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 최동북단 감시초소(GP)」등 4건 문화재 등록 - 종교 건축물인 「신안 흑산성당」 문화재 등록 예고 -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남북분단과 냉전을 상징하는 군사시설물인 「고성 최동북단 감시초소(GP)」와 항일유산인 「대한민국 임시정부 환국기념 23인 필묵」 그리고 「부산 구 동래역사」와 「세종 구 산일제사 공장」 등 4건을 문화재로 등록하고, 「신안 흑산성당」을 문화재로 등록 예고하였다.
등록문화재 제752호 「고성 최동북단 감시초소(GP)」는 1953년 군사정전협정 체결 직후, 남측 지역에 설치된 최초의 감시초소로, 북측 감시초소와 최단 거리(약 580m)에 자리하였던 역사성과 상징성 등에서 의미가 크다. 또한, 남북 분단과 이후의 남북 평화의 상징성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시설로 활용 가치가 매우 높다.
*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1953.7.27.): 6.25전쟁의 전쟁 행위를 멈추게 한 휴전협정
* 2018년 4.27 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한 ‘9.19 군사분야 합의서’에 따라 감시초소(GP) 시범철거 과정에서 존치 결정
등록문화재 제753호 「부산 구 동래역사」는 1934년 동해남부선에서 최초로 완공된 역사로 일제강점기 병력 수송의 주요 거점이었으며, 오랫동안 역사 광장에서 새벽장터로서 지역생활의 중심지가 되어와 지역민들의 수많은 애환이 서린 곳이다. 또한, 건립 당시와 변천과정의 모습을 소상하게 알 수 있는 건축도면이 현존하고 있는 등 역사성과 장소 측면에서 보존 가치가 충분하다.
등록문화재 제754호 「세종 구 산일제사 공장」은 산일제사 공장이 세워질 당시 처음 만든 건물로 추정된다. 제사공장(製絲工場)이란 누에고치에서 실을 만드는 공장으로, 작업 특성상 내부에 균일한 빛을 받기 위해 북쪽에 창을 높게 설치한 톱날형 지붕 구조를 갖춰 초기 산업유산으로서 제사공장 건축의 특성 이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한국전쟁 당시 조치원여자고등학교 임시교사로 사용되었던 장소로 지역과 역사적 의미를 두루 갖췄다.
등록문화재 제755호 「대한민국 임시정부 환국기념 23인 필묵」은 김구, 이시영 등 대한민국임시정부 23인이 광복 이후 환국 하루 전인 1945년 11월 4일 저녁에 중국 충칭(중경, 重慶)에서 자신들의 감회, 포부, 이념 등을 필적으로 남긴 것이다. 근현대사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인물들이 조국의 현실과 미래에 대해 각자 품고 있던 뜻과 의지, 사상을 살펴볼 수 있으며, 나아가 우리 현대사의 특수성과 그 시대상까지 동시에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문화재로 등록된 「고성 최동북단 감시초소(GP)」, 「부산 구 동래역사」, 「세종 구 산일제사 공장」, 「대한민국 임시정부 환국기념 23인 필묵」을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협력하여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이번에 등록문화재로 예고된 「신안 흑산성당」은 우리나라 서남해의 최남단에 자리한 흑산도에 천주교가 전파되어 가는 과정을 엿볼 수 있는 장소로, 선교뿐 아니라 교육, 의료 등 다양한 분야의 봉사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여 낙후되었던 지역사회 발전에 이바지했던 점에서 종교적 가치와 지역사적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이번에 등록을 예고한 「신안 흑산성당」은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등록될 예정이다.
