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기타/각종정보

제작연대가 새겨진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청동북 「함통6년명 청동북」등 10건 보물 지정 예고

노촌魯村 2016. 6. 30. 21:03

제작연대가 새겨진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청동북 함통6년명 청동북10건 보물 지정 예고

 

문화재청(청장 나선화)함통6년명 청동북10건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함통6년명 청동북(咸通六年銘 靑銅金鼓)은 문화재청과 국립중앙박물관이 문화재청과 국립중앙박물관의 문화재 보존관리 협력에 관한 협약서(2013)에 따라 지정조사와 문화재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이번에 물로 지정 예고되었다.

 

경상북도에서 발견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 이 청동북은 865(경문왕 5)만들었다는 명문이 적혀 있어, 우리나라에서 제작연대가 새겨진 청동북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 명문: 함통육세을유이월십이일성내시(?)(?)사금구(咸通陸歲乙酉二月十二日成內時(?)(?)寺禁口)

 

청동북은 범종(梵鍾)과 함께 사찰 의식 때 범음(梵音)을 내는 주요 의식법구로 불교 전래 이후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름 31.5cm, 10.5cm의 아담한 크기인 이 청동북은 전체적으로 푸른 녹이 고르게 슬어 고풍스러운 느낌을 준다.

 

측면은 두텁고 뒷면은 둥그렇게 입을 크게 벌린 모습이며, 앞면은 불법(佛法) 퍼져 나가듯 굵고 가는 선으로 이루어진 둥근 융기동심원(隆起同心圓)을 돌당좌구(撞座區, 북을 치는 부분), (中區), 외구(外區) 등 세 부분으로 구획하였다.

 

측면에는 위쪽에서부터 거의 90도 간격을 두고 세 곳에 고리를 달았으며, 여백 면을 돌아가며 북의 제작과 관련된 명문을 새겼다. 명문은 글씨의 좌우가 반대인 좌서(左書)로 쓰여졌으며, 그 내용은 제작 연대(865)와 청동북의 명칭(금구, 禁口) 등이 주류를 이룬 가운데 이룬, 이루다(成內)’ 등 이두식 표기도 눈길을 끈다.

 

한편,묘법연화경 목판(妙法蓮華經木板)등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된 9건은 문화재청이 ()불교문화재연구소와 함께 진행 중인 전국사찰 일제조사 사의 첫해(2014)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시기성·명확성·결성·귀성 등의 기준에 따라 선별된 목판에 대해 지정조사와 문화재위원회 검토를 거쳐 보물로서의 지정가치를 인정받은 문화재이다.

 

강화 전등사 소장본묘법연화경 목판(妙法蓮華經木板)대방광불화엄경 더불어 대표적인 불교경전중 하나인 묘법연화경을 새긴 것으로, 전체 105가운데 첫 부분인 1판이 없는 상태이나, 조선 초기부터 16세기까지 성행되었던 성달생(成達生, 1376~1444) 서체 계열의 묘법연화경중 시대가 가장 앞서는 목판 자료라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순천 송광사 소장본대방광불화엄경소 목판(大方廣佛華嚴經疏木板) 2,347판이 보존되어 있는데,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을 제외하고는 우리나라에 현재 전해지고 있는 불서 목판 중에서 가장 방대한 자료이다. 이 목판은 승려인 벽암 각성(碧巖 覺性, 1575~1660) 등이 중심이 되어 14개월에 걸친 짧은 기간에 전문인력 50여 명을 동원하여 만든 것으로, 간행 시기와 목판 수량 등에 있어 문화재적 가치가 크다

 

우리나라에 들어온대방광불화엄경소()의 징관(澄觀)이 해석한 대방광불화엄경80권본에 대하여 송()의 정원(淨源, 10111088)이 다시 알기 쉽게 풀이한 120권본이다. 고려 때 2,900여 장의 판본이 국내에 수입되어 유통되었고, 조선 시대에는 세종 연간에 왕실이 중심이 되어 판각한 이래 황해도 귀진사(1557~1564), 경기도 용복사(1629~1631), 순천 송광사(1634~1635)에서 전질 간행하였다. 현재 귀진사와 용복사 간본은 목판이 남아 있지 않을뿐더러 책자 역시 아주 일부분만 전해지고 있다.

