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기타/각종정보

우리나라 최초 6점식「한글점자 ‘훈맹정음’ 제작ㆍ보급 유물」 등 2건 문화재 등록 예고

노촌魯村 2020. 10. 15. 13:45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10월 15일 ‘흰 지팡이의 날’을 맞아「한글점자 『훈맹정음』 제작 및 보급 유물」, 「한글점자 『훈맹정음』 점자표 및 해설 원고」등 2건을 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

또한, 「이긍연 을미의병 일기」, 「대한제국애국가」, 「동해 북평성당」 3건과 대한제국 군복「전(傳) 대원수 상복」 등 9건을 포함한 총 12건을 문화재로 등록하였다.

 

『훈맹정음』은 박두성(朴斗星, 1888~1963)이 1926년 11월 4일에 반포한 우리나라 최초의 6점식 점자로, 일제강점기 시대 시각장애인들이 한글과 같은 원리를 통해 글자를 익히도록 한 고유 문자체계이다.

 

이번에 등록 예고되는 「한글점자 『훈맹정음』제작 및 보급 유물」은 「훈맹정음」의 사용법에 대한 원고, 제작과정을 기록한 일지, 제판기, 점자인쇄기(로울러), 점자타자기 등 한글점자의 제작·보급을 위한 기록, 기구 등 8건 48점으로, 당시의 사회·문화 상황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근대 시각장애인사를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문화재 등록 가치가 높다.

 

「한글점자 『훈맹정음』 점자표 및 해설 원고」는 「한글점자」육필 원고본, 「한글점자의 유래」 초고본 등 한글점자의 유래, 작성원리, 그 구조와 체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유물이다. 훈맹정음이 창안되어 실제로 사용되기 이전까지의 과정을 통해 당시 시각장애인들이 한글을 익히게 되는 역사를 보여주고 있어 문화재 등록 가치가 크다. 해당 유물은 7건 14점이다.

 

한글점자 『훈맹정음』관련 유물 2건은 한글점자 창제 당시의 시대상, 역사성을 되짚어보고 우리말의 소중함을 다시금 일깨워주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우리 근현대 문화자산의 다양성과 외연을 넓히고 사회적 가치를 부각하였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크다.

해당 유물은 30일간의 예고 기간을 거쳐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문화재로 최종 등록될 예정이다.

* 흰 지팡이의 날: 1980년 10월 15일 세계시각장애인연합회가 시각장애인의 권리 보장을 위해 지정

아울러, 문화재청은 「동해 북평성당」, 「이긍연 을미의병 일기」, 「대한제국애국가」, 「전(傳) 대원수 상복」, 「참장 예복」, 「보병 부령 상복」, 「보병 정위 예복」, 「보병 부위 예복」, 「보병 부위 예복 및 상복(황석)」, 「기병 정위 예복 및 상복」, 「헌병 부위 예복 및 상복(홍철유)」, 「군위 부위 예복」 등 총 12건을 문화재로 새롭게 등록하였다.

 

국가등록문화재 제795호가 된 「동해 북평성당」은 1959년 건립한 시멘트 블럭 건물로 6.25전쟁 이후 시대적 배경 속에서의 건축적 상황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사례로, 성당 본당으로서의 건축적 양식과 구조적 특징이 비교적 잘 반영되어 있고, 원형보존 상태가 양호하여 강원 영동지역에서 갖는 천주교사적 의미와 함께 국가등록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국가등록문화재 제796호 「이긍연 을미의병 일기」는 안동의병 중 한사람이었던 이긍연(李兢淵, 1847∼1925)이 을미사변 이후인 1895년 12월 1일부터 1896년 10월 11일까지 직접 보고들은 내용을 사실적으로 기록한 것으로, 의병 군진의 결성부터 투쟁활동, 해산까지의 과정과 군사력 등 의병활동 당시의 실상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해당 유물은 독립운동사 시발점인 을미의병 발상지 중 안동지역의 의병 활동 전모를 동시기에 기록한 상징적인 자료라는 점과 특히, 70~80명 가량 의병 성명이 등장하여 의병장 이외에 의병활동 정황을 알 수 없는 현재 시점에서 가치가 매우 높다.

