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등 8건 문화재 등록 |
문화재청(청장 김종진)은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당진 소난지도 의병총」 등 항일독립 문화유산 2건과 근대문화유산으로서 가치가 있는 「영광 원불교 신흥교단 대각전」, 「광주 관덕정」, 「통영 소반장 공방」, 「목포 정광정혜원」, 「수원 구 소화(小花)초등학교」, 「수원 구 부국원」 등 총 8건을 문화재로 등록하였다.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은 일제에 항거하여 조국의 자주독립을 위해 헌신한 공로로 독립유공자 서훈을 받은 등록문화재 제691-1호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오세창((吳世昌) 묘소」, 등록문화재 제691-2호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문일평(文一平) 묘소」, 등록문화재 제691-3호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방정환(方定煥) 묘소」, 등록문화재 제691-4호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오기만(吳基萬) 묘소」, 등록문화재 제691-5호 「망우 독립유공자 서광조(徐光朝) 묘소」, 등록문화재 제691-6호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서동일(徐東日) 묘소」, 등록문화재 제691-7호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오재영(吳哉泳) 묘소」, 등록문화재 제691-8호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유상규(劉相奎) 묘소」 등 여덟 명의 독립지사가 모셔진 역사적인 곳이다. 인근에는 2012년 문화재로 등록된 ‘만해 한용운’ 선생의 묘소가 함께 자리하고 있으며 항일 독립운동의 정신 계승과 역사적 교훈의 가치가 담긴 역사적 장소로 판단된다.
등록문화재 제692호 「당진 소난지도 의병총」은 을사늑약(1905년) 이후 충청남도 해안지역에서 의병들이 연합하여 소난지도에서 전개된 항일 의병전쟁의 처절한 역사적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장소로서, 전국에서 유일하게 해상 도서를 근거지로 항일투쟁을 벌인 곳이다. 일제가 우리나라를 강점하기 위해 항일세력을 도서지방까지 철저하게 탄압한 실상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독립운동사의 참된 가치와 애국혼을 선양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지이다.
등록문화재 제693호 「영광 원불교 신흥교당 대각전」은 처음 건립 당시엔 이곳에서 원불교를 믿는 지역민들이 주민 공동체로 시작하여 활동하다가 이후 원불교 교당으로 발전한 매운 드문 사례로 대각전 건축의 초기 가구구조와 공간구성 등 기본적 건축형식에서 원형의 모습을 잘 유지하고 있다.
등록문화재 제694호 「광주 관덕정」은 근대기 한국 체육시설의 역사를 담고 있는 시설로서 철근 콘크리트조 건물로 건립되었지만, 국궁장이라는 건물 성격에 걸맞게 지붕의 처마 곡선과 솟음 등 우리나라 전통 목조건축의 모양을 충실히 표현하고 있다.
등록문화재 제695호 「통영 소반장 공방」은 살림집의 안채와 작업공간인 공방의 기능을 겸하고 있는 공방 주택으로 근대기 통영지역 전통공예 장인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학술적 자료가 된다. 건축사적인 측면에서 지역 민가의 고유성과 소목 장인의 독창적 기교가 어우러져 희소가치가 있고, 근대기 공방 건축의 형성과정도 잘 나타난 장소다.
등록문화재 제696호 「목포 정광정혜원」은 1918년 세워진 사찰로 불당과 요사채(스님들이 기거하는 곳)가 장방형(사각형) 중정을 중심으로 한 건물 내에서 예불공간과 생활공간이 복합적으로 구성되는 등 일본식 사찰의 독특한 평면구조와 공간구성을 보여준다.
등록문화재 제697호 「수원 구 소화(小花)초등학교」는 1954년 미국 가톨릭복지협의회가 수원에 최초로 건립한 초등학교 교사다. 건축기법 등에서 건립 당시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건물의 구조적 특성을 드러내면서도 기능적으로 잘 활용되고 있다.
