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기타/각종정보

전라우수영 중심 관아터의 진출입 시설 확인 - 2020.11.10. 오후 2시 30분 발굴현장 설명회 개최, 명량대첩 군사요충지로 의미-

노촌魯村 2020. 11. 9. 18:31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의 허가를 받아 해남군(군수 명현관)에서 추진하는 해남 전라우수영(사적 제535호) 발굴조사에서 명량대첩의 배후인 전라우수영의 중심 관아터의 진출입 시설이 처음으로 발굴 조사되었다. 현장공개는 2020년 11월 10일 오후 2시 30분 발굴현장에서 진행한다.

* 발굴 장소: 전남 해남군 문내면 동헌길 37(동외리 1187-2외) 일원

 

해남 전라우수영은 이순신 장군의 명량대첩으로도 유명한 곳으로, 1440년(세종22년)에 처음 설치되어 1895년(고종 32년) 까지 약 450년 이상 유지된 군사적 요충지다. 이번 발굴조사는 해남 전라우수영 정비사업의 하나로 중심 관아터에 대한 위치와 형태를 파악하여 정비복원을 계획한다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번 발굴로 전라우수영의 수사(水使)가 기거했던 안채격의 내아 영역과 평시 또는 명량대첩에 사용되었을 동헌 건물 일부가 확인되었다. 중심 관아는 웅장한 규모의 축대, 담장 등으로 둘러싸여 있는 중심관아와 관아로 향하는 도로망의 진출입 시설도 확인됐다. 이외에도 건물 축조를 위한 토목과정과 중심 관아 영역 밖의 건물 등도 추가로 확인되었으며, 유물은 우수(右水)명 초기 백자와 함께 명문와, 막새류, 상평통보 등 수 백여 점도 출토되었다.

* 내아(內衙): 조선 시대에 지방 관아의 수령(수사 水使))이 거처하던 안채

* 동헌(東軒): 조선 시대에 지방 관아의 수령(수사 水使)이 업무를 처리하는 집무실

 

내아영역은 명량해협의 바다가 조망되는 능선 일부를 절개·성토하여 대지를 조성한 후, 외곽으로 계단식 축대와 담장을 둘러 주요 건물의 위상을 극대화하였다. 처음 지어진 건물 2동은 온돌이 있는 구조로 15세기 후반에 큰 규모로 축조되었으며, 16~17세기에는 대대적인 중창(重創) 과정을 통해 4동으로 확대된다. 중심 건물은 4칸 규모의 ‘ㅁ’자 형태로 한 가운데 마당(중정 中庭)을 갖추는 구조로 확인되었다. 주변 건물은 창고 같은 부속시설로 판단된다.

* 성토(盛土): 지반위에 다시 흙을 돋우어 쌓는 것

* 중창(重創): 낡은 건물을 헐거나 고쳐서 다시 새롭게 지음

 

동헌 영역은 현재 건물지 일부와 축대, 진출입로가 확인되었다. 건물은 남아있는 5칸으로 남에서 북으로 향하는 행각(行閣) 건물로 판단된다. 축대는 남쪽은 점판암재로 높고 웅장하게 축조하였으며 동쪽은 계단식으로 높게 하여 타 영역과 구분하였다. 진출입 시설은 우수영내의 도로망 중심축으로 한곳은 남쪽 객사 추정지로, 다른 곳은 동문으로 향하는 시설이 확인되었다.

특히, 동쪽 주 출입로는 근대까지 이용했던 곳으로 명량대첩의 이순신 장군을 포함한 수많은 장수들이 모여 회의를 하기 위해 행차했던 곳으로 여겨진다.

* 행각(行閣): 건물 입구 또는 건물과 건물 사이의 복도

 

또한, 수백 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는데 분청과 백자, 명문와, 동전(상평통보) 등을 통해 건물의 연대와 성격을 파악할 수 있었다. 초기 백자는 중앙 관요(官窯, 도자기 가마)산으로 여러 점에 우수(右水)명이 새겨져 있으며 지방관요 출토품도 여러 지역에서 상납된 것으로 파악된다. 기와류는 막새류, 연호명 명문와(崇禎...六十...1688년 제작) 등이 함께 출토되어 건물의 사용과 성격을 찾을 수 있었다.

 

10일 열리는 현장설명회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재)대한문화재연구원(정일 조사연구관 ☎061-382-0001)으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이번 발굴조사로 명량대첩의 배후인 전라우수영의 중심 관아터에 대한 실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우수영 경관 복원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남군은 추가 발굴조사를 통해 우수영의 전모를 추적해 나갈 것이며 명량대첩과 관련된 자료 등도 함께 찾아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출처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