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기타/각종정보

「대한민국임시의정원 문서」등 6건 문화재 등록,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구 본관」등 2건 문화재 등록 예고

노촌魯村 2018. 5. 8. 21:16

대한민국임시의정원 문서6건 문화재 등록,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구 본관2건 문화재 등록 예고

 

문화재청(청장 김종진)대한민국임시의정원 문서를 포함한 총 6건을 문화재로 등록하고,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구 본관을 포함한 총 2건은 문화재 등록 예고하였다.

 

이번에 등록이 결정된 문화재는 항일독립 문화유산인 대한민국임시의정원 문서, 조일관계사료집, 윤동주 친필원고, 이육사 친필원고 편복(蝙蝠)’, 장효근 일기5건과 근대 건축유산으로서 가치가 있는 부산 우암동 소막마을 주택1 등 총 6건이다.

 

등록문화재 제710 대한민국임시의정원 문서3.1운동 직후인 1919411일 중국 상하이에 설립된 대한민국임시의정원이 1945817일까지 개최한 정기회와 임시회 회의록 등이 포함된 자료이다. 임시의정원 의장을 네 차례 한 홍진(1877~1946)이 해방 후 1945121일 환국할 때 국내로 가지고 들어왔고, 홍진이 별세한 이후 유족들이 보관하다 1967년 국회도서관에 기증하였다. 이 문서는 임시의정원이 생산한 기록물 중 현존하는 귀중한 원본 자료로, 임시의정원뿐만 아니라 임시정부의 활동내역과 변천 과정 등을 알 수 있어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등록문화재 제711조일관계사료집은 대한민국임시정부가 편찬한 최초이자 유일한 역사서로, 조선총독부 등에서 발간하는 일제의 선전물이 식민통치의 상을 왜곡하고 있다는 사실을 국제사회에 알리고, 국제연맹에 우리 민족의 독립을 요구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한일관계사를 삼국 시대부터 연대별로 다루어 일본의 침략성을 실증하고, 경술국치 이후 식민탄압의 잔혹성과 3.1운동의 원인과 전개과정 등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4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당시 100질이 만들어졌으나, 현재 국내에서 완질로 전하는 것은 독립기념관 소장본이 유일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등록문화재 제712윤동주 친필원고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시인 윤동주(1917~1945)의 유일한 친필원고이다. 개작(改作) 등을 포함하여 시 144편과 산문 4편이 쓰여 있는 윤동주 친필원고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와 같이 개별 원고를 하나로 묶은 시집 3책과 산문집 1, 낱장 원고 등으로 되어있다. 광복직후 북간도에서 서울로 와, 형의 자취와 행적을 찾아다니던 동생 윤일주에게 고인의 유고와 유품을 가지고 있던 친지들이 전해주었고, 시인의 여동생 윤혜원이 고향을 떠나며 가지고 온 것이 더해졌다. 이렇게 모인 유품들을 60년 가량 윤일주(1985년 작고) 가족이 보관하고 있다가 20132월 연세대학교에 기증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등록문화재 제713이육사 친필원고 편복(蝙蝠)’은 시인이자 독립운동가인 이육사(이원록, 1904 ~1944)가 남긴 시 편복의 친필원고로, 동굴에 매달려 살아가는 박쥐에 빗대어 일제강점기 우리 민족의 현실을 형상화하였다. 당시 편복일제의 사전 검열에 걸려 발표되지 못했으나, 해방 후인 1956육사시집에 처음 수록되어 일반에 알려지게 되었다. 이육사의 시 중에서 가장 중량 있고 훌륭한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는 편복의 친필원고는 유족들이 소장해오다 경북 안동에 있는 이육사문학관에 기증했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追敍)하였다.

* 추서(追敍): 돌아가신 후 관등을 올리거나 훈장을 줌

 

