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기타/각종정보

「서울 앨버트 테일러 가옥(딜쿠샤)」 등 4건 문화재 등록

노촌魯村 2017. 8. 8. 21:41

서울 앨버트 테일러 가옥(딜쿠샤)4건 문화재 등록

 

문화재청은 서울 앨버트 테일러 가옥(딜쿠샤), 경기도청사 구관, 경기도지사 구 관사, 김 골롬바와 아녜스 자매(석고상)4건을 문화재로 등록하였다.

 

등록문화재 제687서울 앨버트 테일러 가옥(딜쿠샤)는 일제강점기 당시 AP통신사 특파원으로 일하면서 3·1운동을 세계에 알리고 한국의 독립 운동가들을 도왔던 앨버트 테일러(Albert W. Taylor)1923년에 지어서 1942년 일제에 의해 추방당할 때까지 가족과 함께 살았던 가옥이다. 총면적 624에 이르는 붉은 벽돌의 장방형(사각형) 평면을 가진 저택(2)으로 건축적 가치도 있다.

딜쿠샤(DILKUSHA)는 인도의 딜쿠샤 궁전에서 따와 작명한 힌디어로 이상향기쁨의 뜻을 담고 있으며 저택 초석에 새겨져 있는 이 건물의 별칭이다. 특히, 이 건물은 2016226앨버트 테일러의 가옥(딜쿠샤)’의 보존을 위하여 기획재정부문화재청서울특별시종로구청이 협약을 체결한 곳으로, 중앙정부와 자치단체가 문화재 복원과 활용에 호 협력한 모범사례로 평가된다.

 

이 건물은 앞으로 독립운동의 소중함을 국민에게 널리 알리기 위해 31운동 100주년을 맞는 2019년까지 복원하여 일반인에게 개방할 계획이다.

 

등록문화재 제688 경기도청사 구관1963년 경기도청을 수원으로 이전하기로 결정하고 건축설계와 공사를 거쳐 19676월에 준공된 건물로서 이 시기 국적으로 건립된 관공서 건물의 기준이 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한국 1세대 현대 건축가로 활동하였던 김희춘(1915~1993)과 나상진(1923~1973) 공동 설계 작품으로 중정형(中庭型, 건물들 안에 뜰을 둔 구조) 평면 도입, 단순하고 기하학적인 평면과 형태 구성 등 1960년대 한국 건축계에 큰 흐름을 보이던 모더니즘 디자인의 정수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함께, 건립 이후 현재까지 본래 용도인 행정업무시설로 그대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등록문화재로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등록문화재 제689 경기도지사 구 관사 역시 경기도청 이전과 함께 지사의 공관으로 건축된 건물이다. 해방 이후 건축된 모더니즘 경향의 60년대 주거건축이 현재 거의 남아 있지 않은 상황에서 간결하고 단순한 모더니즘 특성이 잘 반영된 공관 건물로서 가치를 담고 있다. 설계자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건축 디자인의 세부수법 등을 통해 볼 때 경기도청사 구관설계자인 김희춘과 나상진의 작품으로 추정하고 있다.


등록문화재 제690 김 골롬바와 아녜스 자매(석고상)은 우리나라 현대 조각1세대에 속하며 한국 가톨릭 조각의 선구자인 김세중(19281986)의 대표작으로, 1839년 기해박해(己亥迫害) 당시 순교한 김효임김효주 자매를 조각한 작품이다. 1950년대까지 한국에서는 석고가 조각의 주재료였으나 대부분 파손되었거나 원형을 유지하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본 석고상은 보존상태가 양호하며, 1성미술전(1954)에 출품됐던 작품으로서 1950년대 한국미술사의 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어 사료적, 미술사적 가치가 크다.

* 김 골롬바와 아녜스 자매: 김효임(골롬바, 18141839)과 김효주(아녜스, 18151839) 자매는 2차 천주교 박해인 기해박해(己亥迫害) 시기인 1839926일 참수 당하였고, 192575 시복(諡福, 교회가 공경할 복자로 선포)되었으며, 198456일 시성(諡聖, 교회가 공경할 성인으로 선포)

서울 앨버트 테일러 가옥(딜쿠샤)경기도청사 구관4건의 등록문화재는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협력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활용해 나갈 계획이다.

문화재 등록 개요

1. (등록) 서울 앨버트 테일러 가옥(딜쿠샤)

 

문화재명: 서울 앨버트 테일러 가옥(딜쿠샤)  

종 별: 등록문화재 제687  

소 재 지: 서울시 종로구 사직로217(행촌동)  

제작연대: 1923년   

수 량: 1(실측면적 480)  

소 유 자: 기획재정부  

등록 사유

191931운동 당시 제암리 학살사건을 전세계로 타전한 AP통신사 특파원이었던 앨버트 테일러(Albert Wilder Taylor)와 그의 아내(Mary Linely Taylor)1923년 거주를 위해 건립한 가옥으로, 역사적 인물의 삶을 조명하고 당시 시대상을 보여주는 역사적 공간으로서의 건축적 가치가 있다.

* 딜쿠샤(DILKUSHA, 희망의 궁전): 인도의 딜쿠샤 궁전에서 따와 작명한 힌디어로 이상향, 기쁨을 의미

 

2. (등록) 경기도청사 구관

 

문화재명: 경기도청사 구관  

종 별: 등록문화재 제688  

소 재 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 1(매산동)  

제작연대: 1967년   

수 량: 1(실측면적 4,390)  

소 유 자: 경기도지사  

등록 사유

1967년 최초의 본관으로 신축된 이후 현재까지 행정업무시설 본래 용도 그대로 지속적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역사성, 상징성, 지역성을 지닌 건물이다. 한국 현대건축 1세대 건축가로 활동하였던 김희춘과 나상진의 협동설계 작품으로 1960년대 한국 건축계에 큰 흐름을 타고 있던 모더니즘 디자인의 정수를 보여 주고 있다.

3. (등록) 경기도지사 구 관사

 

문화재명: 경기도지사 구 관사  

종 별: 등록문화재 제689  

소 재 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고화로 130번길 21(화서동)  

제작연대: 1967년   

수 량: 1(480)  

소 유 자: 경기도지사  

등록 사유

해방 이후 건축된 모더니즘 경향의 60년대 주거건축이 현재 거의 남아 있지 않은 상황에서 도지사 관사건물로서 간결하고 단순한 당시 모더니즘 주거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4. (등록) 김 골롬바와 아녜스 자매(석고상)

 

문화재명: 김 골롬바와 아녜스 자매(석고상)  

종 별: 등록문화재 제690  

소 재 지: 서울시 용산구 효창원로 7035(효창동) 김세중 기념사업회  

제작연대: 1954  

수 량: 1(전체 : 185×105×36, 인물부조상 : 167×105×28)  

소 유 자: ○○  

등록 사유

우리나라 현대조각가 1세대에 속하며 한국 가톨릭 조각의 선구자인 김세중(19281986)의 대표작으로 1950년대까지 우리나라 조각의 주재료인 석고로 만든 작품은 대부분 파손되었거나 원형이 훼손되었으나 본 석고상은 보존상태가 양호하며, ‘1회 성미술전‘(1954)에 출품됐던 작품으로서 1950년대 한국미술사의 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어 사료적, 미술사적 가치가 크다.


<글. 사진 출처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