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 명량대첩로 해역 제5차 수중발굴조사 착수 -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명량대첩로 해역 제5차 수중발굴조사 시작 /2017. 5.18. 개수제 - |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이귀영)는 2017년 5월 18일 전라남도 진도군 명량대첩로 해역에서 제5차 수중발굴조사의 시작을 알리고, 발굴단의 안전을 기원하는 개수제(開水祭)를 거행한다.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은 조류가 빠르게 흘러 수많은 배가 난파된 험로이나, 해상 지름길로 알려져 선사 시대 이래 현재까지 많은 배가 끊임없이 왕래하는 서해안 해상항로의 중심지이다. 이곳은 고려에서 조선 시대까지 이어지는 약 천년 동안 전라·경상도 지역에서 거두어들인 세곡과 화물을 실어 나르던 배들이 수시로 드나들던 곳이며, 명량대첩(1597년)이 일어난 울돌목에서 남동쪽으로 약 4km 떨어져 있어 전쟁 유물이 다수 발견되는 등 과거 해상 전투의 흔적도 확인할 수 있다. 발굴해역의 남쪽에 있는 벽파항은 과거 벽파정이 있었던 곳이며, 그 인근에서 중국 송‧원나라 시대 국제교류의 증거인 진도 통나무배가 발굴되기도 하였다.
* 벽파정: 고려 희종 3년(1207년)에 주로 중국을 왕래하는 국제적 사절을 위로하기 위해 창건한 정자
* 진도 통나무배: 1991∼1992년 벽파항 인근에서 발굴한 중국 통나무배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2011년 이 해역에서 인양한 유물을 불법 매매하려던 도굴범이 검거된 것을 계기로 2012년부터 2016년까지 긴급탐사와 4차에 걸쳐 수중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조선 시대 개인화기인 소소승자총통(小小勝字銃筒) 3점을 비롯해 토기, 도자기 등 다양한 종류의 유물 790여 점을 발굴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명량대첩로에서 가장 많이 발굴된 유물은 고려청자이다. 강진에서 제작된 베개, 잔, 접시, 유병, 향로, 붓꽂이 등이 대표적이며, 임진왜란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총통(銃筒)과 석환(石丸, 돌포탄), 노기(弩機) 등 전쟁유물들도 확인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토기, 골각(骨角), 중국 닻돌, 송나라 동전 등 다양한 유물이 나오고 있어 삼국 시대 초기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는 해상통로임을 보여주고 있다.
* 노기: 쇠뇌(시위를 걸고 방아쇠를 당겨 화살을 추진시키는 무기)의 일부인 방아쇠 부분
* 닻돌: 나무로 만든 가벼운 닻을 물속에 잘 가라앉히기 위하여 매다는 돌
올해는 수중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명량대첩로 해역의 성격을 고려해 수중초음파카메라를 사용하여, 이상체와 유물 집중매장처로 추정되는 곳의 탐사조사를 병행할 예정이다. 발굴조사는 2017년 11월 2일까지 진행된다.
* 수중초음파카메라: 탁도가 높고 어두워 수중시야 확보가 어려운 환경에서 수중과 해저면에 노출되어 있는 문화재를 탐지하는 장비
명량대첩로 해역은 유물이 넓은 범위에 흩어져 묻혀있고, 물속에서 시야(0~0.5m)가 확보되지 않아 장기적인 연차 조사가 필요한 곳이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앞으로도 명량대첩로 해역의 지속적인 조사와 연구를 통해 과거 격전지이자 해상교류의 거점구역인 명량대첩로의 역사적 의미를 조명하고 이곳에서 발견되는 해양문화유산의 보존‧보호에도 최선을 다할 것이다.
<글.사진 출처 : 문화재청>
이충무공 벽파진 전첩비
(李忠武公 碧波津 戰捷碑)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정유재란 당시 이충무공에 의해 가장 통쾌한 승리를 불가사의하게 거둔 명량해전 승첩을 기념하고 진도 출신 참전 순절자들을 기록하기 위해 1956년 11월 29일 건립되었다.
비신 높이 3.8m, 폭 1.2m, 두께 58㎝이다. 비문은 시인 이은상이 짓고 글씨는 이 고장 출신 서예가 소전 손재형이 썼다.
비문 내용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
“벽파진 푸른 바다여, 너는 영광스런 역사를 가졌도다. 민족의 성웅 충무공이 가장 외롭고 어려운 고비에 빛나고 우뚝한 공을 새우신 곳이 여기더니라. 옥에서 풀려나와 삼도수군통제사의 무거운 짐을 다시 지고서 병든 몸을 이끌고 남은 배 12척을 겨우 거두어 일찍 군수로 임명되었던 진도 땅 벽파진에 이르니 때는 공(公)이 53세 되던 정유년 8월 29일 이때 조정에서는 공에게 육전을 명했으나 공은 이에 대답하되 신에게 아직도 12척의 배가 남아 있삽고 또 신이 죽지 않았으며 적이 우리를 업수이 여기지 못하리이다. 하고 그대로 여기 이 바다를 지키셨나니 예서 머무신 16일 동안 사흘은 비 내리고 나흘은 바람 불고 맏아들 회(薈)와 함께 배 위에 앉아 눈물도 지으셨고 9월 초 7일 적선 18척이 들어옴을 물리쳤으며 초 9일에도 적선 2척이 감포도(甘浦島)까지 들어와 우리를 엿살피다 쫓겨갔는데 공이 다시 생각한 바 있어 15일에 진(津)을 옮기자 바로 그 다음날 큰 싸움이 터져 12척 작은 배로서 330척의 배를 모조리 무찌르니 어허 통쾌할사 만고에 깊이 빛날 명량대첩이여…”
이충무공 벽파진 전첩비(李忠武公 碧波津 戰捷碑)에서 본 벽파항
위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기타 > 각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선 매둔동굴에서 청동기 시대 매장의례를 파악할 수 있는 동굴무덤 확인 (0) | 2017.05.23 |
---|---|
사도세자의 명복을 빌던 불전 ‘화성 용주사 대웅보전’보물 지정 예고 (0) | 2017.05.19 |
특별전‘선인들의 마음, 보물이 되다-新國寶寶物展 2014~2016’개최 (0) | 2017.05.11 |
정선 아우라지 유적에서 벌집모양 대형 적석유구 확인 (0) | 2017.05.10 |
「최석정 초상 및 함」등 5건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0) | 2017.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