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기타/각종정보

‘청송 보광사 극락전’ 보물 지정

노촌魯村 2014. 12. 18. 00:30

 

‘청송 보광사 극락전’ 보물 지정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경북 청송군 청송읍 덕리 429)에 있는 ‘청송 보광사 극락전(靑松 普光寺 極樂殿)’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하였다.

 

보물 제1840호로 지정된 ‘청송 보광사 극락전’이 위치한 보광사는 “관아의 남쪽 5리에 있으며 심홍부(沈弘孚)의 무덤을 수호하는 사찰”이라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전하고 있어 15세기 심홍부의 수호사찰로 지어진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여지도서(輿地圖書): 조선 후기(1757~1765년)에 각각의 읍에서 편찬한 읍지(邑誌)를 모아 책으로 엮은 전국 읍지

※ 심홍부(沈弘孚): 고려 시대의 문신으로, 청송심씨(靑松沈氏)의 시조(始祖)

 

극락전은 근래에 수리 공사에서 발견된 상량문에 의하면 만력43년(萬曆43年, 1615)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극락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계 맞배지붕 형식의 건축물이며, 특징적인 것은 측면 박공 부분에 설치된 현어이다. 조선 중․후기의 현어는 앞뒤 박공판이 만나는 부분에 지네철이나 꺾쇠로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당초(唐草, 덩굴) 무늬의 현어를 목재로 사용한 것은 보기 드문 예에 속한다.

※ 만력(萬曆): 명나라 제13대 황제 신종(神宗) 대에 사용된 연호, 사용기간은 1573~1620년

※ 맞배지붕: 건물의 모서리에 추녀가 없고, 용마루까지 측면 벽이 삼각형으로 된 지붕

※ 박공: 맞배지붕의 측면에 ∧자형으로 붙인 건축 부재(部材)

※ 현어: 맞배지붕이나 팔작지붕의 박공 위쪽 밑부분에 달아놓는 장식물

※ 지네철: 박공이 용마루에서 마주치는 이음매에 걸쳐 박는 지네 모양의 쇳조각

 

‘청송 보광사 극락전’은 불전 건축의 구조 양식과 공포 구성에서 기존에 보물로 지정․보존하고 있는 ▲ 청도 대비사 대웅전(보물 제834호, 17세기) ▲ 청송 대전사 보광전(보물 제1570호, 1672년) ▲ 경산 환성사 대웅전(보물 제562호, 1635년) 청도 대적사 극락전(보물 제836호, 1635년) 등 17세기 불전 건축에서 채택된 건축수법과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글.사진 출처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