 

순천 송광사 소장본계초심학인문(언해) 목판誡初心學人文(諺解)木板 불교를 수행하는 초보자가 경계해야 할 내용을 적은 보조국사 지눌(知訥)초심학인문을 비롯하여 ‘()법어()法語‘, ‘몽산화상법어약록(蒙山和尙語略錄)’ 등이 함께 수록된계초심학인문을 한글로 풀어 쓴 언해본이 새겨진 목판이다. 47판 가운데 현재 45판이 남아 있다. 세조 연간에 간경도감에서 몽산화상법어약록‘()법어를 언해하여 간행한 판본이 전해지고 있으나, 송광사의 계초심학인문(언해)은 종합적인 구성에 한자음을 달고 언해까지 첨부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순천 송광사 소장본인천안목 목판(人天眼目木板)은 전체 42판이 완전하게 전해지고 있다. 인천안목은 남송(南宋)의 승려 청안 지소(靑眼智昭)가 펴낸 책으로 당시 중국 선종의 5(五家)인 임제종(臨濟宗), 위앙종(潙仰宗), 조동종(曹洞), 운문종(雲門宗), 법안종(法眼宗)의 핵심적인 내용을 알리기 위한 가르침들을 수록하였다. 이 책은 1357 고려 수경선사본이 간행되었고, 이후 1395년 양주 암사본, 1529년 순천 송광사본, 1530년 진산 서대사본 등이 판각되었던 적이 있으나, 모본이 되는 목판이 전해지는 것은 이 목판이 유일하다.

 

순천 송광사 소장본종경촬요 목판(宗鏡撮要木板)은 모두 17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경촬요는 북송의 승려 영명연수(永明延壽)가 편찬한 종경록(宗鏡錄)의 요점을 간추려 엮은 책으로, 1213년 수선사(修禪社, 현재의 송광사)에서 진각국사 혜심(慧諶)이 주관하여 재간행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나 현재 전해지고 있는 목판은 없다. 송광사 소장본종경촬요 목판(宗鏡撮要木板) 1531조계산 은적암에서 다시 만든 것으로 지금까지 남아 있는 유일판이다.

 

순천 송광사 소장본청량답순종심요법문 목판(淸凉答順宗心要法門木板) 당나라의 징관(澄觀)이 당 순종(順宗)의 물음에 따라 법문에 이르는 긴요한 진리를 간명하게 설법한청량답순종심요법문2매의 목판에 새긴 것이다. 비록 수량은 적으나, 1531년에 송광사에서 간행된 이후 계속 송광사에 완전하게 전해지 있는 목판으로서 중요한 자료이다.

 

순천 송광사 소장본천지명양수륙잡문 목판(天地冥陽水陸雜文木板)수륙재(水陸齋)에 관한 불교의식집인 천지명양수륙잡문144장을 총 38매의 목판에 새긴 것이다. 일부 닳아서 어진 글자가 있기는 하지만 목판의 간행기록(1531, 중종 26)에서 알 수 있듯이, 조선 시대에 간행된천지명양수륙잡문의 현재 남아 있는 판본 중 가장 오래된 것이며 완전하게 전해지고 있어 가치가 크다.

 

서산 개심사 소장본 달마대사관심론 목판(達磨大師觀心論木板)은 중국 선종의 시조인 보리달마(菩提達磨)가 설한 심론(心論)을 정리한달마대사관심론1부터 22장까지의 내용 전체를 총 8판에 새긴 것으로, 1580년에 제작되었다. 1~21까지는 1~7판에 새겨져 있고, 마지막 판에는 제22장과 도가논변모자이혹론(道家論辨牟子理或論)17장이 함께 담겨 있다. 조선 시대에 간행된 달마대사관심론은 고창 문수사 간본(1538), 무등산 안심사 간본(1570) 있으나, 판으로 현재 전해지는 것은 개심사 소장본이 유일하다.

 

서산 개심사 소장본 달마대사혈맥론 목판(達磨大師血脈論木板)은 중국 선종의 시조인 보리달마(菩提達磨)법문을 문답형식으로 기록한 달마대사혈맥론1~20장을 목판 7매에 담은 것이다. ‘()’자형으로 굽어진 목판도 사용하였는데, 이 경우에는 굽어진 형태에 맞추어 내용을 새겨 놓았다. 이렇게 서적을 목판의 크기나 모양에 맞추어 자유분방하게 새긴 사례는 매우 특이한 경우에 속한다.

이 목판은 15795월 간행되어 지금까지 거의 완전하게 전해지고 있다. 조선 대에 간행된 마대사혈맥론이 국내에 책으로 남아 있는 것 중 개심사 소장본보다 앞선 판본으로는 광양 옥룡사 간본(1473), 무등산 안심사 간본(1570) 이 있으나, 판이 완전하게 전해지고 있는 것은 개심사 소장달마대사혈맥론 목판(達磨大師血脈論木板)뿐이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한함통6년명 청동북10건에 대30일간의 예고 기간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할 예정이다.


지정 예고 목록


연번

문화재명

수량

소유자(보관처)

1

함통6년명 청동북

1

국유(국립중앙박물관)

2

묘법연화경 목판

104

전등사

3

대방광불화엄경소 목판

2,347

송광사

4

계초심학인문(언해) 목판

45

송광사

5

인천안목 목판

42

송광사

6

종경촬요 목판

17

송광사

7

청량답순종심요법문 목판

2

송광사

8

천지명양수륙잡문 목판

38

송광사

9

달마대사관심론 목판

8

개심사

10

달마대사혈맥론 목판

7

개심사

 

<글.사진 출처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