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 태고정 (達城 太古亭.보물 제554호.대구 달성군 하빈면 묘리 638)
이 건물은 조선 성종 10년(1479) 박팽년의 손자인 박일산이 세운 별당건축이다. 지금 있는 건물은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 때 불타서 일부만 남았던 것을 광해군 6년(1614)에 다시 지은 것이다. 일명 ‘일시루(一是樓)’라고도 한다. 현재 대청에는 임진왜란 후 치찰사로 온 윤두수의 한시를 새긴 현판과, 정유재란 후 명군 선무관이 남긴 액자 들이 있다. 네모난 모양의 단 위에 서 있으며 앞면 4칸 ·옆면 2칸 크기로, 동쪽 2칸은 대청마루이고, 서쪽 2칸은 방으로 꾸몄다. 대청 앞면은 개방되어 있는데 옆면과 뒷면에는 문을 달았을 것으로 추정한다. 대청 앞 기둥 사이에는 2층으로 된 난간을 설치하였다. 서쪽에는 온돌방과 부엌을 마련해 놓았는데 단순한 아궁이가 아닌 부엌을 한쪽 구석에 둔 것은 흔치않은 것이다. 규모는 그리 크지 않은 건물이지만 가구나 세부가공이 정교한 편이다. (문화재청 자료)
이어내림지붕(가적지붕)
서쪽 측면 지붕 : 몸체의 지붕처마 끝에서 이러내림 지붕을 말한다. 이는 달개지붕이라고도 한는데 맞배 지붕집의 박공벽에서 달아낸 외쪽지붕으로 꾸민 것을 가적이라 하며 안동이나 영천지방에 많이 나타나는 형태이다.
가적지붕 : 맞배지붕 집의 박공 벽에서 달아 내 외쪽지붕으로 꾸민 것(안동, 영천 방언). =사랑
박공 : ① 건물의 측면 벽에서 내민 경사지붕 옆면에 붙인 널. ② 맞배지붕 끝이나 합각 머리에 ㅅ자형으로 댄 널. 지붕에 불어오는 바람을 잡는다는 뜻의 박풍에서 나온말.
부섭지붕 : 서까래의 밑머리를 다른 벽에 지지시켜 달아 낸 지붕.
팔작지붕
동쪽 측면 지붕 : 합각 지붕이라고도 하며 지붕의 용마루 부분에서 짧은 박공이 있는 박공지붕 모양으로 되고, 그 밑의 지붕은 추녀마루가 있어 네 면에 모두 처마가 구성되는 형태의 지붕이다. 조선시대의 궁궐, 사찰, 관아, 향교, 중 . 상류주택 등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지붕 형태이다. 이 지붕은 네 귀의 처마 끝이 치솟기 때문에 독특한 형태미를 이루게 되며 특히 이 팔작지붕에 적용한 후림과 조로는 착시현상을 교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후림이란 지붕의 수평면에 있어서 네 귀로 뻗게 하고 안으로 선을 후린다는 의미이며, 조로란 수직면위로 휘어 오르는 평고대인 조로를 둠으로써 이들 선을 다시 네 귀에서 들리게 하는 시각적인 기법을 말한다. 후림과 조로의 기법을 사용하는 방지하며, 용마루선까지도 휘어지게 하여 한층 적극적으로 착시현상을 방지하고 있다.
팔작지붕 : 지붕 위에 까치 박공이 달린 삼각형의 벽이 있는 지붕. 처마 끝은 모임지붕처럼되고 용마루 부근에 삼각형의 벽이 있는 지붕.=합작지붕.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숭절당(崇節堂)
숭절당은 숭정사 앞에 제사에 소요되는 건물로서 안체 하나와 사랑채 둘로 구성되어 있으나 모두 100년이 넘지 않는 검물이고, 오랜 역사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건물은 박팽년의 유복손 박일산이 종택을 세울 때 그에 딸린 정자로 지었다는 태고정 (太古亭)이다.
'대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성 하목정 (達城 霞鶩亭) (0) | 2012.02.24 |
---|---|
도곡재 (陶谷齋) (0) | 2012.02.23 |
십이지석관(十二支石棺.경북대학교박물관) (0) | 2012.02.23 |
대구 산격동 연화 운룡장식 승탑 (大邱 山格洞 蓮花 雲龍裝飾 僧塔) (0) | 2012.02.23 |
대구 산격동 사자 주악장식 승탑 (大邱 山格洞 獅子 奏樂裝飾 僧塔) (0) | 2012.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