문화재 등록 개요 |
1. (등록) 고성 최동북단 감시초소(GP)
□ 문화재명: 고성 최동북단 감시초소(GP)
□ 종 별: 등록문화재 제752호
□ 소 재 지: 강원도 고성군 수동면 덕산리 산1번지
□ 건립연대: 1953년
□ 수 량: 감시초소(GP) 일곽, 330㎡
□ 소 유 자: 국방부
□ 등록 사유
ㅇ 한국전쟁 이후, 남측 지역에 설치된 감시초소 중 최초로 설치되었으며, 북측 감시초소와 최단거리(약580m)에 위치하였던 역사성 및 상징성 등의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또한 남북 분단과 냉전시기의 지속과정과 남북 화합과 평화의 상징성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시설로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2. (등록) 부산 구 동래역사
□ 문화재명: 부산 구 동래역사
□ 종 별: 등록문화재 제753호
□ 소 재 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낙민동 112-3번지
□ 건립연대: 1934년
□ 수 량: 1동 (현황측량면적 269㎡)
□ 소 유 자: 부산광역시(관리자: 동래구)
□ 등록 사유
ㅇ 1934년 동해남부선에서 최초로 완공된 역사로 일제강점기 병력수송의 주요 거점이었으며, 오랫동안 역사 광장에서는 새벽장터로서 지역생활의 중심지가 된 곳으로 지역민들의 수많은 애환을 간직하고 있다. 또한, 건립 당시 및 변천과정의 모습을 소상하게 알 수 있는 건축도면이 현존하고 있는 등 역사성과 장소성 측면에서 보존가치가 충분하다.
3. (등록) 세종 구 산일제사 공장
□ 문화재명: 세종 구 산일제사 공장
□ 종 별: 등록문화재 제754호
□ 소 재 지: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남리 60-1
□ 건립연대: 1927년(추정)
□ 수 량: 1동(현황측량면적 220㎡)
□ 소 유 자: 세종특별자치시
□ 등록 사유
ㅇ 최초 산일제사공장의 건물로서 톱날형 지붕 구조는 북쪽에 창을 높게 설치하여 내부에 균일한 빛을 받기위한 것이며, 이는 초기 산업유산으로서 제사공장 건축을 이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한국전쟁 당시 조치원여자고등학교 임시교사로 사용되었던 장소로 지역적, 역사적 의미를 지닌 건물로 보존가치가 크다.
* 제사공장(製絲工場): 누에고치에서 실을 만드는 공장
4. (등록) 대한민국 임시정부 환국기념 23인 필묵
□ 문화재명: 대한민국 임시정부 환국기념 23인 필묵
□ 종 별: 등록문화재 제755호
□ 소 재 지: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369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 건립연대: 1945.11.4.
□ 수 량: 1축 / 23.0×311.5cm
□ 소 유 자: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 등록 사유
ㅇ 김구, 이시영 등 대한민국 임시정부 23인이 광복 이후 환국 하루 전인 1945년 11월 4일 저녁에 중국 충칭(重慶)에서 자신들의 감회, 포부, 이념 등을 필적으로 남긴 것이다. 근현대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지니고 있는 인물들이 조국의 현실과 미래에 대해 각자 품고 있던 뜻과 의지를 필적을 통해 표현하고 있어 그들이 근본적으로 품고 있었던 의식과 사상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문화재 등록 예고 개요 |
1. (등록 예고) 신안 흑산성당
□ 문화재명: 신안 흑산성당
□ 종 별: 등록문화재
□ 소 재 지: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흑산일주로 180-20
□ 건립연대: 1958년
□ 수 량: 1동
□ 소 유 자: (재)광주구천주교회유지재단
□ 등록 사유ㅇ 신안 흑산성당은 우리나라 서남해의 최남단에 위치한 흑산도에 천주교가 전파되어 가는 과정을 엿볼 수 있는 장소로, 선교뿐 아니라 교육, 의료 등 다양한 분야의 봉사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여 낙후되었던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했던 점에서 종교적 가치 및 지역사적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출처 : 문화재청>
'기타 > 각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여 능안골 고분군에서 백제 귀족층 돌방무덤·봉분 확인 (0) | 2019.06.09 |
---|---|
안성 청룡사 대웅전 보수 중 기둥 밑에서「옛 곡자」발견 (0) | 2019.06.05 |
창원 현동에서 아라가야 최대 규모의 고분군 확인 (0) | 2019.06.04 |
강화 석릉 주변 고분군에서 고려 시대 향로 다리·석수 등 확인 (0) | 2019.06.04 |
충주 칠금동에서 3~4세기 고대 제련로 총 25기 확인 (0) | 2019.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