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기타/각종정보

「부산 운수사 대웅전」 보물 지정 예고

노촌魯村 2016. 1. 5. 20:36

부산 운수사 대웅전보물 지정 예고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1부산 운수사 대웅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부산 운수사 대웅전은 2013년 전면 해체 수리 때 종도리(宗道里)에서 발견된 2개의 묵서명(墨書銘)에 의해 1647년 공사를 시작해서 1655년 완공되었음이 확인되어, 부산 지역에 현재까지 남아 있는 목조 건축물 중 가장 오래된 것임을 수 있다.

* 종도리(宗道里): 건물의 가장 높은 곳인 용마루가 있는 부분에 놓이는 도리

 

정면 3, 측면 3칸 규모의 단아한 주심포(柱心包)계 맞배지붕 건물로, 우주(隅柱)의 하부에는 기둥 높이의 1/2 정도까지 원형 돌기둥을 세워 목재 기둥을 고 있다. 이는 범어사 대웅전, 범어사 일주문 등 부산 동래지역 건축물에서 다수 확인되어, 내륙지방에 비해 태풍이 잦고 비가 많은 데 따른 지역적 특성을 잘 나내고 있다.

* 주심포(柱心包): 공포를 기둥 위에만 배열한 것

* 우주(隅柱): 기단 모서리에 세워지는 기둥. 귓기둥

 

건물의 시대성을 볼 수 있는 공포는 배면이 정면보다 시기적으로 앞서 있다. 배면 공포의 소박한 살미와 결구방법은 조선 중기 건축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양산 신흥사 대광전, 부산 범어사 대웅전과 동일한 형식이다. 반면, 정면은 후대에 화려한 치장형 살미를 사용하여 장식적인 공포로 변화된 것으로, 동래향교 반화, 범어사 종루와 유사한 모습이다.

* 살미: 첨차(도리 방향으로 놓인 공포부재)와 직교하여 보 방향으로 걸리는 공포부재를 통칭

 

이는 주심포계 익공식(翼工式) 건물이 다포(多包)계 건축의 영향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잘 보여준다. 특히, 일반적인 익공식 건물의 경우 주두(柱頭) 아래의 기둥머리에 초익공(初翼工)을 끼워 공포를 구성하는데, 이와 달리 주두 위에서 구성 것은 운수사 대웅전만의 큰 건축적 특징이다.

* 익공식(翼工式): 창방과 직교하여 보방향으로 새 날개 모양의 익공이라는 부재가 결구되어 만들어진 공포 형식

* 다포(多包): 공포를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배열한 것

* 주두(柱頭): 공포 최하부에 놓인 방형의 부재

 

아울러 운수사 대웅전은 창호, 천장, 단청 등이 교체되고 변화되었으나 기본적인 구조는 1655년 최초 건립 당시의 형태와 1771년 고쳐 지은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물에 남아 있는 묵죽도(墨竹圖) 4점의 벽화는 창건 또는 18세기 중수 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운수사 대웅전의 시대성과 역사성을 증하고 있다. 그리고 종도리에서 발견된 2개의 묵서명은 많은 건축 정보를 담고 있는 소중한 연구자료일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도 지역 불교건축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이다.

 

이처럼 부산 운수사 대웅전은 조선 중기 이후 불전의 변화상을 구체적으로 살필 수 있는 흔치 않은 귀중한 불교 문화유산으로 역사적건축사적 가치가 크므로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되었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한 부산 운수사 대웅전에 대하여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수렴된 의견을 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 절차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보물 지정 예고 개요

 

지정명칭: 부산 운수사 대웅전(釜山 雲水寺 大雄殿)

지정종별: 보물

소 재 지: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로 219번길 173(모라동 5)

지정면적/보호구역: 128/4,023

소 유 자: 운수사

지정사유

부산 운수사 대웅전은 2013년 대웅전 전면 해체 수리 때 발견된 2개의 종도리묵서명에 의해 1647년에 공사를 시작해서 1655년에 완공된 것으로 확인됨

정면 3, 측면 3칸 규모의 단아한 주심포계 맞배집으로 자연석 초석 위의 둥은 모두 민흘림한 원주로 외진에 평주 8개와 고주 4, 내부 불단 좌우에 고주 2등 총 14개를 배치하였다. 우주의 하부에는 기둥 높이의 1/2 정도까지 원형 석주를 세워 목재 기둥을 받고 있으며, 이는 범어사 대웅전, 범어사 일주문 등 부산 동래지역 건축물에서 다수 보여지고 있어 내륙지방에 비해 태풍이 잦고 비가 많은 데 따른 지역적 특성을 잘 보여줌

가구의 경우 내부는 1고주 5량가, 측면은 2고주 5량가 구조이며, 건물의 대성을 볼 수 있는 공포는 배면이 정면보다 시기적으로 앞서 있다. 배면 공포의 소박한 살미와 결구방법은 조선 중기 건축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양산 신흥사 대광전, 부산 범어사 대웅전과 동일한 형식이다. 반면, 정면은 후대에 화려한 치장형 살미를 사용하여 장식적인 공포로 변화된 것으로, 동래향교 반화루, 범어사 종루와 유사한 모습으로 주심포계 익공식 건물이 다포계 건축의 영향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일반적인 익공식 건물의 경우 주두 아래의 기둥머리에 초익공을 끼워 공포를 구성하는데, 이와 달리 주두 위에서 구성한 것은 운수사 대웅전만의 큰 건축적 특징임

또한 종도리에서 발견된 2개의 묵서명은 많은 건축 정보를 담고 있는 중한 연구자료일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도 지역 불교건축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서 가치가 큼

운수사 대웅전은 창호, 천장, 단청 등이 교체되고 변화되었으나 기본적 구조는 1655년 초창과 1771년 중수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으며, 건물에 남아 있는 묵죽도 4점의 벽화는 창건 또는 18세기 중수 시에 그려진 것으로 정되고 있어 운수사 대웅전의 시대성과 역사성을 입증하고 있다. 묵서명에 의해 명확한 연혁이 확인되어 부산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로 자리 잡은 운수사 대웅전은 조선 중기 이후 불전의 변화상을 구체적으로 살필 수 있는 흔치 않은 귀중한 불교문화유산으로 건축사적 가치가 크므로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서의 가치가 있음

<글.사진 출처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