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경상북도/예천 26

명봉사문종대왕태실비(鳴鳳寺文宗大王胎室碑)

">명봉사문종대왕태실비(鳴鳳寺文宗大王胎室碑.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경북 예천군 효자면 석항명봉로 881-106 (명봉리)) 태실이란 왕이나 왕실 자손의 태를 모셔두는 돌로 만든 방으로, 태실비는 태실에 태를 모신 것을 기념하는 비이다. 이 비는 문종대왕의 태를 모신 후 세운 비로, 원래는 절 뒤편 산기슭에 있었으나 일제강점기 때 일본이 조선왕실의 태실 대부분 훼손하면서, 명봉사의 스님들에 의해 경내로 옮겨졌다, 문종대왕 태실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발굴과 정밀지표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를 근거로 2016년 태실을 복원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문종대왕 태실비도 원래의 위치로 옮겨졌다. 비는 거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올려놓은 모습이다. 거북받침은 머리가 용머리화 되어 입에 여의주를 물고..

경상북도/예천 2025.03.25

예천 천향리 석송령(醴泉 泉香里 石松靈)

">예천 천향리 석송령(醴泉 泉香里 石松靈. 천연기념물. 경북 예천군 감천면 천향리 804외 7필 )  석평마을의 마을회관 앞에서 자라고 있는 예천 천향리의 석송령은 나이가 60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는 11m, 둘레는 3.67m이다. 나무는 밑동에서부터 여러 갈래로 갈라져 있어 전체적으로 우산모양을 하고 있으며, 곁가지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곳곳에 돌로 된 기둥을 세워 놓았다.  전하는 이야기에 의하면, 약 600년 전 풍기지방에 큰 홍수가 났을 때 석간천을 따라 떠내려오던 소나무를 지나가던 사람이 건져서 이 자리에 심은 것이라고 한다. 그 뒤 이 마을에 살던 이수목(李秀睦)이라는 사람이 ‘석평마을에 사는 영감이 있는 소나무’라는 뜻으로 ‘석송령’이라는 이름을 지어 주었고, 자신의 토지 6,600..

경상북도/예천 2025.03.23

임진왜란 이전의 건축양식이 잘 남아있는 「예천 야옹정」 보물 지정

임진왜란 이전의 건축양식이 잘 남아있는 「예천 야옹정」 보물 지정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경상북도 예천군에 있는「예천 야옹정」(醴泉 野翁亭)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1917호로 지정하였다. 현재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30호로 지정되어 있는 야옹정은 조선 중종 때 학자인 야옹(..

경상북도/예천 2016.09.09

예천 선몽대일원(醴泉仙夢臺一圓)

예천 선몽대일원(醴泉仙夢臺一圓.명승 제19호.경북 예천군 호명면 백송리 75번지 외) 선몽대 일원은 예천읍지에 수록된 약 450여년 역사를 가진 유서 깊은 곳으로, 선몽대와 선몽대 숲 그리고 그 앞을 흐르는 내성천과 하천 앞에 넓게 펼쳐진 백사장이 함께 어우러져 한국의 전통적 산수미를 보여주는 예천 내성천 유역의 대표적 경승지의 하나이다. 선몽대는 퇴계 이황의 종손이며 문하생인 우암(遇巖) 이열도(1538~1591) 공이 1563년 창건한 정자로서 “선몽대”의 대호 세글자는 퇴계 선생의 친필로 알려져 있으며, 정자 내에는 당대의 석학인 퇴계 이황, 약포 정탁, 서애 류성룡, 청음 김상헌, 한음 이덕형, 학봉 김성일 등의 친필시가 목판에 새겨져 지금까지 전해져 오고 있는 곳으로 선인들의 유교적 전통공간으로..

경상북도/예천 2015.10.17

동래정씨 정사(鄭賜 : 1400~1453) 묘(墓) - 우리나라 8대 명당 중에서도 으뜸 -

정사(鄭賜)의 묏자리는 우리나라 8대 명당 중에서도 으뜸이라고 하는 이야기가 수백 년 전부터 내려오고 있다. 경상북도 예천군 지보면 도장리에 있는 정사 묘소는 옥녀측와형국(玉女側臥形局)이라고 한다. 정묘(鄭墓)에 얽힌 지관(地官)의 기지(奇智) ㅇ 위 치 : 지보면 도장리 ㅇ 내 용 ..

경상북도/예천 2015.10.01

예천 회룡포 (醴泉 回龍浦.명승 제16호.2012년 7월 장마 뒤의 회룡포)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회룡포(回龍浦 경북 예천군 용궁면 회룡포길 362(대은리 395외)) 회룡포는 낙동강의 지류인 내성천이 마치 도는 모습이 룡이 하늘로 승천할 때 빙글도는 모습과 같다 해서 돌 "회回"자 용"용"龍자 나루 "포浦"자 를 씁니다. 2005년도에..

경상북도/예천 2012.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