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기타/꽃 259

대봉동 능소화(凌霄花)

">대봉동 능소화폭포는 대구 중구 대봉동, 김광석길 인근에 위치한 대표적인 여름 명소로, 매년 6월 중순부터 주홍빛 능소화가 건물 외벽을 가득 뒤덮으며 마치 꽃으로 이루어진 폭포처럼 장관을 이룬다. 이 능소화폭포는 1997년 정상희 여사가 능소화 두 그루를 심고 오랜 시간 정성껏 가꾼 결과, 지금은 4층 건물 옥상까지 치솟아 벽 전체를 화려하게 수놓고 있다. 능소화는 예로부터 양반집에만 심을 수 있었던 ‘양반꽃’으로 불리며, 하늘을 능가한다는 의미를 지닌 꽃이다. 꽃말은 명예, 자랑, 그리움으로, 종 모양의 주황빛 꽃이 벽면을 타고 흐르듯 피어내는 모습이 인상적이다.능소화폭포가 있는 곳은 개인 소유의 경일빌딩 동쪽 벽으로, 대봉1동 행정복지센터 바로 옆에 위치해 있다. 이곳은 김광석길과 가까워 골목 산책..

기타/꽃 2025.06.23

대구 중구 대봉동 능소화폭포 : 대구 중구 대봉동 19-16(경대병원역 3번 출구에서 171m)

">능소화(凌霄花)는 ‘하늘을 능가하는 꽃(凌: 능가할 능. 霄: 하늘 소)’이라는 뜻을 가진 덩굴성 식물로, 주로 여름철에 붉고 화려한 꽃을 피웁니다. 중국이 원산지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오래전부터 관상용으로 사랑받아 왔고, 양반들이 즐겨 심었다 하여 ‘양반꽃’이라는 별칭도 있습니다. 능소화는 담장이나 나무를 타고 높이 올라가는 특유의 성장 습성 때문에, 이름처럼 하늘을 향해 뻗어 오르는 모습을 보여줍니다.능소화의 꽃, 잎, 줄기, 뿌리 등 모든 부위에는 다양한 약효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예로부터 한의학에서 약재로도 널리 활용되었습니다. 주요 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 이리도이드, 쿠마린 등이 있으며, 이들은 강력한 항산화·항염증 작용을 통해 심혈관 건강 증진, 혈액순환 개선, 면역력 강화, ..

기타/꽃 2025.06.20

조각자나무(皁角刺나무. 중국주엽. Korean honey locust. 학명 Gleditsia sinensis Lamarck.)

조각자나무(皁角刺나무. 중국주엽. Korean honey locust. 학명 Gleditsia sinensis Lamarck.)분류역 : 진핵생물역(Eukaryota) 계 : 식물계(Plantae) 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 :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목 : 장미목(Rosales) 과 : 콩과(Leguminosae) 속 : 주엽나무속(Gleditsia) 종 : 조각자나무(G. sinensis)조각자나무는 콩과(Fabaceae) 주엽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중국 중남부가 원산지이다. 우리나라에는 예로부터 약재나 관상용으로 심어 기른 나무들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독락당에 이언적이 직접 심었다고 전해지는 약 500년 수령의 조각..

기타/꽃 2025.06.04

경북 경산시 하양읍 - 장미 길 -

">장미 : 장미는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대표적인 관상화초로, 장미과(Rosaceae) 장미속(Rosa)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입니다.원산지는 주로 아시아와 서아시아이지만, 현재는 거의 모든 나라에서 다양한 품종이 재배되고 있습니다.장미의 줄기에는 예리하고 굵은 가시가 있어 식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잎은 보통 홀수 깃꼴겹잎 형태로 어긋나게 달립니다.꽃은 5~6월에 피며, 줄기 끝에 한 송이 또는 여러 송이가 피고, 강한 향기를 내는 것이 특징입니다.꽃잎의 수와 형태는 품종에 따라 매우 다양하며, 자연종은 꽃잎이 5장이지만 원예종은 겹꽃, 반겹꽃 등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색상 또한 매우 다양해 빨간색, 흰색, 노란색, 분홍색 등 여러 색이 있으며, 각 색상마다 사랑, 순수, 우정 등 서로 다른 꽃말..