등록문화재 제714장효근 일기는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인 장효근(1867~1946)1916년부터 1945년 해방을 맞이할 때까지 거의 하루도 빠뜨리지 않고 기록한 한문체의 일기이다. 장효근은 제국신문(帝國新聞), 만세보(萬歲報) 등의 창간과 발행을 통해 애국계몽운동에 참여하였고, 3.1운동이 추진되던 1919 227일 천도교에서 운영하던 인쇄소 보성사(普成社)에서 독립선언서 2만여 매를 인쇄하여 배포한 혐의로 5개월간 옥고를 치렀다. 유족들이 독립기념관에 기증한 그의 일기에는 일제강점기 사회상과 국내외 정세, 독립운동에 대한 사실들이 기록되어 있어 역사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이와 함께, 등록문화재 제715 부산 우암동 소막마을 주택은 해방 이후 귀환 동포와 한국전쟁 중 부산으로 밀려드는 피란민들의 거주 공간 확보를 위해 () 막사(幕舍)’를 주거시설로 변용(變容)한 것으로 당시 피난민의 삶을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산업화 시기 인근 지역에 조성된 공장, 항만 등으로 유입된 노동자들의 생활공간으로서 오늘날까지도 그 기능을 유지해 오고 있다는 점에서 근대문화유산으로서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이번에 등록 예고된 문화재는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구 본관, 천주교 광주대교구청본관, 헨리관, 식당동등 총 2건이다.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구 본관1948년에 착공되어 한국전쟁 기간인 1951년에 완공된 후 광주의과대학 본관과 전남대학교 본부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전남대학교 의학박물관으로 쓰이는 건물이다. 동 시대에 건립된 대학 건축물과 비교할 때 한국전쟁 중에도 꾸준히 건축공정이 진행된 점, 모더니즘의 세련된 디자인, 조적조(이용해 쌓음)와 철근콘크리트 슬라브 연결의 적합성 등 역사적, 건축사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간직하고 있어 등록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있다.

* 슬라브(slab): 교량, 건축물 등 구조물이 수평인 판상(바닥, 천장 등)을 말함

 

천주교 광주대교구청-본관, 헨리관, 식당동은 지난 2017년 등록문화재 제681호로 등록된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브레디관과 함께 1961년 대건신학교 건물로 건립되었다. 본관을 중심으로 브레디관, 헨리관, 식당동 등 4동 건물이 지상에서 뿐만 아니라 지하에서도 상호 연결된 유기적 공간 구성을 하고 있는 점 등은 다른 건물에서 쉽게 찾아볼 수 없는 특징으로 천주교사적인 의미와 함께 근대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가 높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지정된 6건의 등록문화재를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소유자(관리자) 등과 협력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활용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이번에 등록을 예고한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구 본관2건은 30일간의 등록 예고 기간 중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등록할 예정이다.

문화재 등록 개요

1. (등록) 대한민국임시의정원 문서  

문화재명: 대한민국임시의정원 문서  

종 별: 등록문화재 제710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1 국회도서관  

제작연대: 19191945  

수 량: 1(낱장 모음  

소 유 자: 국회도서관  

등록 사유

         ㅇ 3.1운동 이후인 1919411일 중국 상해에서 설립된 대한민국임시의정원이 1945817일까지 개최한 정기회와 임시회 회의록 등이 포함된 문서이다. 임시의정원 의장을 네 차례 역임한 홍진이 1945년 해방 후 그 해 121환국할 때 국내로 가지고 들어왔고, 홍진이 별세한 이후 유족들이 보관하다 1967년 국회도서관에 기증하였다. 이 문서는 임시의정원이 생산한 기록물 중 현존하는 귀중한 원본 자료로, 임시의정원뿐만 아니라 임시정부의 활동내역 및 변천과정 등을 알 수 있어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2. (등록) 조일관계사료집  

문화재명: 국제연맹제출 조일관계사료집  

종 별: 등록문화재 제711  

소 재 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삼방로 95 독립기념관  

제작연대: 1919  

수 량: 4  

소 유 자: 독립기념관  

등록 사유

대한민국임시정부가 편찬한 최초이자 유일한 역사서로, 조선총독부 등에서 발간하는 일제의 선전물이 국제적으로 식민통치의 실상을 왜곡하는 것에 대응하고, 국제연맹에 우리 민족의 독립을 요구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 책은 한일관계사를 삼국시대부터 연대별로 다루어 일본의 침략성을 실증하고, 경술국치 이후 식민탄압의 잔혹성과 3.1운동의 원인 및 전개과정 등을 포함하여 4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당시 100질이 만들어졌으나, 현재 국내에서 완질로 전하는 것은 독립기념관 소장본이 유일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3. (등록) 윤동주 친필원고  

문화재명: 윤동주 친필원고  

종 별: 등록문화재 제712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제작연대: 19341941  

수 량: 4(시집 3, 산문집 1), 기타 낱장 모음 2  

소 유 자: 연세대학교  

등록 사유

우리나라의 대표적 시인 윤동주(1917~1945)의 유일한 친필원고이다. 개작(改作) 등을 포함하여 144편과 산문 4편이 쓰여 있는 윤동주 친필원고하늘과 바람과 별과 와 같이 개별 원고를 하나로 묶은 시집 3책과 산문집 1, 낱장 원고 등으로 되어있다. 광복직후 북간도에서 서울로 와, 형의 자취와 행적을 찾아다니던 동생 윤일주에게 고인의 유고와 유품을 가지고 있던 친지들이 전해주었고, 시인의 여동생 윤혜원이 고향을 떠나며 가지고 온 것이 더해졌다. 이렇게 모인 유품들을 60년 가량 윤일주(1985년 작고) 가족이 보관하고 있다가 20132월 연세대학교에 기증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4. (등록) 이육사 친필원고 편복(蝙蝠)’  