등록문화재 제698호 「수원 구 부국원」은 옛 가로(街路)의 근대적 경관 형성과 도시의 역사적 변화를 보여주는 옛 관청 건물로 근대기 농업행정과 농업연구의 중심지로서 수원의 역사와 정체성을 말해주는 건물이다.
이번에 등록된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등 8건의 등록문화재는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협력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활용해 나갈 계획이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3‧1운동 100주년이 되는 2019년까지 항일독립 문화유산의 적극적인 발굴과 문화재로 등록하여 체계적 보수정비를 추진하여 독립운동과 조국 광복의 상징적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힘써 나갈 계획이다.
문화재 등록 개요 |
1. (등록)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8위)
□ 문화재명: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8위)
□ 종 별: 등록문화재
□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동 산57-1,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 산84-1
□ 조성연대: 1933년~1973년
□ 수 량: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8위)
※ 등록번호 순서는 ‘훈격’ 기준 (동일 훈격은 가나다순)
등록번호 | 문화재명 | 서훈(훈격) |
등록문화재 제691-1호 |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오세창(吳世昌) 묘소 | 대통령장 |
등록문화재 제691-2호 |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문일평(文一平) 묘소 | 독립장 |
등록문화재 제691-3호 |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방정환(方定煥) 묘소 | 애국장 |
등록문화재 제691-4호 |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오기만(吳基萬) 묘소 | 애국장 |
등록문화재 제691-5호 |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서광조(徐光朝) 묘소 | 애족장 |
등록문화재 제691-6호 |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서동일(徐東日) 묘소 | 애족장 |
등록문화재 제691-7호 |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오재영(吳哉泳) 묘소 | 애족장 |
등록문화재 제691-8호 |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유상규(劉相奎) 묘소 | 애족장 |
□ 소 유 자: 서울특별시장, 산림청
□ 등록 사유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은 일제에 항거하여 조국의 자주독립을 위해 헌신한 공로로 독립유공자 서훈을 받은 ‘여덟 분의 독립지사 묘소’가 모셔진 역사적 장소로서 항일 독립운동의 정신 계승과 역사적 교훈을 되새기는 기념적 가치가 있는 곳이다.
ㅇ 오세창(吳世昌, 1864. 7. 15.~1953. 4. 16.)
오세창(吳世昌)은 3․1운동 민족대표 33인으로 참여하여 일본경찰에 의해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서 3년간의 옥고를 치렀다. 해방 후에는 건국준비위원회 의원 등 중책을 맡았으며, 1946년 8월 15일에는 민족대표로 일본으로부터 대한제국의 국새를 돌려받았고, 백범 김구가 암살당했을 때 장의위원장직을 맡는 등 서거하신 그날까지 존경받는 민족의 원로 지도자로 활동한 독립 운동가이다.
ㅇ 문일평(文一平, 1888. 5. 15.~1939. 4. 3.)
문일평(文一平)은 1919년 3월 12일 서울 종로 보신각(普信閣)에서 조선 13도 대표자 명의로 「애원서(哀願書)」라는 제목의 글을 낭독하여 한국의 독립을 주장하면서 시위운동을 주도하다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특히, 언론인과 사학자로서 평생 ‘조선학’을 통한 한국사의 대중화와 민족의식을 고취한 독립 운동가이다.
ㅇ 방정환(方定煥, 1899. 11. 9.~1931. 7. 23.)
방정환(方定煥)은 1919년 3·1운동 때에는 손병희(孫秉熙)의 사위로서 3·1운동 준비에 협력하였으며, 1923년에 고한승(高漢承) 등과 「색동회」를 조직하여 5월 1일을 첫 ‘어린이날’로 제정 선포하였다. 1931년 “어린이를 두고 가니 잘 부탁하오”라는 유언을 남기며 운명하신 날까지 어린이를 위한 찬연한 역사의 발자취를 남기신 분이다.
