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참동계」등 4건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예고 |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주역참동계」등 4건을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주역참동계(周易參同契)」는 후한조(後漢朝) 위백양(魏伯陽, 100~170)의 저술로, 도가(道家)의 심신수련 방식과 장생불로(長生不老)를 위하여 복용하는 단약(丹藥)의 제조법에 관한 4~5자의 운문(韻文)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에 지정 예고되는 「주역참동계」는 명조(明朝) 초기에 장본진(張本鎭, 생몰연대 미상)이 송말원초(宋末元初)에 유염(兪琰, 1258~1327)이 저술한 「주역참동계발휘(周易參同契發揮)」(3편)와 「주역참동계석의(周易參同契釋疑)」(3편)를 합본(合本)하여 간행한 것을 원본으로 1441년(세종 23)에 초주갑인자(初鑄甲寅字)로 인출(印出)된 것이다. 초주갑인자로 간행된「주역참동계」는 이것이 유일본으로, 조선 초기의 도가사상과 장례풍속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는 점에서 학술적‧문화재적 가치가 매우 높은 귀중본이다.
「은제도금화형탁잔(銀製鍍金花形托盞)」은 은에 금을 입힌 탁잔(托盞)으로, 잔과 잔을 받치는 잔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잔과 잔탁의 형태는 모두 6개의 꽃잎형으로 이루어져 고려 은제탁잔 가운데 가장 뛰어난 조형적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다. 이러한 격조 높은 탁잔은 고려 문벌귀족 문화가 화려하게 꽃피웠던 12~13세기의 금속공예를 비롯하여 청자에 이르기까지 널리 제작·사용되었으며, 1123년 송나라 사신 서긍(徐兢)이 고려를 방문하고 기록한『선화봉사고려도경』을 통해 그 실상을 확인할 수 있다. 잔과 잔탁의 입술과 몸체 안팎으로는 모란의 나뭇가지를 묘사한 모란절지문(牡丹折枝文), 꽃무늬, 연꽃의 꽃잎을 펼쳐 놓은 모양을 연속무늬로 문양화한 연판문(蓮瓣文) 등을 세밀하게 새겨 넣어 화려함을 극대화하였고, 잔 받침대에 오돌토돌 타출(打出)기법으로 올린 꽃무늬 또한 흠잡을 데 없이 정교하여 고려 시대 가장 뛰어난 시기의 금속공예 자료이다.
* 탁잔(托盞): 잔과 잔을 받치는 잔탁이 한 벌을 이룰 때 ‘탁잔(托盞)'이라 함
「서경우 초상 및 함」은 조선 중기 문신 서경우(徐景雨, 1573∼1645)의 초상으로, 지금까지 큰 손상 없이 원래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는 작품이다. 머리에는 관복과 함께 착용하는 오사모(烏紗帽)를 쓰고 옷깃이 둥근 흑색의 단령(團領)을 입은 좌안 7분면(左顔 七分面)의 전신교의좌상(全身交椅坐像)이다. 의복의 가슴에는 한 쌍의 학을 묘사한 쌍학흉배(雙鶴胸背)가 수놓아져 있으며, 사모(紗帽)는 끝이 평평하고 양쪽으로 펼쳐진 양각(兩脚)은 넓고 짧으면서 둥근 17세기 초의 양식을 반영하였다. 아울러 양미간에 몇 개의 주름선으로 표현된 진지한 풍모와 양쪽으로 뻗치는 의자 손잡이 등도 17세기 초의 시대성을 보여주는 요소들로 17세기 초상화의 우수한 수준을 잘 담았다.
* 좌안 7분면(左顔 七分面): 왼쪽 얼굴 부분이 약 70% 정도 더 드러나게 그린 것
* 전신교의좌상(全身交椅坐像): 의자에 앉아 있는 몸 전체를 그린 것
「서문중 초상 및 함」은 조선 후기 문신 서문중(徐文重, 1634∼1709)의 초상으로, 조선 시대 시복본(時服本) 전신좌상(全身坐像) 가운데 높은 예술성을 잘 보여주는 뛰어난 작품이다. 오사모에 담홍색 시복을 착용하고 허리띠인 삽은대(鈒銀帶)를 두른 전신교의좌상으로, 의자인 교의(交椅)에는 표범가죽이 덮여 있고 발밑의 족좌대(足座臺)에는 무늬가 없는 민돗자리가 깔려 있다. 좌안 7분면의 얼굴은 코와 눈두덩 주위의 움푹 들어간 부분, 입 주위 등의 주름을 뚜렷이 표시한 후 음영을 넣어 묘사하였다. 알맞은 신체 비례와 비교적 사실적인 옷 주름선, 상(像)과 교의, 족좌대의 합리적 연관성 등은 18세기 초 이후의 양식을 뚜렷하게 반영하였고, 초상화를 보관한 조선 후기의 함도 남아 있다.
* 시복(時服): 관원들이 평상시 공무복으로 입던 옷
서경우 초상과 서문중 초상은 조선 중기 17세기 초와 조선 후기로 넘어가는 18세기 초에 유행한 화풍상의 특징을 공신상(功臣像)과 평상복인 시복상(時服像) 양면에서 각기 잘 반영된 수작이다. 그리고 조선 후기에 제작된 초상함은 초상화와 함께 역사성을 일정 부분 공유하고 있어 함께 문화재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한「주역참동계」등 4건에 대해 30일간의 지정 예고 기간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지정 예고 목록 |
연번 | 문화재명 | 수량 | 소유자(보관처) |
1 | 주역참동계 | 2권 2책 | 고령신씨 안협공파 종중 (국립중앙박물관) |
2 | 은제도금화형탁잔 | 1조 | 국유 (국립중앙박물관) |
3 | 서경우 초상 및 함 | 1건 2점 | 개인 |
4 | 서문중 초상 및 함 | 1건 2점 | 개인 |
<글.사진출처:문화재청>
'기타 > 각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덕 무안박씨 무의공파 종택」 및 「안동 시은고택」 중요민속문화재 지정 예고 (0) | 2016.03.04 |
---|---|
「부산 운수사 대웅전」 보물 지정 (0) | 2016.03.04 |
「노영 필 아미타여래구존도 및 고려 태조 담무갈보살 예배도」등 9건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0) | 2016.02.22 |
복수초(福壽草) - 장춘화(長春花)·설련(雪連) - (0) | 2016.02.21 |
서향(瑞香) -천리향(千里香)- (0) | 2016.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