기타/꽃 2025.05.29

리나리아(애기금어초)

리나리아(애기금어초)리나리아(학명: Linaria)는 현삼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또는 다년생 초화로, 주로 ‘애기금어초’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꽃은 금어초와 비슷한 입술모양이며, 노란색, 분홍색, 보라색, 흰색 등 다양한 색상으로 4월부터 10월까지 피어난다. 꽃대는 가늘고 곧게 서며, 작은 꽃들이 촘촘하게 총상꽃차례로 달려 수직적인 느낌을 준다. 잎은 바소꼴 또는 선형으로, 회녹색이며 질감이 독특하다.리나리아는 키가 20~100cm까지 자라며, 햇볕이 잘 들고 배수가 좋은 토양에서 잘 자란다. 내한성이 강해 추위에 잘 견디지만, 수명이 짧아 3~4년 정도밖에 살지 않는다. 개화기가 길고 자연발아율이 높아 화단이나 화분, 조경용으로 널리 이용된다. 꽃말은 ‘내 마음을 알아주세요’로, 선물용이나 관상용으로..

기타/꽃 2025.05.22

디기탈리스(Digitalis purpurea, common foxglove)

디기탈리스(Digitalis purpurea, common foxglove)계 : 식물계(미분류) : 피자식물문(미분류) : 쌍자엽식물군목 : 통화식물목과 : 현삼과속 : 디기탈리스속종 : 디기탈리스학명 : Digitalis purpurea L.디기탈리스(Digitalis purpurea, common foxglove)는 현삼과 디기탈리스속에 딸린 한 종이다. 헝가리, 루마니아, 발칸반도가 포함된 서유럽과 남유럽이 원산지이다. 7월~ 8월에 통모양의 꽃이 핀다. 독이 있지만 독특한 모양으로 정원수로서와 우수한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어 제약원료로서도 주목받았기에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있다.학명은 Digitalis purpurea로 꽃이 장갑의 손가락 모양이고 꽃의 색깔이 자주빛이어서 장갑의 손가락이라는 뜻..

기타/꽃 2025.05.22

노각나무(korean mountain camellia, 금수목錦繡木)

노각나무(korean mountain camellia, 금수목, 錦繡木)분류 : 물레나물목 > 차나무과 > 노각나무속꽃색 : 백색학명 : Stewartia pseudocamellia Maxim.꽃말 : 견고, 정의개화기 : 6월, 7월차나무과의 낙엽수. 한국과 일본에서 자생한다.노각나무는 대한민국 남부지방에서 자생하며 외국으로는 일본에 일부분 자생한다. 그 중에 대한민국의 품종이 가장 아름답다고 한다. 일본에 있는 노각나무보다는 잎과 꽃자루가 길기 때문이다.노각나무 이름의 유래로는 사슴뿔처럼 보드랍고 황금빛을 가진 아름다운 수피라는 뜻에서 녹각(鹿角)나무라고 하다가 발음이 쉬운 노각나무로 되었다. 따라서 늙은 오이를 뜻하는 노각(老각)과는 관련이 없다. 높이는 15m까지 자라는 큰키나무이다. 나무껍질은 ..

기타/꽃 2025.05.22

산마늘(명이나물, 맹이나물)

산에서 나는 나물류 중 유일하게 마늘 맛과 향이 나는 산마늘은 명이나물 또는 맹이나물이라고도 한다. 울릉도의 해발 800m 이상지역에서 자생하는 산마늘은 울릉도에서 반출돼 강원도 일부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최근에는 소비량의 증가로 경상도 및 전라도 등에서도 재배 등을 통해 수요를 충당하고 있다. 명이나물은 '산마늘'이라고도 불리는 여러해살이풀로, 부추 속(Allium)에 속하는 식물이다. 잎에서 알싸한 마늘 향이 나며, 주로 우리나라 북부 지방과 울릉도, 강원도 등 고산지대의 숲 속 반그늘에서 자란다. 명이나물의 학명은 Allium victorialis 또는 Allium ochotense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영어로는 'alpine broad-leaf allium'이라 부르기도 한다.명이나물은 잎이..

