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대구

금동 당간 용두(金銅幢竿龍頭)

노촌魯村 2013. 5. 27. 17:39

 

금동 당간 용두(金銅幢竿龍頭.보물  제1410호.대구 수성구  청호로 321, 국립대구박물관 (황금동,국립대구박물관))

금동 당간 용두는 금방이라도 튀어나올 듯 두 눈을 크게 부릅뜬 채 윗입술이 S자형을 이루며 위로 길게 뻗친 입을 벌려 여의주를 물었으며 아래 위의 송곳니가 모두 위쪽을 향해 날카롭게 휘어져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목을 앞으로 쑥 내밀어서 휘어진 역동적인 몸통에는 두 가닥의 선으로 비늘을 촘촘히 음각하였는데, 각 비늘마다 안쪽에 꽃무늬와도 같은 문양을 새겨 넣었다.
한편 목과 만나는 입 안쪽으로 도르래가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어, 턱 밑을 뚫고 어금니 부분의 못(리벳)으로 고정시켜 놓아 실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 보이나 지금은 도르래 부분의 부식이 심하여 본래의 기능을 상실한 상태이다.
통일신라 간두로는 매우 희귀한 예로 통일신라의 조각사, 공예사 및 건축사적으로도 중요하며 또한 도르래의 사용에서 과학사적으로도 참고가 되는 중요한 유물이다. (문화재청 자료)

경북 영주군 풍기읍에서 하수도 공사를 하다가 발견되었다. 9세기 통일신라시대 것으로 높이가 65㎝에 이르러 당당한 모습이다.

 

금동용형 당간두는 금방이라도 튀어나올 듯 두 눈을 크게 부릅뜨고 있으며 윗입술이 과 길게 뻗친 입에는 여의주를 물었으며 아래 위 송곳니가 모두 위쪽을 향해 날카롭게 휘어져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목을 앞으로 쑥 내밀어서 휘어진 역동적인 몸통에는 두 가닥의 선으로 비늘을 촘촘히 음각하였는데, 각 비늘마다 안쪽에 꽃무늬와도 같은 문양을 새겨 넣었다.   

 

국립대구박물관 당간 복원품

 

 

 

 

위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