ㅇ 오기만(吳基萬, 1905. 8. 21.~1937. 8. 23.)
오기만(吳基萬)은 1928년 4월 16일 신간회(新幹會) 배천지회(白川支會) 설립대회 당시 준비위원으로 홍세혁(洪世赫) 등과 함께 격문을 배부하려다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으며, 출옥 후 중국 상해로 망명하여 유호한인독립운동자동맹(留滬韓人獨立運動者同盟)을 결성하여 민족운동 기념일마다 재류한인들에게 격문을 반포하여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는 등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1934년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징역 5년형을 받고 서매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러 그해 10월 옥고여독으로 순국하신 독립 운동가이다.
ㅇ 서광조(徐光朝, 1897. 2. 29.~1964. 7. 24.)
서광조(徐光朝)는 1917년 3월 23일 평남 평양(平壤)에서 장일환(張日煥)·강석봉(姜錫奉) 등과 함께 조선국민회(朝鮮國民會)를 비밀결사하고 전라도지역 책임자로 선임되어 항일활동을 독립 운동가이다.
ㅇ 서동일(徐東日, 1893. 12. 25.~1966. 4. 26.)
서동일(徐東日)은 1923년 1월 중국 북경(北京)으로 망명하여 국권회복을 위하여 군대를 양성하고 무력으로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국민당(國民黨)을 조직하자 가입하여 경북 대구 일대에서 군자금을 모집하여 북경에 전달하였으며, 1925년 무언실행(無言實行)을 행동지침으로 일제 앞잡이를 처단하는 다물단(多勿團)이 조직되자 이에 가입하고 군자금 모집활동을 하다 일본경찰에 의해 체포되어 옥고를 치른 독립 운동가이다.
ㅇ 오재영(吳哉泳, 1897. 5. 24 ~ 1948. 7. 26)
오재영(吳哉泳)은 1920년 9월 14일 의열단원인 박재혁(朴載赫)이 중국서적상으로 가장하고 부산경찰서장을 방문하여 폭탄을 투척, 서장이 중상을 입힌 거사를 도운 공동혐의자로 지목되어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징역 1년형을 받고 대구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른 독립 운동가이다.
ㅇ 유상규(劉相奎, 1897. 11. 10.~ 1936. 7. 18.)
유상규(劉相奎)는 1919년 3·1운동 당시 경성의학전문학교 학생으로 학생들을 동원하는 등 3·1독립운동의 주된 역할을 하였으며, 상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설립되자 독립운동 자료조사 및 수집 등 활동을 하였다. 1920년에는 안창호의 비서로 근무하였으며, 흥사단에 입단하여 활동하였다. 도산 안창호의 권고로 1924년 귀국 후 복학하고 수양동맹회, 동우회에서 독립운동을 계속하였으며, 이후 교육과 치료 및 국민 보건위생계몽을 하다가 1936년 경성의학전문학교의 외과 강사로 근무 중 순직하신 독립 운동가이다.
2. (등록) 당진 소난지도 의병총
□ 문화재명: 당진 소난지도 의병총
□ 종 별: 등록문화재 제692호
□ 소 재 지: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 난지도리 373-2
□ 건립연대: 1982(1977년 이전부터 조성)
□ 수 량: 1,626㎡(봉분 1기, 상석 1기, 기념비 1기, 당주석 2기 등 포함)
□ 소 유 자: 기획재정부
□ 등록 사유
ㅇ 을사늑약(1905년) 이후 충청남도 해안지역의 의병들이 연합하여 소난지도에서 항일 의병활동을 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장소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해상 도서를 근거지로 삼아 뱃길을 오가며 항일투쟁을 벌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각별하다.