기타/꽃 2025.05.19

대황大黃 Rheum rhabarbarum L.

대황大黃 Rheum rhabarbarum L.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Caryophyllidae (석죽아강) > Polygonales (마디풀목) > Polygonaceae (마디풀과) > Rheum (대황속) > rhabarbarum (대황) 건조한 산지에 자라거나 심어 기르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굵고 나무질로 된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0.6~1.5m, 세로줄이 있고 속은 비어 있다. 뿌리잎은 여러 장이 모여나며, 난형 또는 삼각상 난형으로 길이 15~70cm, 폭 12~50cm,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다. 잎자루는 길며, 자줏빛이 돈다. 줄기잎은 뿌리잎보다 작으며, 밑부분이 줄기를 반쯤 감싼다. 꽃은 5~6월..

기타/꽃 2025.05.19

솜양지꽃(Discolor Cinquefoil번백초, 뽕구지, 계퇴근)

솜양지꽃 Potentilla discolor Bunge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Rosidae (장미아강) > Rosales (장미목) > Rosaceae (장미과) > Potentilla (양지꽃속) > discolor (솜양지꽃) 솜양지꽃은 장미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Potentilla discolor Bunge입니다. 주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의 양지바른 산기슭, 들판, 무덤가, 바닷가 등에서 자라며, 특히 무덤가에 많이 분포하는 것이 특징입니다.식물 전체에 하얀 솜털(밀모)이 빽빽하게 덮여 있어 다른 양지꽃과 쉽게 구별되며, 이 솜털 덕분에 ‘솜양지꽃’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잎은 표면을 제외한 뒷면과 ..

기타/꽃 2025.05.19

위실나무(蝟實나무. Kolkwitzia amabilis)

위실나무(Kolkwitzia amabilis)는 인동과(Caprifoliaceae)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중국 중부가 원산지인 희귀한 수종입니다. 키는 보통 2~4m 정도로 자라며, 가지가 아치형으로 곡선을 그리며 퍼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잎은 마주나며 계란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4~7.5cm, 폭 1.5~3cm 정도입니다.위실나무는 5~6월 늦봄부터 초여름까지 연분홍색 또는 밝은 분홍색의 종 모양 꽃이 가지 끝에 풍성하게 피어, 마치 뭉게구름처럼 나무 전체를 덮는 화려한 경관을 연출합니다. 꽃의 안쪽에는 노란색 무늬가 있으며, 꽃받침과 꽃대에는 부드러운 털이 있습니다. 꽃에는 은은한 향기가 있어 정원수로 인기가 높습니다. 꽃이 진 뒤에는 고슴도치처럼 털이 있는 작은 열매가 9~10월에 맺히..

기타/꽃 2025.05.07

합천 핫들생태공원-유채화(油菜花)-

">유채화(油菜花) : 유채화는 배추과(십자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인 ‘유채(Brassica napus)’에서 피는 꽃을 말합니다. 유채는 아시아, 유럽, 뉴질랜드 등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는 식물로, 한국에서는 주로 봄철에 노랗게 만개한 유채꽃밭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유채의 줄기는 80~130cm 정도로 곧게 자라며, 잎은 피침형으로 아래쪽은 잎자루가 길고 위쪽은 줄기를 감싸는 형태입니다. 꽃은 4장의 노란 꽃잎이 총상꽃차례로 줄기 끝에 모여 피며, 화려한 노란색이 특징입니다. 유채꽃이 지고 나면 길쭉한 꼬투리가 맺히고, 이 안에서 종자가 자라는데 이 종자에서 짜낸 기름이 바로 유채기름(카놀라유)입니다. 이 기름은 식용유, 바이오 연료, 엔진 윤활유 등 다양한 용도로 쓰입니다. 유채는 품종에 따라..

