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예천 초간정 원림 (醴泉 草澗亭 園林.명승 제51호.경북 예천군 용문면 죽림리 350번지 등)
초간정은 조선 선조 때 학자인 초간 권문해(1534~1591)가 오랜 관직생활과 당쟁에서 벗어나 자연을 즐기기 위해 고향으로 돌아와 창건한 정자로 맑은 계곡과 푸른 소나무림 사이의 암석 위에 위치하고 있다. 조선시대 사림의 은일(隱逸)생활과 무위자연(無爲自然)을 바탕으로 하는 선조들의 자연관을 보여주는 명승지로 바위를 휘돌아 흐르는 계류가 시원한 운치를 자아내는 등 경관적 가치가 크다.(문화재청 자료)
석조헌(夕釣軒'저녁에 낚시를 하는 마루')
초간정 (草澗亭.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43호.경북 예천군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용문경천로 874)
우리나라 최초의 백과사전『대동운부군옥』을 지은 초간 권문해(1534∼1591) 가 세운 것으로 심신을 수양하던 정자이다. 권문해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백과사전류인 『대동운부군옥』 20권을 지어 국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남겨 놓았다. 정자는 조선 선조 15년(1582)에 처음 지었고, 선조 25년(1592) 일어난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졌다. 광해군 4년(1612)에 고쳐 지었지만 인조 14년(1636) 병자호란으로 다시 불타 버렸다. 지금 있는 건물은 선생의 원고 등을 보관하기 위해 고종 7년(1870) 후손들이 기와집으로 새로 고쳐 지은 것이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앞면 왼쪽 2칸은 온돌방을 배치하고 나머지 4칸은 대청마루로 4면에 난간을 설치해 두었다. 임진왜란·병자호란의 양란을 겪으면서 초간정사의 현판이 정자 앞 늪에 파묻혀 있다는 전설이 전해졌는데, 신기하게도 늪에서 오색무지개가 영롱하여 현판을 잃고 근심하던 종손이 파보았더니 현판이 나왔다고 한다. 초간정은 기암괴석과 주변의 경관이 조화를 이루어 관광지로도 각광을 받고 있다.(문화재청 자료)
초간정에서 본 풍경
초간정에서 본 풍경
대동운부군옥목판 및 고본 (大東韻府群玉木板 및 稿本.보물 제878호)
이것은 선조 22년(1589)에 권문해(1534∼1591)가 편찬한 일종의 백과사전인『대동운부군옥』이다. 권문해는 1560년 문과에 급제하여 내직으로 정언, 장령, 외직으로 안동과 대구의 부사와 공주목사 등을 지냈고, 후에 승지의 벼슬을 지냈다. 퇴계 이황에게서 학문을 배워 이름을 날렸고, 특히 역사에 정통하였다. 이 원고본은 책판 667판과 고본 3종 27책이다. 이 중 책판은 초판본의 판목이 남아있는 것이며, 고본은 체재와 형식 등이 다소 다른 미완질의 3종 27책이다. 『대동운부군옥』은 중국 송나라 음시부의 『운부군옥』의 체제를 본따서 우리나라의 역사, 지리, 문학, 철학, 예술, 풍속, 인물 등의 분야에서 조선 명종때까지의 모든 사항을 20권 20책으로 정리한 책이다. 이 책판은 순조∼헌종 때 이루어지기는 하였으나, 임진왜란 이전 개인이 엮은 저서로서는 양적 또는 질적인 면으로 가장 우수한 대작이며, 그 보존상태도 매우 양호하다. 고본은 비록 빠진 부분이 있어 완전하지는 못하나『대동운부군옥』을 편찬하는데 바탕이 되는 자료인 점과 오랜 4백여년 전해진 고본이란 점에서 매우 귀한 자료로 평가된다.(문화재청 자료)
'경상북도 > 예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천양수발전소 상부댐 (0) | 2012.10.07 |
---|---|
예천읍사무소 (醴泉邑事務所) (0) | 2012.10.07 |
예천 금당실 송림 (醴泉 金塘室 松林) (0) | 2012.10.07 |
예천 장안사(長安寺) (0) | 2012.07.21 |
예천 용문사(醴泉 龍門寺) (0) | 2012.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