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경주/남산자료실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慶州 南山 三陵溪 石造如來坐像)

노촌魯村 2017. 3. 14. 08:39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慶州 南山 三陵溪 石造如來坐像.보물  제666호.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산 72-6)

삼릉계곡의 왼쪽 능선 위에 있는 이 석조여래좌상으로 화강암을 조각하여 만들었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정수리 부근에는 큼직한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자리잡고 있다. 얼굴은 원만하고 둥글며, 두 귀는 짧게 표현되었다.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입은 옷의 옷주름선은 간결하고 아름답게 표현되었다. 허리는 가늘고 앉은 자세는 안정감이 있다. 대좌(臺座)는 상·중·하대로 구성되었는데, 상대에는 화려한 연꽃무늬를 조각하였으며, 8각 중대석은 각 면에 간략하게 눈모양의 안상(眼象)을 조각하였다. 하대는 단순한 8각대석으로 되어 있다.
8각의 연화대좌에 새겨진 연꽃무늬와 안상을 비롯하여 당당하고 안정된 자세 등으로 보아 8∼9세기에 만들어진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보인다. (출처:문화재청)

선각여래좌상에서 오른쪽으로 난 능선 길을 따라 100m정도 가면 (삭제-냉골 골짜기 옆) 솔숲에 많은 바위 무리가 있고, 그 가운데 순백 화강암으로 조성된 여래상이 화려한 연화대석 위에 앉아 계신다. 연화대좌는 투박하게 팔각으로 깎은 하대석과 면마다 안상을 새긴 중대석을 놓고 그 위에 화려한 보상화 연꽃을 올려 놓았다.  안상이란 귀인들이 앉는 평상을 말하는 것이니 중대석 위는 절대로 존엄한 세계라는 뜻이다. 이렇게 존귀한 평상 위에 보상화로 장식된 화려한 둥근 연꽃송이를 얹어 놓았으니 이 연꽃은 수미산 위에 핀 하늘의 꽃송이인 것이다. 이 불상의 가장 큰 특징은 하대석이다. 보통 불상에서는 하대석에는 복련을 새기는데, 이 불상은 하대석을 팔각으로 거칠게 깎고 말았다. 불상이 바위 속에서 솟아오르는 모습을 표현한 듯하다. 이 불상 주위에도 건물을 지었던 흔적이 보이지 않아 처음부터 노천불이었을 걸로 짐작된다. 주위 분위기와 조화되지 않을 경우에는 부처님께서 눈비를 맞는 한이 있더라도 전각을 짓지 않았던 옛 사람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다. 불상의 광배의 안쪽에는 부드러운 넝쿨무늬를 새기고 바깥쪽은 힘 있게 활활 타오르는 불꽃무늬를 새겼다. 광배는 윗부분이 조금 깨진 채로 불상 후면에 세워졌으나 1963년 겨울 무지한 사람들에 의해 산산조각 나버려, 2008년 12월 상호와 광배를 복원하였다. 8세기 후반에 조성된 불상이다.
불상 앞 쪽 평평한 곳에 있는 작은 단은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옮겨진 탑의 원위치이다. 바위를 탑의 기단으로 삼아 세운 삼층석탑이다.(출처:경주시청)








보수. 정비 전 모습

 

 

 

 

 

 

 

  

일제시대 사진


 

 

 

삼릉곡 제6사지 석탑터



 

삼릉계 출토 삼층석탑(현재 경주박물관에 정원에 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