국가등록문화재 제797호 「대한제국애국가」는 대한제국 시기 애국가 제정의 필요성에 의해 군악대 지휘자로 초빙되어 온 독일 음악가 프란츠 폰 에케르트(Franz von Eckert, 1852~1916)가 작곡한 것을 1902년 발행한 것으로, 관악합주용 총보와 한글와 독일어로 번역한 가사가 실려 있으며, 제작 경위를 밝히는 민영환(閔泳煥, 1861~1905)의 서문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해당 유물은 제국주의 열강들의 경쟁 속에서 대한제국의 위상을 높이고, 나라의 주권을 지키려는 전기를 마련하고자 했던 외교 노력을 담고 있어 귀중한 가치를 지닌다.

국가등록문화재 제543-1호 「전(傳)대원수 상복」은 흑색 융(絨)으로 제작된 근대 서양식 군복으로, 좌우에 각각 별 5개가 자수되어 있는 의령장(衣領章)과 소매에 11줄의 수장(袖章), 앞여밈 단추 9개 등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융(絨): 면사를 평직 또는 능직으로 짠 후 보풀이 일게 한 직물

국가등록문화재 제543-3호 「참장 예복」은 좌우 각각에 별 3개가 자수된 의령장(衣領章)과 참장 계급을 나타내는 7줄의 수장(袖章)이 있는 흑색·청색 융 제작 예복, 흑색과 청색 융으로 제작되고 상부에 이화문이 있는 예모, 금사광직으로 제작된 대례견장으로 구성된 총 1건 4점의 유물이다.

국가등록문화재 제543-4호 「보병 부령 상복」은 부령 계급을 나타내는 5줄의 수장(袖章)이 있는 흑색 융으로 제작된 상복 상의로, 좌우 흉부를 가로질러 매듭장식이 있는 늑골복(肋骨服) 형태인 것이 특징이다.

국가등록문화재 제543-5호 「보병 정위 예복」은 좌우 각각 별 1개가 자수된 의령장(衣領章)과 정위 계급을 나타내는 3줄의 수장(袖章)이 있는 더블 브레스티드 형태의 예복, 흑색과 홍색의 융으로 제작된 예모(禮帽, 모자), 금사광직으로 제작된 대례견장으로 구성된 총 1건 4점의 유물이다.

* 더블 브레스티드: 상의 좌우 앞판을 겹쳐 잠그는 여밈 방식

국가등록문화재 제543-6호 「보병 부위 예복」은 좌우 각각 별 1개가 자수된 의령장(衣領章)과 부위 계급을 나타내는 2줄의 수장(袖章)이 있는 흑색·홍색 융 제작의 상의, 흑색·홍색의 융으로 제작된 예모, 금사광직으로 제작된 대례견장 등으로 구성된 총 1건 6점의 유물이다.

국가등록문화재 제543-7호 「보병 부위 예복 및 상복(황석)」은 1896년 민영환의 추천으로 육군 참위가 되어 근무하다가 1898년 부위로 진급하여 복무한 황석(黃淅, 1849-1938)이 착용하였던 군복이다. 예복은 좌우 각각 별 1개가 자수된 의령장(衣領章)과 부위 계급을 나타내는 2줄의 수장(袖章)이 있는 흑색 융으로 제작된 상의를 비롯하여 입전모(立前毛)·식대(飾帶)·도대(刀帶) 등 5점이 남아 있으며, 상복은 흑색 융으로 제작된 상의와 상모, 소례견장 등 5점이 남아있다. 이외에도 하의 2점과 멜빵, 외투 등이 남아있어 다양한 종류가 현존하는 흔하지 않은 유물 구성을 지니고 있다.

* 입전모(立前毛): 주로 예복의 모자 위에 꽂는 장식용 털

* 수장(袖章): 군인이나 경찰관 등이 정복의 소매에 관등을 표시하는 장식

* 식대(飾帶): 예복을 착용할 때 사용한 장식용 띠

* 도대(刀帶): 칼을 차도록 만든 띠

국가등록문화재 제543-8호 「기병 정위 예복 및 상복」은 좌우 각각 별 1개가 자수된 의령장(衣領章)과 정위 계급을 나타내는 3줄의 수장(袖章)이 있는 예복·상복 상의를 비롯하여 예모, 대례견장과 소례견장으로 구성된 총 2건 8점의 유물이다.