3. (등록) 영광 원불교 신흥교당 대각전
□ 문화재명: 영광 원불교 신흥교당 대각전
□ 종 별: 등록문화재 제693호
□ 소 재 지: 전라남도 영광군 묘량면 묘량로 2길 64-1
□ 건립연대: 1936
□ 수 량: 1동(건축면적 126㎡)
□ 소 유 자: 재단법인 원불교
□ 등록 사유
ㅇ 최초 주민공동체로 시작하여 후에 원불교 교당으로 발전한 매운 드문 사례로 대각전의 가구구조와 공간구성 등 기본적인 건축형식이 원형의 모습을 잘비교적 잘 유지하고 있다.
4. (등록) 광주 관덕정
□ 문화재명: 광주 관덕정
□ 종 별: 등록문화재 제694호
□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남구 사직길 49
□ 제작연대: 1967년
□ 수 량: 5,961㎡(관덕정 일원)
□ 소 유 자: 광주광역시장
□ 등록 사유
ㅇ 근대기 한국 체육시설의 역사를 담고 있는 시설로서 철근콘크리트조 건물로 건립되었지만 국궁장이라는 건물 성격에 걸맞게 지붕의 처마곡선‧솟음 등 우리나라 전통 목조건축의 모습을 충실히 표현하고 있다.
5. (등록) 통영 소반장 공방
□ 문화재명: 통영 소반장 공방
□ 종 별: 등록문화재 제695호
□ 소 재 지: 경상남도 통영시 박효자길 17
□ 제작연대: 1928년(추정)
□ 수 량: 2동(건축면적 50㎡)
□ 소 유 자: 통영시장
□ 등록 사유
ㅇ 살립집의 안채와 작업공간인 공방의 기능을 겸하고 있는 공방 주택으로 근대기 통영지역 전통공예 장인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학술적 자료가 되며, 건축사적인 측면에서 지역 민가의 고유성과 소목 장인의 독창적 기교가 어우러진 희소가치와 함께 근대기 공방 건축의 형성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6. (등록) 목포 정광정혜원
□ 문화재명: 목포 정광정혜원
□ 종 별: 등록문화재 제696호
□ 소 재 지: 전라남도 목포시 노적봉길 26
□ 제작연대: 1918년
□ 수 량: 1동(연면적 515㎡)
□ 소 유 자: 대한불교조계종 정광정혜원
□ 등록 사유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은 일제에 항거하여 조국의 자주독립을 위해 헌신한 공로로 독립유공자 서훈을 받은 ‘여덟 분의 독립지사 묘소’가 모셔진 역사적 장소로서 항일 독립운동의 정신 계승과 역사적 교훈을 되새기는 기념적 가치가 있는 곳이다.
ㅇ 오세창(吳世昌, 1864. 7. 15.~1953. 4. 16.)
오세창(吳世昌)은 3․1운동 민족대표 33인으로 참여하여 일본경찰에 의해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서 3년간의 옥고를 치렀다. 해방 후에는 건국준비위원회 의원 등 중책을 맡았으며, 1946년 8월 15일에는 민족대표로 일본으로부터 대한제국의 국새를 돌려받았고, 백범 김구가 암살당했을 때 장의위원장직을 맡는 등 서거하신 그날까지 존경받는 민족의 원로 지도자로 활동한 독립 운동가이다.
ㅇ 문일평(文一平, 1888. 5. 15.~1939. 4. 3.)
문일평(文一平)은 1919년 3월 12일 서울 종로 보신각(普信閣)에서 조선 13도 대표자 명의로 「애원서(哀願書)」라는 제목의 글을 낭독하여 한국의 독립을 주장하면서 시위운동을 주도하다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특히, 언론인과 사학자로서 평생 ‘조선학’을 통한 한국사의 대중화와 민족의식을 고취한 독립 운동가이다.
ㅇ 방정환(方定煥, 1899. 11. 9.~1931. 7. 23.)
