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창의문」 보물 지정 예고 |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한 「서울 창의문(서울 彰義門)」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창의문은 한양도성 4소문(四小門)의 하나로 서북쪽에 있는 문이다. 1396년 (태조 5) 도성 축조 시 건립되어 숙정문과 함께 양주, 고양 방면으로 향하는 교통로였으나 1416년(태종 16) 풍수지리설에 의해 폐쇄하여 통행을 금지하였으며, 이후 1506년(중종 1) 다시 문을 열어 통행이 가능해졌다.
1623년(인조 1)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능양군(인조)을 비롯한 반정군들이 창의문을 부수고 궁 안으로 들어가 광해군을 폐위하고 정권을 잡았던 역사적 무대이기도 하다.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문루가 불에 타 없어졌으나 1741~42년(영조 17~18) 중건되었는데, 이때 인조반정 공신들의 이름을 현판에 새겨 문루 내부에 걸어놓았다.
육축(陸築)은 숭례문, 흥인지문처럼 길고 네모난 장대석(長臺石)으로 축조하였고 내부에 성으로 올라가기 위한 등성시설(登城施設)을 설치하였다. 북쪽의 등성시설은 ‘ㄷ'자형의 일반적인 형태이나, 남쪽은 낮아지는 지형을 이용하여 만들었다. 문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우진각 지붕이며, 여장(女墻)은 총을 쏠 수 있는 총안(銃眼)이 없는 전돌로 축조되어 있다.
* 육축(陸築): 성문을 축조하기 위하여 큰 돌로 쌓은 성벽
* 여장(女墻): 성벽 위에 설치하는 낮은 담장
창의문은 한양도성 4소문 가운데 유일하게 조선 시대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문으로, 문루는 임진왜란 이후 18세기에 중건되어 큰 변형 없이 남아 있어 조선 후기 도성 문루의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며, 육축과 등성시설 또한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한 「서울 창의문」에 대하여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수렴된 의견을 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 절차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보물 지정 예고 개요 |
□ 종 별: 보물
□ 문화재명: 서울 창의문(서울 彰義門)
□ 지정내용
ㅇ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산1-1번지 등 4필지
ㅇ 양 식: 체성과 문루(목구조, 우진각지붕, 이익공)
ㅇ 수 량: 1동
ㅇ 조성연대: 체성(1396년), 문루(1741~42년)
ㅇ 소유자(관리자): 국유(서울특별시)
ㅇ 지정면적: 247.22㎡
□ 지정사유
ㅇ 서울 창의문(彰義門)은 한양도성 4소문(四小門)의 하나로 서북쪽에 있는 문임. 조선 1396년(태조 5) 도성 축조 시 건립되어 숙정문과 함께 양주, 고양 방면으로 향하는 교통로였으나 1416년(태종 16) 풍수지리설에 의해 폐쇄하여 통행을 금지하다가 1506년(중종 1)에 다시 문을 열어 통행이 가능해졌음.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능양군을 비롯한 반정군들이 이 문을 부수고 궁 안에 들어가 반정에 성공하였던 무대이기도 함
ㅇ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문루가 불타 없어졌으나 1741~42년(영조 17~18) 중건되었는데, 이때 인조반정 공신들의 이름을 현판에 새겨 문루 내부에 걸어놓았음
ㅇ 육축은 숭례문이나 흥인지문과 같은 장대석으로 축조하고 내부의 등성시설을 설치하였는데, 북쪽의 등성시설은 ‘ㄷ'자형의 일반적인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나 남쪽은 낮아지는 지형을 이용하여 축조하였음
ㅇ 문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우진각 지붕이고, 여장은 총안이 없는 전돌로 축조되어 있음. 가구 방식은 평주의 주두 위에 바로 대들보를 얹고 이 위에 다시 화반형 부재를 놓아 마룻보와 중도리의 짜임을 받쳤음. 마룻보 위에는 사다리꼴에 가까운 파련대공을 놓아 뜬창방·장여·도리로 짜여진 마룻도리를 받고 있음. 천장은 서까래를 모두 드러낸 연등천장임. 처마는 겹처마이고, 지붕 물매는 가파르지 않음. 지붕마루는 양성마루로 하고, 그 위에 취두·용두·잡상을 배열하고 추녀 끝의 사래에는 토수를 끼웠음
ㅇ 창의문은 한양도성 4소문 가운데 유일하게 조선 시대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문으로, 문루는 임진왜란 이후 18세기에 중건되어 큰 변형 없이 남아 있어 조선 후기 문루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며, 육축과 등성시설 또한 보존상태가 양호함
ㅇ 위 내용으로 살펴볼 때 창의문은 한양도성의 4소문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문이며, 건축 양식적 진정성과 조선 후기 도성 문루의 형식을 잘 보여주고 육축과 등성시설 또한 잘 보존되고 있는 등 학술적 가치와 역사적 의미가 큼
<글.사진 출처 : 문화재청>
'기타 > 각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S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와 관련된 기록물><한국의 유교책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확정 (0) | 2015.10.11 |
---|---|
나주 오량동 가마터에서 고대 대형 옹관 생산의 실마리를 찾다 (0) | 2015.10.06 |
「영월부 관아」 사적 지정 예고 (0) | 2015.09.26 |
민족의 노래 「아리랑」,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0) | 2015.09.26 |
신라 무덤의 비밀을 품고 있는 중앙아시아 초원 기마민족의 고분을 발굴하다-카자흐스탄‘카타르 토베 고분군’제1차 발굴조사 완료 - (0) | 201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