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기타/각종정보

‘김제 청룡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등 2건 보물 지정

노촌魯村 2014. 9. 23. 20:25

 

‘김제 청룡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등 2건 보물 지정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김제 청룡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나주 다보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소조십육나한좌상’ 등 2건을 보물로 지정하였다.

  

보물 제1833호 ‘김제 청룡사 목조관음보살좌상(金堤 靑龍寺 木造觀音菩薩坐像)’완주 봉서사 향로전(鳳棲寺 香爐殿)에 봉안(奉安)하기 위해 1655년에 조능(祖能)이라는 조각승이 제작한 관음보살상이다. 이 불상은 정확한 제작 시기와 조각승, 봉소 등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왕실의 안녕과 모든 중생의 성불을 염원하는 발원문(發願文)이 남아 있어 17세기 중엽 불상 연구에 기준이 되는 작품이다. 비록 상(像)은 소형에 해당되지만, 조선 후기 미의식인 대중적인 평담미(平淡美)를 담담하게 잘 표현하여 발원문과 함께 보물로 지정되었다.

※ 봉안(奉安): 신주(神主)나 화상(畵像)을 받들어 모심

※ 발원문(發願文): 신이나 부처에게 소원을 비는 내용을 적은 글

※ 평담미(平淡美): 평범하면서 담백한 아름다움

  

보물 제1834호 “나주 다보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소조십육나한좌상(羅州 多寶寺 木造釋迦如來三尊像 및 塑造十六羅漢坐像)”은 여러 존상에서 발견된 발원문에 1625년이라는 정확한 조성 시기와 조성 목적, 제작자, 시․발원자 등 불상의 조성과 관련된 구체적인 기록이 남아 있어 이 시기 불교조각 연구의 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이 불상은 17세기 전반기를 대표하는 조각승 수연(守然)과 그의 일파가 제작한 것으로, 16나한(羅漢)의 신통력과 특징을 생동감 있게 연출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 16나한(羅漢): 현세에서 정법(正法)을 지키는 16명의 아라한(阿羅漢)을 일컫는 말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가 위치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관리단체) 등과 적극적으로 협조하여 국가지정문화재가 체계적으로 보존․관리될 수 있도록 전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글.사진 출처: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