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기타/각종정보

하와이에서 온 우리 옛 그림- 미국 호놀룰루미술관 소장 한국 회화 2점 전시 / 9.22.~10.11. 국립고궁박물관 -

노촌魯村 2015. 9. 20. 00:30

하와이에서 온 우리 옛 그림

- 미국 호놀룰루미술관 소장 한국 회화 2점 전시 / 9.22.~10.11. 국립고궁박물관 -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국내에서 보존처리를 완료한 미국 호놀룰루미술관(관장 스테판스트, Stephan Jost) 소장 한국 회화 2점을 오는 22일부터 10월 11일까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선보인다.

이번에 전시되는 작품은 16세기에 제작된 <계회도(契會圖)>와 수준 높은 <화조화(花鳥)> 민화 병풍 각 1점으로, 문화재청 「국외문화재 소장기관 활용 지원 사업」을 통해 국내에는 처음 공개되는 것이다.

* 계회도(契會圖): 관료 등의 친목 도모 모임을 그린 그림

특히 <계회도>는 2003년 호놀룰루미술관이 구입한 리처드 레인 컬렉션(Richard Lane Collection)의 하나로, 유물번호도 없이 수장고에 보관되어 있던 것을 지난해 문화재청이 파견한 전문가 실사단이 발견하였다.

그림의 우측 상단에는 조선 중기 문신 윤안성(尹安性, 1542~1615년)이 1586년에 쓴 제시(題詩)가 있어 제작연도를 분명히 알 수 있다. 임진왜란 이전에 제작된 회화 작품들이 드문 실정에서 제작시기가 명확한 작품이 발견되어 미술사적 의의가 매우 크다. 이 작품은 발견 당시 일본식으로 장황(裝潢)되어 있었으나, 현재 남아있는 동시대의 다른 계회도의 장황을 참고하여 조선식 족자로 보존처리 하였다.

* 제시(題詩): 그림이 제작된 배경이나, 감흥, 작가에 대한 평 등을 적은 글

* 장황(裝潢): 비단이나 두꺼운 종이를 발라서 책, 화첩(畫帖), 족자 따위를 꾸미어 만듦

꽃과 새를 그린 민화 병풍 <화조화>는 소재가 다양하고 세부묘사가 정교하여 민화 화조화 중에서 수작으로 평가된다. 발견 당시 원래 8폭 병풍에 있던 그림을 잘라내어 8개의 코르크 패널 위에 하나씩 붙인 상태로 보관되어 있었다. 이에 각 패널 위에 붙어 있던 그림을 떼어내 조선식 8폭 병풍으로 복원하였다.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무료로 공개되는 두 작품은 국내 전시가 끝난 후 미국 현지에서도 특별전을 통해 소개될 예정이어서, 우수한 우리 문화유산을 국외에 홍보하는 좋은 기회가 될 전망이다.

국외에 있는 우리 문화재에 대한 보존처리와 전시는 해당 문화재의 가치를 높이고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될 뿐만 아니라, 문화재의 체계적인 보존관리와 연구에도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국외문화재 소장기관 활용 지원 사업」을 속적으로 추진하여 해외에 있는 우리 문화재의 현지 전시, 홍보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글.사진 출처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