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기타/각종정보

파주 운정3 택지개발지구에서 백제초기 토기제작터 발굴

노촌魯村 2016. 8. 4. 21:53

파주 운정3 택지개발지구에서 백제초기 토기제작터 발굴

- 2016.8.5 오후 2시 일반인 대상 현장설명회 개최 -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의 허가를 받아 경기문화재연구원(원장 김성범)이 발굴조사 중인 파주 운정3 택지개발지구내에서 백제 초기 토기가마군()이 확인되어 오는 2016년 8월 5() 오후 2시에 현장설명회를 개최한다.

* 발굴현장: 경기도 파주시 다율동 산27-1번지 일대

 

해당 지역에서는 지난해 9월부터 조사가 시작되어 지금까지 백제초기 토기가마 9기가 확인되었는데, 이 중 7기는 한 곳에 모여 조성되어 있다. 토기가마 중에는 길이가 최대 17m를 넘는 것도 있어 규모가 꽤 큰 편으로, 지하식과 반지하식이 모두 있다. 대부분 소성실(토기나 기와를 굽는 곳)-연소실(불을 때는 곳)-요전부(아궁이 및 가마작업장)-폐기장의 구조였으며, 남아있는 상태도 양호하여 일부는 천정부 벽체편까지 남아 있는 것도 있다.

 

연소실 앞쪽에는 기둥구멍들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연소실 상부구조 또는 연소실 공기차단과 관련된 시설로 추정된다. 이중 토기가마 2기는 일반적인 긴 타원모양으로, 하단부에 바로 폐기장이 있는 구조였다. 한편, 주변에 가마와 관련된 토기제작 작업장과 점토보관소로 볼 수 있는 수혈(구덩이)도 같이 확인되어, 이 일대가 백제초기 토기제작터(토기가마-작업장-점토보관소-폐기장)였음을 알 수 있다.

 

유물로는 큰 독 조각(격자 타날*)이 주로 나왔으며, 타날문토기조각(승문+침선) 일부 출토되었고, 시기는 3~4세기 백제초기로 추정된다. 이처럼 집단으로 백제초기 토기가마군 및 작업장이 함께 조사된 사례는 경기북부지역에서는 처음 있는 일로, 앞으로 백제초기의 토기 생산방식과 가마구조 연구 등 관련 학계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타날 - 토기벽을 고르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토기의 몸통을 다지거나 부풀리기 위해 밖에서는 두들개로, 안에서는 흙방망이(받침모루)로 두드리는 것

 

문화재청 전문가 검토회의를 마친 후 해당 지역의 토기가마군은 훼손되지 않도록 복토보존되고, 향후 역사교육의 장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이번 발굴조사 성과는 오는 2016년 8월 5일 오후 2시 현장설명회를 통해 일반에 공개한다.



<글.사진 출처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