방정환(方定煥)은 1919년 3·1운동 때에는 손병희(孫秉熙)의 사위로서 3·1운동 준비에 협력하였으며, 1923년에 고한승(高漢承) 등과 「색동회」를 조직하여 5월 1일을 첫 ‘어린이날’로 제정 선포하였다. 1931년 “어린이를 두고 가니 잘 부탁하오”라는 유언을 남기며 운명하신 날까지 어린이를 위한 찬연한 역사의 발자취를 남기신 분이다.
ㅇ 오기만(吳基萬, 1905. 8. 21.~1937. 8. 23.)
오기만(吳基萬)은 1928년 4월 16일 신간회(新幹會) 배천지회(白川支會) 설립대회 당시 준비위원으로 홍세혁(洪世赫) 등과 함께 격문을 배부하려다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으며, 출옥 후 중국 상해로 망명하여 유호한인독립운동자동맹(留滬韓人獨立運動者同盟)을 결성하여 민족운동 기념일마다 재류한인들에게 격문을 반포하여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는 등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1934년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징역 5년형을 받고 서매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러 그해 10월 옥고여독으로 순국하신 독립 운동가이다.
ㅇ 서광조(徐光朝, 1897. 2. 29.~1964. 7. 24.)
서광조(徐光朝)는 1917년 3월 23일 평남 평양(平壤)에서 장일환(張日煥)·강석봉(姜錫奉) 등과 함께 조선국민회(朝鮮國民會)를 비밀결사하고 전라도지역 책임자로 선임되어 항일활동을 독립 운동가이다.
ㅇ 서동일(徐東日, 1893. 12. 25.~1966. 4. 26.)
서동일(徐東日)은 1923년 1월 중국 북경(北京)으로 망명하여 국권회복을 위하여 군대를 양성하고 무력으로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국민당(國民黨)을 조직하자 가입하여 경북 대구 일대에서 군자금을 모집하여 북경에 전달하였으며, 1925년 무언실행(無言實行)을 행동지침으로 일제 앞잡이를 처단하는 다물단(多勿團)이 조직되자 이에 가입하고 군자금 모집활동을 하다 일본경찰에 의해 체포되어 옥고를 치른 독립 운동가이다.
ㅇ 오재영(吳哉泳, 1897. 5. 24 ~ 1948. 7. 26)
오재영(吳哉泳)은 1920년 9월 14일 의열단원인 박재혁(朴載赫)이 중국서적상으로 가장하고 부산경찰서장을 방문하여 폭탄을 투척, 서장이 중상을 입힌 거사를 도운 공동혐의자로 지목되어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징역 1년형을 받고 대구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른 독립 운동가이다.
ㅇ 유상규(劉相奎, 1897. 11. 10.~ 1936. 7. 18.)
유상규(劉相奎)는 1919년 3·1운동 당시 경성의학전문학교 학생으로 학생들을 동원하는 등 3·1독립운동의 주된 역할을 하였으며, 상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설립되자 독립운동 자료조사 및 수집 등 활동을 하였다. 1920년에는 안창호의 비서로 근무하였으며, 흥사단에 입단하여 활동하였다. 도산 안창호의 권고로 1924년 귀국 후 복학하고 수양동맹회, 동우회에서 독립운동을 계속하였으며, 이후 교육과 치료 및 국민 보건위생계몽을 하다가 1936년 경성의학전문학교의 외과 강사로 근무 중 순직하신 독립 운동가이다.
'기타 > 각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시대 궁궐관원들의 업무공간, 궐내각사 엿보기 (0) | 2017.10.27 |
---|---|
근대산업유산 「조선내화주식회사 구 목포공장」과 「문경 가은양조장」 등 2건 문화재 등록 예고 (0) | 2017.10.25 |
항일독립 문화유산 「보성 안규홍‧박제현 가옥」 과 「곡성 성륜사 안심당‧육회당」 등 7건 문화재 등록 예고 (0) | 2017.10.19 |
「부안 죽막동 유적」 사적 지정 (0) | 2017.10.19 |
삼국 시대 국보급 금동보살삼존불입상 출토 -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주변 - (0) | 2017.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