국가등록문화재 제543-9호 「헌병 부위 예복 및 상복(홍철유)」은 1900년 육군무관학교를 졸업하고 1905년 11월에 정3품 통정대부, 헌병대 육군헌병부위로 근무하였던 홍철유(洪哲裕)가 착용하였던 군복 2건 8점이다. 예복 상의는 다색(茶色) 융을 기본으로 하여 제작되었으며 부위 계급을 나타내는 2줄의 수장(袖章)과 각각 별 1개가 자수된 의령장(衣領章)이 있는 것이 특징이며, 예모와 입전모 등이 남아 있다. 상복으로는 계급을 나타내는 2줄의 수장(袖章)이 있는 다색(茶色) 융으로 제작된 상의가 있다.

* 다색(茶色): 검은빛을 띤 주황색

국가등록문화재 제543-10호 「군위 부위 예복」은 좌우 각각 별 1개가 자수된 의령장(衣領章)과 부위 계급을 나타내는 2줄의 수장(袖章)이 있고 흑색·짙은 녹색의 융으로 제작된 상의를 비롯하여 흑색·짙은 녹색의 예모, 입전모, 대례견장으로 구성된 총 1건 5점의 유물이다.

한편, 대한제국 군복 「전(傳)대원수 상복」, 「참장 예복」, 「보병 부령 상복」, 「보병 정위 예복」, 「보병 부위 예복」, 「보병 부위 예복 및 상복(황석)」, 「기병 정위 예복 및 상복」, 「헌병 부위 예복 및 상복(홍철유)」, 「군위 부위 예복」은 대한제국 시기 제작된 근대 서양식 군복 유물이다. 대원수가 착용하였을 것으로 전해지는 상복부터 장관급인 참장, 영관급인 부령, 위관급인 부위·정위의 예복과 상복 등 병과별 다양한 양식과 더불어, 상의의 의령장(衣領章), 수장(袖章)의 줄 개수, 다른 색 천 부착 등 계급 구별 방법 또한 잘 보여주고 있다. 이번 등록되는 대한제국 군복 9건은 기 등록문화재 제543호「이도재 예복」(2013.8.27.)과 더불어 다양한 대한제국 육군의 군복 양상을 볼 수 있어 그 가치가 크다.

* 의령장(衣領章): 예복 상의의 옷깃에 관등을 표시하는 것(장관은 3개, 영관은 2개, 위관은 1개의 별을 부착)

* 수장(袖章): 군인이나 경찰관 등이 정복의 소매에 관등을 표시하는 장식

* 병과(兵科): 보병‧포병‧기병 등 군대 안에서 임무를 나눔 또는 그 임무

* 부위‧정위: 대한제국 당시 위관 계급의 하나(정위‧부위‧참위 순)

*「이도재 예복」: 대한제국 군대 정2품급 복식으로, 군부대신과 학부대신을 지낸 이도재(李道宰, 1848∼1909)의 예복(상의, 대례견장, 예모, 입전모(立前毛), 바지 등) 1건 8점(제543-2호 「보병 부장 예복(이도재)」로 변경 예정/‘20.10.15 관보 예고)

 

문화재청은 이번에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된 이들 12건을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협력하여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해 나갈 것이다.

1. (등록예고) 한글점자 「훈맹정음」 제작 및 보급 유물

□ 문화재명: 한글점자 「훈맹정음」 제작 및 보급 유물

□ 종 별: 국가등록문화재

□ 소 재 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한나루로 357번길 105-19 송암박두성기념관

□ 소 유 자: 인천광역시시각장애인복지연합회

□ 등록 예고 사유

ㅇ 「훈맹정음」은 송암 박두성*이 1926년 11월 4일에 반포한 것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6점 점자이자 일제강점기 시대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고유언어 문자라는 점에서 문화적 가치가 크다. 본 유물은 훈맹정음 사용법에 대한 원고, 제작과정을 기록한 일지를 비롯해 제판기, 점자인쇄기(로울러), 점자타자기 등 한글점자의 제작·보급을 위한 기록, 기구 등과 관련되어 있어 당시의 사회적·문화적 상황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근대 시각장애인사를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문화재 등록 가치가 높다.

