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기타/꽃

모과나무(Chinese Quince , 木瓜 , 학명 Chaenomeles sinensis)

노촌魯村 2023. 4. 1. 14:52

2023.4.1 대구 북구 대구은행 제2본점 정원에서

모과나무(Chinese Quince , 木瓜 , カリン花梨, 학명 Chaenomeles sinensis)

  원산지는 중국이며, 한국과 일본에서도 자란다. 한반도에 전래된 정확한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아무래도 조선시대 이전으로 추정된다. 주 재배지는 전라남도, 충청남도, 경기도 일대. 장미과의 낙엽성 활엽 과목이다.

  그 생김새와 크기가 큼직한 배와 같다. 모과의 표면은 울퉁불퉁하여 흔히 못생긴 과일의 대명사로 잘 알려져 있으며, 대한민국 속담에선 과물전(과일전) 망신은 모과가 다 시킨다면서 어물전의 꼴뚜기와 같은 취급을 받는다. 그래서인지 모과가 들어가는 모든 속담은 모조리 모과를 보고 못생겼다, 못났다고 말하며, 사람을 모과에다 빗대면 나쁜 경우에는 꼬인 사람, 어딘가 뒤틀려있는 사람, 못난 사람이라는 의미가 되고, 좋게 말해도 못생겼지만 착하고 좋은 사람이라는 뜻이 된다.

  모과에 붙는 또 다른 수식어는 '세 번 놀라는 과일'이다. 꽃이 아름다운데 비하여 열매는 못생겨서 한 번 놀라고, 못생긴 열매가 향기가 매우 좋아서 두 번 놀라고, 향기가 그렇게 좋은데 비하여 맛이 없어 먹을 수가 없어서 3번 놀란다고 한다. 거기에 과실이 아니라 목재도 목질이 좋고 한약재로도 사용하여 쓰임새가 많아서 네 번 놀란다고 하기도. 못생긴 생김새에 비해 향이 좋고 쓰임새가 많아 예로부터 방향제, 차 등으로 애용되어 "탱자는 매끈해도 거지의 손에서 놀고, 모과는 얽어도 선비의 손에서 논다"라는 속담도 있다. 모과가 들어간 속담 중 모과를 칭찬하는 속담은 이것뿐이며, 칭찬에도 못생겼다는 말은 빠지지 않는다.

  모과의 껍질은 목질이기 때문에 단단해서 자르기가 어려운 과일에 속한다. 웬만한 남자들도 자르기 어려워하는 과일이라고 할 정도다.

  못생긴 외모와는 달리 쓰임새가 많은 과일이다. 향이 매우 좋기 때문에 그냥 열매만 방에 놓아둬도 방향제로 쓸 수도 있고 식용은 가능하나 생과의 맛이 시고 떫기 때문에 보통 생으로는 잘 안 먹고 꿀이나 설탕에 재어서 모과차로 마신다.

  꿀에 졸여서 과자의 일종인 정과로 만들어 먹는다. 술로도 담그며, 한방에서는 약으로 쓴다. 모과의 약효는 일반적으로 기관지 질환이나 가래 그리고 천식 등에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소화 작용에도 많은 도움을 준다. 더하여 숙취해소에도 매우 좋다. 비타민C와 탄닌성분 많아 피로회복에도 좋으며 근육을 부드럽게 해주기에 과로로 인한 근육통 완화에도 좋다. 또한 모과속 프록토오스 성분이 간과 신장에 좋은데, 특히 알코올로 인한 간 회복에 도움 되오니 숙취해소로도 좋다. (출처 : 나무위키)

모과木瓜와 첨성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