기타/꽃 2025.05.05

합천 핫들생태공원 –작약-

">작약(芍藥. Peony. 학명:Paeonia lactiflora) 작약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작약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다 커도 1m 이하로 자란다. 하나의 굵은 뿌리에서 여러 개의 줄기가 나와 곧게 서며, 잎과 줄기에는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며 밑 부분의 잎은 한두 번 작은 잎이 3장씩 겹잎으로 나온다. 비교적 길다랗고 뾰족한 타원형의 잎은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가지의 가장 윗부분에서는 잎 3개가 함께 모여 달리기도 한다. 보통은 초여름, 이르면 5월경에 중심 줄기 끝에서 하나의 꽃이 피어나는데 꽃의 크기가 상당히 크고 향기가 엄청 진하다. 그만큼 화려한 꽃을 피우지만 일주일 정도 피었다가 꽃이 지기 때문에, 그 점이 아쉬운 점이다. 꽃은 원래 홑꽃이지만 품종개량에 의해 현재는 겹꽃도 많..

기타/꽃 2025.05.04

동양금 - 명자꽃

명자꽃중국 원산의 장미과 낙엽활엽관목. '명자나무', '산당화'로 불리기도 한다. 중국 원산으로 한반도에 들여온 기록은 없으나 한반도에서 관상용으로 재배된 지는 오래된 것으로 보인다. 경상도와 황해도 이남 지방에서 자란다. 추위에는 강하나 건조한 곳에서는 성장이 좋지 않다. 높이는 1-2m 안팎이다. 꽃은 4월에서 5월까지 계속 피며, 가지에 5엽 빨간색 단성꽃이 1개 또는 여러 개가 달린다.나무껍질은 암자색이며 그 해 새로 나온 가지가 가시처럼 나오기도 한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으로 양쪽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잔 톱니 모양이다. 열매는 타원형으로 모과를 닮았으며 크기 10cm정도로서 9~10월에 누렇게 익으면 속은 딱딱하나 신맛이 나고 향기가 있다.번식이 쉽고 맹아력이 강해 수형을 마음대로 조절..

기타/꽃 2025.05.03

콩배나무

콩배나무열매가 콩알만 한 배를 닮아 콩배나무라고 이름이 붙었다. 장미과의 낙엽목이며 우리나라 남쪽지역의 낮은 산지에서 자생한다. 낙엽수이며 5~8m 자란다. 껍질은 진한 회색이다. 잎은 어긋나게 피며 광난형 모양이다. 잎자루는 4cm 정도이며 털이 없다. 꽃은 5월에 피며 열매는 10월에 익는다.국내에 서식하는 것은 왜성형 변종으로, 중국과 일본의 원종은 키가 8~10m 정도로 자란다.(출처 : 나무위키)

기타/꽃 2025.05.03

모란이 지다(惜牧丹花)-백거이(白居易) : 당(唐)의 시인

">모란이 지다(惜牧丹花) 백거이(白居易) : 당(唐)의 시인 惆愴階前紅牧丹(추창계전홍목단) 슬프다, 섬돌 앞 붉은 모란晩來唯有兩枝殘(만래유유양지잔) 저녁 사이 두 가지만 남게 되었구나明朝風起應吹盡(명조풍기응취진) 내일 아침 바람 불면 그것마저 지고 말 터夜惜衰紅把火看(야석쇠홍파화간) 쇠락한 붉은 꽃 아쉬워 촛불 잡고 보노라

기타/꽃 2025.05.02

자주괴불주머니(Corydalis incisa)

자주괴불주머니(Corydalis incisa)는 현호색과의 식물이다. 두해살이풀로서 줄기의 높이는 50cm 가량이다. 뿌리잎은 2회 3출겹잎인데, 작은잎은 더 불규칙하게 갈라져 있다. 꽃은 좌우대칭의 통꽃으로, 4개의 꽃잎 가운데 바깥둘레의 위쪽 꽃잎 밑부분은 떨어져 있다. 6개의 수술은 3개씩 합쳐져 있다. 4-6월경에 여러 개의 홍자색 꽃이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를 이루면서 달린다. 열매는 삭과로 8-9월에 익는다. 주로 산이나 들의 그늘진 습지에 많으며 제주·전남·전북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위키백과)