* 박두성(朴斗星, 1888-1963, 호 송암(松庵)): 일제강점기 한글 점자(點字)를 창안한 교육자

□ 【참고】세부 내용

2. (등록예고) 한글점자 「훈맹정음」 점자표 및 해설 원고

□ 문화재명: 한글점자 「훈맹정음」 점자표 및 해설 원고

□ 종 별: 국가등록문화재

□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 소 유 자: 국립한글박물관

□ 등록 예고 사유

ㅇ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한글점자 『훈맹정음』 점자표 및 해설 원고’는 「한글점자」 육필 원고본, 「한글점자의 유래」 초고본 등 한글점자의 유래, 작성원리, 그 구조 및 체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유물이다. 해당 유물은 훈맹정음이 창안되어 실제로 사용되기 이전까지의 과정을 제시하고 있어 시각장애인들이 당시 한글을 익히게 되는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문화재 등록 가치가 크다.

□ 【참고】세부 내용

1. (등록) 동해 북평성당

□ 문화재명: 동해 북평성당

□ 종 별: 국가등록문화재 제795호

□ 소 재 지: 강원도 동해시 오일장 2길 16

□ 건립연대: 1959년

□ 수 량: 1동

□ 소 유 자: 천주교원주교구유지재단

□ 등록 사유

ㅇ 1959년 건립한 시멘트블럭 건물로 6.25전쟁 이후 시대적 배경 속에서의 건축적 상황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사례이다. 성당 본당으로서의 건축적 양식 및 구조적 특징이 비교적 잘 반영되어 있고, 원형보존 상태가 양호하여 강원 영동지역에서 갖는 천주교사적 의미와 함께 국가등록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2. (등록) 이긍연 을미의병 일기

□ 문화재명: 이긍연 을미의병 일기

□ 종 별: 국가등록문화재 제796호

□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서울역사박물관

□ 제작연대: 1895~ 1896년

□ 수 량: 1건 1점

□ 소 유 자: 서울역사박물관

□ 등록 사유

ㅇ ‘이긍연 을미의병 일기’는 안동의병 중 한사람이었던 이긍연(李兢淵, 1847∼1925)이 을미사변 이후인 1895년 12월 1일부터 1896년 10월 11일까지 직접 보고들은 내용을 사실적으로 기록한 것으로, 의병투쟁 당시의 실상, 군사력, 문중간의 이해관계나 의병에 대한 태도 등 의병 관련 기록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격문·통문 등의 사항도 함께 수록되어 있다. 해당 유물은 을미의병의 활동 전모를 담고 있는 대표적·상징적인 자료라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3. (등록) 대한제국애국가

□ 문화재명: 대한제국애국가

□ 종 별: 국가등록문화재 제797호

□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198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제작연대: 1902년

□ 수 량: 1건 1점

□ 소 유 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등록 사유

ㅇ ‘대한제국애국가‘는 대한제국 시기에 애국가 제정의 필요성에 의해 군악대 지휘자로 초빙된 독일 음악가 프란츠 폰 에케르트(Franz von Eckert, 1852~1916)가 작곡한 것을 1902년 발행한 것으로, 관악합주용 총보와 한글 및 독일어로 번역한 가사가 실려 있으며, 제작 경위를 밝히는 민영환(閔泳煥, 1861~1905)의 서문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해당 유물은 제국주의 열강들의 경쟁 속에서 대한제국의 위상을 높이고, 나라의 주권을 지키려는 전기를 마련하고자 했던 외교적 노력을 담고 있어 귀중한 가치를 지닌다.

4. (등록) 전(傳) 대원수 상복

□ 문화재명: 전(傳) 대원수 상복

□ 종 별: 국가등록문화재 제543-1호

□ 소 재 지: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574 육군박물관

□ 제작연대: 1900~1907년 추정

□ 수 량: 1건 1점

□ 소 유 자: 육군박물관

□ 등록 예고 사유
ㅇ ‘전(傳) 대원수 상복’은 대한제국기에 제작된 근대 서양식 군복으로, 흑색 융으로 제작되었으며 좌우에 각각 별 5개가 자수되어 있는 의령장(衣領章)과 소매에 11줄의 수장(袖章), 앞여밈 단추 9개 등이 있는 것이 특징으로 대원수 상복임을 알 수 있다. 해당 유물은 대한제국기 군복에 대해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대한제국기 착용했던 육군 군복에 대해 병과별, 계급별 제작 양상을 알 수 있어 가치가 높다.

