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기타/ 이 생각 저 생각

아리랑(Arirang.2012년 12월 5일,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등재)

노촌魯村 2012. 12. 20. 08:21

아리랑

아리랑은 한국의 대표적인 민요로 ‘아리랑’, 또는 그와 유사한 발음의 어휘가 들어 있는 후렴을 규칙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띄엄띄엄 부르는 한 무리의 노래를 말한다. 아리랑은 한국을 비롯하여 한반도와 해외 한민족 사회에서 널리 애창되는 대표적인 노래이며, 가사가 정해져 있지 않고 주제 또한 개방되어 있어 누구든지 자유롭게 노래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일찍이 한반도의 중앙부에 위치한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발생된 아리랑은 한반도의 중동부에 위치한 강원도 정선지역을 중심으로 점차 확산되어 1억 한민족의 민요가 되었다. 강원도를 위시하여, 한반도의 남서쪽인 전라남도의 진도, 남동쪽인 경상남도의 밀양 등지에서 전승보존단체가 결성되어 왕성히 활동하고 있다.

향촌사회에 아리랑이 언제부터 있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19세기 중반 서울의 직업적인 소리꾼들이 부르는 대중민요 아리랑이 나타났고, 그들이 부른 대중민요 아리랑이 전국적으로 널리 퍼져 유행하게 되면서 대중민요 스타일의 또 다른 아리랑들이 여럿 생겨났다. 이러한 가운데 1926년에 영화 아리랑이 제작됐고, 그 주제가는 대중민요 아리랑 가운데 가장 널리 유행된 것을 리메이크하여 썼다. 영화가 크게 성공하자 그 주제가 또한 붐을 일으키며 당시 민족구성원 모두의 노래가 되었고, 나아가 모든 아리랑을 대표하게 되었다.

한편 아리랑은 20세기 초 일제강점기에 두루 확산되어 국내는 물론이거니와 나라와 고향을 떠나간 많은 이들의 가슴 속 노래가 되어 국외로까지 확산되어 갔다. 그리고 현대에 와서 외국 이민을 한 브라질, 독일,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100만여 한국인이 거주하고 있는 곳에서도 아리랑은 하나의 디아스포라 문화로 작용하고 있다.

아리랑은 지역과 세대를 초월해 광범위하게 전승되고 재창조 되고 있다는 점과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라는 후렴구만 들어가면 누구나 쉽게 만들어 부를 수 있다는 다양성의 가치를 인정받아 2012년 12월 5일,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등재되었다 (문화재청 자료)

 뉴욕 필 아리랑 공연

 

김연아의 아리랑
 합창-아리랑 

여러 가지 아리랑

아리랑은 지역별로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알려진 것은 정선아리랑, 강원도아리랑, 밀양아리랑, 진도아리랑, 해주아리랑 등이 있다. 경기아리랑 또는 '신아리랑'이라 불리는 아리랑은 19세기 말~20세기 초에 만들어진 것이다.

수백에 가까운 변종이 있었을 정도로 즐겨 불리던 이 민요는 후렴부와 독창부가 번갈아 가면서 불리도록 이루어져 있다. 아리랑 변형판의 제목은 “아리랑” 앞에 기원한 장소나 가사의 의미를 따와 붙인다.

최초의 아리랑은 정선 아리랑으로 600여 년 전에 강원도 정선군에서 만들어졌다. 하지만 가장 유명한 아리랑은 경기도에서 130~100여 년 전에 만들어진 “본조(本調) 아리랑(신 아리랑, 경기 아리랑)”이다. 본조라고는 하지만 최초(또는 원조)는 아니다. 흔히 “아리랑”이라 하면 본조 아리랑(이하 경기 아리랑)을 가리킨다. (“본조 아파랑”과 “신 아리랑”은 다른 변종을 가리키기도 한다.) 구한말의 선교사 헐버트는 아리랑을 채보하여 영문 월간지 '한국소식' 1896년 2월호에 실었는데, 이것이 아리랑을 서양음계로 처음 채보한 것이다. 이때 헐버트는 아리랑은 한국인에게 쌀과 같은 존재라고 소개를 하였다. 최초로 채보된 아리랑은 문경새재 아리랑이다. 1926년의 한국 최초의 장편 영화 “아리랑”의 주제 음악으로 쓰여 유명해졌다. 2002년 월드컵에서는 '상암아리랑'이 울러퍼졌다.(출처 : 위키백과)

출처 : 정선군청

 정선 아우라지

  정선 아우라지

 정선 아우라지 

  정선 아우라지촌

 정선장터 공연장

위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정선 아리랑 (Jung-Sun Arirang) - 김영임 (Kim Young-Im) Korean Folk Song 

 인류의 무형유산 이란 ?

출처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