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 한양조씨 사월 종택」 국가민속문화재 지정 예고 |
문화재청(청장 김종진)은 「영양 한양조씨 사월 종택」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 예고하였다.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 예고된 「영양 한양조씨 사월 종택」은 영양에 처음 입향(入鄕)한 조원(趙源, 1511~?)의 손자 조임(趙任, 1573~1644)이 1602년 건립한 것으로 전해지며, 북쪽의 야산을 뒤로 하고 남쪽으로는 반변천(半邊川)과 농경지를 바라보고 있는 배산임수(背山臨水)의 형국을 이룬다.
고택은 ‘ㅁ’자형 본채와 왼쪽의 방앗간채, 오른쪽 뒷면에 별도의 영역을 이룬 사당으로 구성된다. 주목할 점은 본채는 경북지역 상류 주택의 보편적인 특징으로 보이는 ‘ㅁ’자형의 공간구성을 취하고 있으나, 사랑채는 ‘ㅁ’자형의 바깥에 자리한 점이다. 이는 사랑채가 안채로부터 분리되어가는 과도기적인 모습으로 17세기 경북 지역의 중요한 건축적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영덕 충효당 종택(국가민속문화재 제168호), 영덕 무안박씨 무의공파 종택(국가민속문화재 제286호) 등에서도 사랑채가 분리된 유사한 공간구성을 볼 수 있는데, 조선 중기 성리학적 질서가 자리를 잡으며 남성의 활동공간인 사랑채가 분리되는 변화과정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는 안동문화권의 ‘ㅁ’자 가옥 중에서도 독특한 평면 형태이다. 또한, 한양조씨 사월종가 가문이 영덕 지방의 가문들과 혼인으로 연결된 점을 미루어 볼 때, 주택의 평면형태가 지역적인 특징과 더불어 혼인 관계에도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영양 한양조씨 사월 종택」은 건립연대가 비교적 이르며, 건립과 중수 등의 기록을 알 수 있는 문헌과 편액 등 관련 기록이 비교적 잘 남아 있다. 조임의 사월문집책판은 타 문중의 책판과 함께 ‘한국의 유교책판(‘15.10.9.)’으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고, 종가의 중요한 의례인 제례는 4대 봉사, 명절제사, 묘사 등이 그대로 전승되고 있다.
* 국가민속문화재 고택의 경우 18~19세기 건립된 경우가 많으나, 사월 종택은 17세기 건립
이처럼 「영양 한양조씨 사월 종택」은 종가가 갖는 역사‧문화적인 현상과 변화상을 찾아 볼 수 있는 유·무형의 자료가 전승되고 있고, 기본적인 역사성‧학술성의 요건을 갖추어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할 가치가 있다.
문화재청은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 예고한 「영양 한양조씨 사월 종택」에 대하여 30일간의 지정 예고 기간에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할 예정이다.
지 정 예 고 개 요 |
□ 영양 한양조씨 사월 종택
○ 소 재 지: 경상북도 영양군 영양읍 원당길 2-1 (하원리 205-1)
○ 시 대: 조선 시대
○ 소 유 자: 조준길
○ 수 량: 일곽(건물 3동, 토지 3,615.03㎡<6필지>)
- 건물: 3동(와가: 2동/174.8㎡)
* 와가: 본채 154.24㎡, 사당 20.56㎡
- 토지: 6필지 3,615.03㎡
* 현재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2호「영양 월담헌과 사월 종택」
○ 지정 예고 사유
- 「영양 한양조씨 사월 종택」은 영양에 처음 입향한 조원(趙源, 1511~?)의 손자 조임(趙任, 15731~1644)이 1602년 건립한 것으로 전해지며, 북쪽의 야산을 뒤로하고 남쪽으로는 반변천과 농경지를 바라보고 있는 배산임수의 형국을 이룸
- 고택은 ‘ㅁ’자형 본채와 좌측의 방앗간채, 오른쪽 뒷면에 별도의 영역을 이룬 사당으로 구성됨. 특히, 본채는 경북지역 상류 주택의 보편적인 특징으로 보이는 ‘ㅁ’자형의 공간구성을 취하고 있으나, 안채와 사랑채의 연결방식이 다른 방식을 보이고 있음. 이것은 사랑채가 안채로부터 분화되어 가는 과도기적인 모습으로서 중요한 건축적 특징이라 할 수 있음
- 또한, 영덕 충효당 종택(국가민속문화재 제168호), 영덕 무안박씨 무의공파 종택(국가민속문화재 제286호) 등에서 이와 유사한 형태를 볼 수 있는데, 한양조씨 사월종가 가문이 영덕 지방의 가문들과 혼맥으로 연결되어 있는 점을 미루어 볼 때, 주택의 평면형태가 지역적인 특징과 더불어 혼인관계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주목됨
- 건립연대가 비교적 이르며, 건립과 중수 등의 기록을 알 수 있는 문헌과 편액 등 관련 기록이 비교적 잘 남아 있고, 고택의 보존 상태도 양호함. 조임의 사월문집책판이 타 문중의 책판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종가의 중요한 의례인 제례는 4대 봉사와 명절제사, 묘사 등이 그대로 전승되고 있음. 이와 같이 사월종택은 종가가 갖는 역사‧문화적인 현상과 변화상을 찾아 볼 수 있는 유‧무형의 자료가 어느 정도 전승되고 있다는 점에서 기본적인 역사성‧학술성의 요건을 갖추어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할 가치가 있음
<글.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기타 > 각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경매 출품‘옥천사 나한상’, 국내로 돌아온다 (0) | 2017.11.14 |
---|---|
천안 성거산 위례성에서 백제 시대 최대 목곽고 확인 (0) | 2017.11.13 |
나라 밖 우리 그림, 제 모습을 찾다 (0) | 2017.11.09 |
전북 장수에서 가야 수장층 무덤을 알리는 마구류 출토 (0) | 2017.11.08 |
2018년도 세계자연유산․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신청 대상 선정 (0) | 2017.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