5. (등록) 참장 예복

□ 문화재명: 참장 예복

□ 종 별: 국가등록문화재 제543-3호

□ 소 재 지: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574 육군박물관

□ 제작연대: 1907년 이후 추정

□ 수 량: 1건 4점

□ 소 유 자: 육군박물관

□ 등록 예고 사유

ㅇ ‘참장 예복’은 대한제국기에 제작된 근대 서양식 군복으로, 좌우 각각에 별 3개가 자수된 의령장(衣領章)과 참장 계급을 나타내는 7줄의 수장(袖章)이 있는 흑색·청색 융으로 된 예복, 흑색과 청색 융으로 제작되고 상부에 이화문이 있는 예모, 금사광직으로 제작된 대례견장으로 구성된 총 1건 4점의 유물이다. 해당 유물은 대한제국기 군복에 대해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대한제국기 착용했던 육군 군복에 대해 병과별, 계급별 제작 양상을 알 수 있어 가치가 높다.

6. (등록) 보병 부령 상복

□ 문화재명: 보병 부령 상복

□ 종 별: 국가등록문화재 제543-4호

□ 소 재 지: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574 육군박물관

□ 제작연대: 1897~1900년 추정

□ 수 량: 1건 1점

□ 소 유 자: 육군박물관

□ 등록 예고 사유
ㅇ ‘보병 부령 상복’은 대한제국기에 제작된 근대 서양식 군복으로, 부령 계급을 나타내는 5줄의 수장(袖章)이 있으며 좌우 흉부를 가로질러 매듭장식이 있는 늑골복(肋骨服) 형태인 것이 특징인 유물이다. 해당 유물은 대한제국기 군복에 대해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대한제국기 착용했던 육군 군복에 대해 병과별, 계급별 제작 양상을 알 수 있어 가치가 높다.

7. (등록) 보병 정위 예복

□ 문화재명: 보병 정위 예복

□ 종 별: 국가등록문화재 제543-5호

□ 소 재 지: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574 육군박물관

□ 제작연대: 1907년 이후 추정

□ 수 량: 1건 4점

□ 소 유 자: 육군박물관

□ 등록 예고 사유

ㅇ ‘보병 정위 예복’은 대한제국기에 제작된 근대 서양식 군복으로, 별 1개가 자수된 의령장(衣領章)과 정위 계급을 나타내는 3줄의 수장(袖章)이 있는 더블 브레스티드 형태의 예복, 흑색과 홍색의 융으로 제작된 예모, 금사광직으로 제작된 대례견장으로 구성된 총 1건 4점의 유물이다. 해당 유물은 대한제국기 군복에 대해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대한제국기 착용했던 육군 군복에 대해 병과별, 계급별 제작 양상을 알 수 있어 가치가 높다.

8. (등록) 보병 부위 예복

□ 문화재명: 보병 부위 예복

□ 종 별: 국가등록문화재 제543-6호

□ 소 재 지: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574 육군박물관

□ 제작연대: 1900~1907년 추정

□ 수 량: 1건 6점

□ 소 유 자: 육군박물관

□ 등록 예고 사유

ㅇ ‘보병 부위 예복’은 대한제국기에 제작된 근대 서양식 군복으로, 좌우 각각 별 1개가 자수된 의령장(衣領章)과 부위 계급을 나타내는 2줄의 수장(袖章)이 있는 흑색 융으로 제작된 상의, 흑색과 홍색의 융으로 제작된 예모, 금사광직으로 제작된 대례견장 등으로 구성된 총 1건 6점의 유물이다. 해당 유물은 대한제국기 군복에 대해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대한제국기 착용했던 육군 군복에 대해 병과별, 계급별 제작 양상을 알 수 있어 가치가 높다.