문화재명: 이육사 친필원고 편복(蝙蝠)’  

종 별: 등록문화재 제713  

소 재 지: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백운로 525 이육사문학관  

제작연대: 19391940(추정)  

수 량: 2(2)  

소 유 자: 이육사문학관  

등록 사유

시인이자 독립운동가인 이육사(이원록, 1904~1944)가 남긴 시 편복의 친필원고로, 동굴에 매달려 살아가는 박쥐에 빗대어 일제강점기 우리 민족의 현실을 형상화하였다. 당시 편복은 일제의 사전 검열에 걸려 발표되지 못했으나, 해방 후인 1956육사시집에 처음 수록되어 일반에 알려지게 되었다. 이육사의 시 중에서 가장 중량 있고 훌륭한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는 편복의 친필원고는 유족들이 소장해오다 경북 안동에 소재한 이육사문학관에 기증되었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5. (등록) 장효근 일기  

문화재명: 장효근 일기  

종 별: 등록문화재 제714  

소 재 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삼방로 95 독립기념관  

제작연대: 19161945  

수 량: 27  

소 유 자: 독립기념관  

등록 사유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인 장효근(1867~1946)1916년부터 1945년 해방을 맞이할 때까지 거의 하루도 빠뜨리지 않고 기록한 한문체의 일기이다. 장효근은 제국신문(帝國新聞), 만세보(萬歲報) 등의 창간과 발행을 통해 애국계몽운동에 참여하였고, 3.1운동이 추진되던 1919227일 천도교에서 운영하던 인쇄소 보성사(普成社)에서 독립선언서 2만여 매를 인쇄하여 배포한 혐의로 5개월간 옥고를 치렀다. 유족들에 의해 독립기념관에 기증된 그의 일기에는 일제강점기 사회상과 국내외 정세, 독립운동에 대한 사실들이 기록되어 있어 역사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6. (등록) 부산 우암동 소막마을 주택  

문화재명: 부산 우암동 소막마을 주택  

종 별: 등록문화재 제715  

소 재 지: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번영로9번길 9-2외   

조성연대: 1924(추정)

수 량: 1(연면적 320.55)

소 유 자: 부산광역시 남구청  

등록 사유

- 해방 이후 귀환 동포와 한국전쟁 중 부산으로 밀려드는 피란민들의 거주 공간 확보를 위해 () 막사(幕舍)’를 주거시설로 변용(變容)한 것으로 당시 피난민의 삶을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산업화 시기 인근 지역에 조성된 공장, 항만 등으로 인해 이곳으로 유입된 노동자들의 생활공간으로서 오늘날까지도 그 기능을 유지해 오고 있다는 점에서 근대문화유산으로서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문화재 등록 예고 개요

1. (등록예고)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구 본관  

문화재명: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구 본관  

종 별: 등록문화재  

소 재 지: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980  

조성연대: 1951

수 량: 1(연면적 1,432.71)

소 유 자: 전남대학교  

등록 사유

- 1948년에 착공되어 한국전쟁 기간인 1951년에 완공된 후 광주의과대학 본관과 전남대학교 본부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전남대학교 의학박물관으로 활용하고 있다. 동 시대에 건립된 대학 건축물과 비교할 때 한국전쟁 중에도 꾸준히 건축공정이 진행된 점, 모더니즘의 세련된 디자인, 조적조와 철근콘크리트 슬라브 연결의 적합성 등 역사적, 건축사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간직하고 있어 등록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2. (등록예고)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본관, 헨리관, 식당동  

문화재명: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본관, 헨리관, 식당동  

종 별: 등록문화재  

소 재 지: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980  

조성연대: 1961

수 량: (본 관) 1(연면적 3,959.34)

(헨리관) 1(연면적 1,980) (식당동) 1(연면적 660)

소 유 자: 재단법인 광주구천주교회유지재단  

등록 사유

- 지난 2017년 등록문화재 제681호로 등록된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브레디관과 함께 1961년 대건신학교 건물로 건립되었다. 본관을 중심으로 브레디관, 헨리관, 식당동 등 4동 건물이 지상에서 뿐만 아니라 지하에서도 상호 연결된 유기적 공간 구성을 하고 있는 점 등은 다른 건물에서 쉽게 찾아볼 수 없는 특징으로 천주교사적인 의미와 함께 근대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출처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