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독립문(서울 獨立門. 사적 제32호. 서울 서대문구 현저동 941번지)
갑오개혁 이후 자주독립의 의지를 다짐하기 위해 중국 사신을 영접하던 영은문(迎恩門)을 헐고 세운 기념물이다.
갑오개혁(1894∼1896)은 내정개혁과 제도개혁을 추진하였던 개혁운동이다. 그러나 외국세력의 간섭으로 성공하지 못하였고 나라의 자주독립 또한 이루지 못하였다. 이에 국민들은 민족의 독립과 자유를 위해서는 어떠한 간섭도 허용하지 않겠다는 다짐으로, 중국사신을 맞이하던 영은문을 헐고 그 자리에 독립문을 세우게 되었다.
건양(建陽) 원년(1896년) 서재필이 조직한 독립협회의 주도하에 국왕의 동의를 얻고 뜻있는 애국지사와 국민들의 폭넓은 지지를 얻으며, 프랑스 파리의 개선문을 본떠 광무 2년(1898년) 완성하였다.
화강석을 쌓아 만든 이 문의 중앙에는 무지개 모양의 홍예문이 있고 왼쪽 내부에는 정상으로 통하는 돌층계가 있다. 정상에는 돌난간이 둘러져 있으며, 홍예문의 가운데 이맛돌에는 조선왕조의 상징인 오얏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그 위의 앞뒤에는 한글과 한자로 ‘독립문’이라는 글씨와 그 양옆에 태극기가 새겨져 있다. 문앞에는 영은문주초(사적 제33호) 2개가 남아있다.
원래 남동쪽으로 70m떨어진 길 가운데에 있었는데, 1979년 성산대로 공사에 따라 지금의 위치로 옮기게 되었다.(출처 : 문화재청)
'기타 > 각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영 근대역사문화공간」등 3건 문화재 등록 (0) | 2020.03.09 |
---|---|
영덕 양성리(洋城里)유적에서 고려의 해안 방어시설 확인 (0) | 2020.03.05 |
고려 국왕의 국새(고려국왕지인) 찍힌‘과거합격증’보물 지정 예고 (0) | 2020.03.04 |
완전한 상태로 출토된 1,500년 전 가야도기 보물 지정 (0) | 2020.02.28 |
WHC(World Health Organization세계보건기구) 에서 제공하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Q(질문) & A(답)" (COVID-19)입니다. (0) | 2020.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