9. (등록) 보병 부위 예복 및 상복(황석)

□ 문화재명: 보병 부위 예복 및 상복(황석)

□ 종 별: 국가등록문화재 제543-7호

□ 소 재 지: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574 육군박물관

□ 제작연대: 1900~1907년 추정

□ 수 량: 4건 14점

□ 소 유 자: 육군박물관

□ 등록 예고 사유

ㅇ ‘보병부위 예복 및 상복(황석)’은 1896년 민영환의 추천으로 육군 참위가 되어 근무하다가 1898년 부위로 진급하여 복무한 황석(黃淅, 1849-1938)이 착용하였던 군복이다. 예복은 좌우 각각 별 1개가 자수된 의령장(衣領章)과 부위 계급을 나타내는 2줄의 수장(袖章)이 있는 흑색 융으로 제작된 상의를 비롯하여 입전모·식대·도대 등 5점이 남아 있으며. 상복은 흑색 융으로 제작된 상의와 상모, 소례견장 등 5점이 남아있다. 이외에도 하의 2점과 멜빵, 외투 등이 남아있어 다양한 종류가 현존하는 흔하지 않은 유물 구성을 지니고 있다. 해당 유물은 대한제국기 군복에 대해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대한제국기 착용했던 육군 군복에 대해 병과별, 계급별 제작 양상을 알 수 있어 가치가 높다.

10. (등록) 기병 정위 예복 및 상복

□ 문화재명: 기병 정위 예복 및 상복

□ 종 별: 국가등록문화재 제543-8호

□ 소 재 지: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574 육군박물관

□ 제작연대: 1902~1907년 등 추정

□ 수 량: 2건 8점

□ 소 유 자: 육군박물관

□ 등록 예고 사유

ㅇ ‘기병 정위 예복 및 상복’은 대한제국기에 제작된 근대 서양식 군복으로, 좌우 각각 별 1개가 자수된 의령장(衣領章)과 정위 계급을 나타내는 3줄의 수장(袖章)이 있는 예복·상복 상의를 비롯하여 예모, 대례견장과 소례견장으로 구성된 총 2건 8점의 유물이다. 해당 유물은 대한제국기 군복에 대해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대한제국기 착용했던 육군 군복에 대해 병과별, 계급별 제작 양상을 알 수 있어 가치가 높다.

11. (등록) 헌병 부위 예복 및 상복(홍철유)

□ 문화재명: 헌병 부위 예복 및 상복(홍철유)

□ 종 별: 국가등록문화재 제543-9호

□ 소 재 지: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574 육군박물관

□ 제작연대: 1904~1907년 추정

□ 수 량: 2건 8점

□ 소 유 자: 육군박물관

□ 등록 예고 사유

ㅇ ‘헌병 부위 예복 및 상복(홍철유)’은 1900년 육군무관학교를 졸업하고 1905년 11월에 정3품 통정대부, 헌병대 육군헌병부위로 근무하였던 홍철유(洪哲裕)가 착용하였던 군복으로, 총 2건 8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복으로는 부위 계급을 나타내는 2줄의 수장(袖章)과 각각 별 1개가 자수된 의령장(衣領章)이 있는 다색(茶色) 융 제작 상의을 비롯하여 예모와 입전모 등이 있으며, 상복으로는 계급을 나타내는 2줄의 수장(袖章)이 있는 다색(茶色) 융으로 제작된 상의가 있다. 해당 유물은 대한제국기 군복에 대해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대한제국기 착용했던 육군 군복에 대해 병과별, 계급별 제작 양상을 알 수 있어 가치가 높다.

12. (등록) 군의 부위 예복

□ 문화재명: 군의 부위 예복

□ 종 별: 국가등록문화재 제543-10호

□ 소 재 지: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574 육군박물관

□ 제작연대: 1907년 이후 추정

□ 수 량: 1건 5점

□ 소 유 자: 육군박물관

□ 등록 예고 사유 ㅇ ‘군의 부위 예복’은 대한제국기에 제작된 근대 서양식 군복으로, 좌우 각각 별 1개가 자수된 의령장(衣領章)과 계급을 나타내는 2줄의 수장(袖章)이 있는 흑색·짙은 녹색 융 제작 상의를 비롯하여 흑색·짙은 녹색의 예모, 입전모, 대례견장으로 구성된 총 1건 5점의 유물이다. 해당 유물은 대한제국기 군복에 대해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대한제국기 착용했던 육군 군복에 대해 병과별, 계급별 제작 양상을 알 수 있어 가치가 높다.

 

<출처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