기타/꽃 2025.04.11

황매화(黃梅花,학명: Kerria japonica,영어: Japanese rose)

황매화(黃梅花,학명: Kerria japonica,영어: Japanese rose)는 장미과의 잎 지는 넓은잎 떨기나무로, 1속 1종만이 존재하는 단형 식물이다.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가 원산지이다.높이는 2미터 가량인데, 곧게 서지 않고 구부러져 있다. 잎은 달걀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톱니처럼 되어 있다. 꽃은 봄에 잎겨드랑이로부터 나오는 짧은 가지 끝에 달리는데, 황색이며 5개의 꽃잎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꽃에는 많은 수술과 5-8개의 황색 암술이 있다. 열매는 달걀 모양의 수과로서 가을에 검은색으로 익는데, 길이는 5밀리미터 정도이다. 주로 촌락 부근에 많이 심으며, 한국에서는 중부와 남부에 분포하며 충남 계룡산에 큰 규모의 분포지가 유명하다.(위키백과)

기타/꽃 2025.04.11

능수매화(能秀梅花)

능수매화(能秀梅花) : 능수매화(能秀梅花)는 한국 전통 문화와 문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중요한 상징이자 미적 표현으로, 주로 매화꽃의 아름다움과 그에 담긴 상징적 의미를 강조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표현에서 '능수'와 '매화'는 각각 독립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두 가지가 결합될 때 그 의미가 한층 더 깊고 풍부해집니다. '능수'의 의미 : '능수(能秀)'는 한자로 '능(能)'과 '수(秀)'로 구성됩니다. '능'은 '능력'이나 '할 수 있다'는 뜻을 가지며, '수'는 '우수하다' 또는 '뛰어나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따라서 '능수'는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뛰어난"이라는 뜻이 됩니다. 이 표현은 주로 어떤 인물이나 사물의 뛰어난 특성, 아름다움, 또는 탁월함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

기타/꽃 2025.03.20

새우풀

쌍떡잎식물강에 속하는 속씨식물. 학명은 ‘Beloperone spp.’이다. 꽃이 피어난 모습과 이를 감싸는 포가 마치 새우와 같은 풀이라고 하여 ‘새우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크기는 약 45cm이다. 원산지는 아시아로, 한국에서는 온실에서 재배하여 원예용으로 판매하기도 한다.크기는 약 45cm이다. 줄기가 여러 개 나오며, 그 끝에 자주색 반점이 있는 흰 꽃이 무리 지어 핀다. 입술 모양의 꽃잎 두 개가 관(管) 모양을 이루며 이 꽃을 잎처럼 생긴 수많은 적갈색 포(苞)가 둘러싸고 있어 전체 모양과 색깔이 새우를 닮았다. 원산지는 아시아이다. 한국에서는 외국에서 들여와 온실에서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기타/꽃 2025.03.20

홍학꽃(안스리움 Anthurium)

천남성목 천남성과 안스리움속(안수리움속)의 식물이다. 아메리카 열대 지역이 원산지로, 많은 종이 관엽식물이다. 꽃이 화려하고 오래 피는 일부 종이 관상식물로 유통되고 있다. 관상용으로는 홍학꽃(Flamingo flower)이라 불리는 안드래아눔안스리움(A. andraeanum)과 스케르제리아눔안스리움(A. scherzerianum)을 주로 재배한다. 일산화탄소, 휘발성 유해물질, 암모니아 등의 제거 능력이 있어 공기정화식물로도 인기가 있다.

