳐 꽃줄기가 나와 끝에 1개씩 꽃이 핀다. 꽃은 흰색이나 노란색이다. 잎은 어긋맞게 나며 끝이 뾰족하다. 진한 녹색 잎과 흰 꽃의 조화가 아름다워 화단 등에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원산지는 아프리카 카나리아 제도이며 학명은 Chrysanthemum frutescens L.이다. 줄기와 잎이 쑥갓 같아서 ‘나무쑥갓’이라고도‘한다.

기타/꽃 2023.05.17

천인국(天人菊, Firewheel)

천인국(天人菊, Firewheel) 국화과 천인국속의 한해살이풀이다. 멕시코 북부, 미국 남부, 미국 중부가 원산지이다. 여러해살이풀이지만 1년 동안 꽃이 피기 때문에 한해살이풀로 분류되기도 한다. 높이는 60cm 정도이며 초여름부터 가을까지 태양을 연상시키는 노란색과 붉은색 꽃이 지름 6 ~ 8cm 정도의 꽃이 핀다. 강한 내성을 갖고 있는데 겨울에는 지상에서 꽃이 시들고 뿌리 부분만 월동하며 봄에 다시 꽃이 핀다. 여름 더위에 강한 편이며 토양의 성질을 가리지 않고 성장한다.(출처 : 위키백과)

기타/꽃 2023.05.17

분홍낮달맞이꽃

미국과 멕시코 원산의 도입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관상용으로 심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서거나 무질서하게 벋으며 키는 15-30cm이며 큰 군락을 이루며 퍼진다. 꽃은 하나씩 잎짬에서 나온다. 꽃잎은 크고 4개이며 진한 분홍색에서 흰색까지 다양하며 분홍색이나 붉은색의 맥이 줄지어 있다. 잎은 일반적으로 선형이고 우상으로 갈라지며 간혹 더 가늘게 갈라지거나 갈라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꽃은 아침에 피고 저녁에 닫히기를 반복한다. 관상용으로 심고 어린잎을 식용한다.(출처: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http://www.nibr.go.kr/species/)

기타/꽃 2023.05.16

어리연꽃(금은연, 어리연)

어리연꽃(금은연, 어리연) 어리연꽃(Nymphoides indica)은 한국·중국·일본·동남아 및 아프리카 아열대에서 열대까지 분포하는 여러해살이 수초로 잎은 수면에 뜨고 달걀모양 원형이며, 기부는 깊게 2개로 갈라지고 표면에는 광택이 있다. 잎자루는 줄기와 같은 모양으로 달리며 그 경계가 분명하지 않다. 뿌리는 수염 모양이며 줄기는 가늘고 길다. 6-9월에 꽃차례는 잎자루의 기부에 다발로 달리며 흰색 꽃이 수면에 1개씩 핀다. 꽃부리는 깊게 5개로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 안쪽에 털이 있다. 열매는 긴타원형이며 아래쪽에 꽃받침의 잔해가 있다. 연못에서 재배할 때는 화분에 심어 물속에 넣는다. 연못에 바로 심으면 생육이 아주 왕성한 경우 연못을 다 차지할 수도 있으므로, 용기에 심어 뿌리의 발달을 제한하는..

기타/꽃 2023.05.16

노각나무(비단나무,노가지나무,금수목錦繡木)

노각나무(비단나무,노가지나무,금수목錦繡木) 노각나무는 우리나라 남부와 평안남도 지역에 자라는 낙엽활엽교목으로 키는 10~15m이다. 노각나무 잎은 어긋나고[互生] 길이는 4-10㎝, 너비는 2~5㎝로서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끝은 뾰족하며 아래쪽은 약간 둥글거나 뾰족하고 잎 가장자리에는 물결 모양의 톱니[鋸齒]가 있다. 잎 표면은 녹색이고 비단 털이 있다가 없어지고,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잔털이 있다. 꽃은 양성화이고, 백색으로 6~7월에 햇가지 기부의 잎겨드랑이에 한 송이씩 피며 5~6개의 꽃잎이 있다. 꽃잎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고, 암술대는 5개이며 수술은 5개이다. 열매는 삭과(蒴果:튀는 열매)로서 오각사형의 송곳 모양이고 10월에 익으며, 5개로 갈라진다. 각 실에 3~6개의 종자가 들어..

기타/꽃 2023.05.16

장미(薔薇)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일반적으로 세계의 여러 장미를 원종으로 하여 새롭게 인위적으로 만든 원예 품종을 일컫는다. 장미과 장미속에 속하는 찔레나무는 우리나라의 들장미로 들판에 자생하는 장미의 한 종류이다. 장미꽃은 6~7월에 피는데, 줄기 끝에 한 개 내지 여러 개가 피고 향기가 난다. 꽃은 5장의 꽃받침, 여러 장의 알모양 꽃잎과 수술, 한 개의 암술로 되어 있다. 낙엽성의 키 작은 나무로 줄기와 가지를 뻗으며 예리하고 굵은 가시가 있다. 키는 1∼3m 가량 된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주2이며, 소엽은 알꼴주1이고 톱니는 잎의 가장자리에 발달되어 있다. 인류의 장미 재배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다. 이미 서기전 3000년경에 중동지역에서 다마스크 장미가 관상용으로 재배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로마시대..

기타/꽃 2023.05.13

붓꽃(siberian-iris. 란초, 난초)

붓꽃(siberian-iris. 란초, 난초) 붓꽃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붓꽃이라는 이름은 꽃봉오리가 벌어지기 전의 모습이 붓에 유사하여 붙여진 것이다. 학명은 Iris nertschinskia LODD.이다. 붓꽃은 높이가 60㎝에 달하며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새싹이 나고 잔뿌리가 많이 내린다. 원줄기는 총생(叢生)하고 밑부분에 적갈색 섬유가 있다. 잎은 곧추서며 길이 30∼50㎝, 너비 5∼10㎜로서 융기한 맥이 없고 밑부분이 잎집[葉鞘] 같으며 붉은 빛이 도는 것도 있다. 꽃은 5, 6월에 피고 지름 5㎝로서 자주색이며 꽃줄기 끝에 2, 3개씩 달리고 잎 같은 포(苞)가 있으며 끝의 포는 선상피침형이고 길이 5, 6㎝로서 녹색이며 뾰족하다. 과실은 삭과(朔果)로 삼릉주형(三稜柱形)이며 ..

기타/꽃 2023.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