기타/꽃 2025.03.19

불수감(佛手柑. Citrus medica var. sarcodactylus)

불수감은 시트론의 변종이며, 열매가 성숙해 가는 도중 심피가 분리되면서 기다랗고 구불거리는 모양을 형성한다. 그 형태가 마치  부처의 손가락을 닮았다고 해 불수감(佛手柑)이라 불린다.열매의 모양새가 매우 특이한 데다가 과육도 별로 없어서 관상용 식물로 많이 쓰인다.열매는 주로 건조시켜서 한약재로 쓰인다. 향기가 좋아 담금주, 차로 마시기도 하고, 기름을 채취해 방향제 원료로 사용하기도 한다.중국에서는 불수감의 불(佛)이 복(福)과 발음이 유사하여 복의 상징으로도 여겨진다.

기타/꽃 2025.03.19

촛대초령목

촛대초령목 : 목련과. 상록환렵관목으로 중국 아열대 지방이 원선지이다. 4월에 피는 연황색 꽃이 향기가 강하여 저원의 관상식물로 인기가 있다. 촛대초령목은 ‘촛대’와 ‘초령목(招靈木)’이란 단어가 합쳐진 이름으로, ‘촛대’는 꽃이 지고 나서 열매를 맺는 과정에 촛대모양으로 씨방이 위로 올라온 모습에서 연유되었다, ‘초령목’은 한자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혼령을 부르는 나무란 뜻으로 꽃향기가 진해서 영혼, 귀신까지불러 온다고 믿어 붙여졌다.

기타/꽃 2025.03.19

극락조화(極樂鳥花. bird-of-paradise flower)

극락조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스트렐리트지아속에는 5종이 있는데 모두 아프리카 남부지방이 원산지이다. 꽃형태가 '극락조'라는 새와 닮았으며,  열매는 검게 익는다. 1m 내외로 자라며 뿌리가 크고 굵으며 줄기는 없다. 잎은 길쭉한 타원형으로 길이 40cm, 폭 15cm 정도이다. 꽃대는 잎과 비슷한 높이로 자라고 녹색 포 안에 6~8송이의 꽃이 주황색, 청색으로 6~7월에 핀다.

기타/꽃 2025.03.19

납매(蠟梅. 臘梅)

납매(蠟梅. 臘梅)학명 : Chimonanthus praecox계 : 식물문 : 속씨식물강 : 쌍떡잎식물목 : 기타 쌍떡잎식물원산지 : 중국크기 : 높이 2∼4m납매를 당매(唐梅)라고도 한다. 중국 원산이며 관상수로 널리 심는다. 줄기는 뭉쳐나며 높이는 2∼4m이다. 잎은 달걀 모양으로 마주나고 길이 7∼10cm이다. 표면은 꺼칠꺼칠하고 잎자루가 짧으며, 잎 끝은 뾰족하고 얇지만 딱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1∼2월에 잎이 나오기 전에 옆을 향하여 꽃이 피는데 좋은 향기가 난다. 꽃지름은 2cm 내외로 꽃받침과 꽃잎은 다수이며, 가운뎃잎은 노란색으로 대형이고 속잎은 암자색으로 소형이다.수술 5∼6개, 암술은 다수이며 항아리 모양으로 움푹 들어간 꽃받침 속에 있다. 꽃이 진 후 꽃받침은 생장해서 긴 ..

기타/꽃 2025.03.13

매화(梅花. 매실 梅實 나무)-국채보상운동 공원 2025.3.9

매화(梅花. 매실 梅實 나무)  매화는 이른 봄을 알리는 대표적인 꽃으로, 그 우아한 자태와 은은한 향기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매화는 중국이 원산지이며, 오랜 세월 동안 동양의 문학과 예술에서 중요한 소재로 다루어져 왔습니다. 특히 한국, 중국, 일본에서는 사군자(四君子) 중 하나로 여겨지며, 선비 정신과 절개를 상징하는 꽃으로 인식됩니다.  매화는 장미목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소교목으로, 보통 35m 자랍니다. 추운 겨울이 끝나고 이른 봄이 오면, 잎이 나기 전에 먼저 꽃을 피우는 특징이 있습니다. 꽃은 13cm 정도의 크기로, 흰색, 분홍색, 붉은색 등 다양한 색을 띠며, 강한 향기를 품고 있습니다. 열매는 매실(梅實)이라고 하며, 6~7월경에 수확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다...

기타/꽃 2025.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