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기타/각종정보

「무등산 규봉 주상절리와 지공너덜」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지정 예고

노촌魯村 2018. 10. 1. 11:31

무등산 규봉 주상절리와 지공너덜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지정 예고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화순군 이서면에 있는 무등산 규봉 주상절리와 지공너덜(無等山 圭峯 柱狀節理指空너덜)을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으로 지정 예고하였다.

 

무등산 규봉 주상절리와 지공너덜은 호남 주산인 무등산 정상에서 남동쪽으로 약 1거리에 있으며 해발 950m에 자리한다. 8,700만 년 전 중생대 백악기 시대에 제2차 화산분화 당시 분출물로 생성된 용결응회암이며, 천연기념물 465호로 지정된 무등산 주상절리대(2015.12.16. 지정)의 입석대·서석대와 형성 시기가 같다.

 

무등산 규봉은 무등산 주상절리의 특성과 더불어 그 규모가 가장 크며, 하늘과 맞닿을 듯 깎아지른 약 100여 개의 돌기둥 사이로 자라고 있는 울창한 수림과 규봉암 사찰이 어울려 한 폭의 동양화처럼 그 경관이 경이롭고 아름답다.

 

조선 시대 인문지리서인 신증동국여지승람전라도 광산현(光山縣)’편에는 각각의 돌기둥에 이름을 붙인 기록이 있는데 그만큼 돌기둥의 모습이 형형색색이다.

*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기록: 규봉에는 열 개의 대()가 있는데, 송하(送下)광석(廣石)풍혈(風穴)장추(藏秋)청학(靑鶴)송광(松廣)능엄(楞嚴)법화(法華)설법(說法)은신(隱身)이라고 이름

 

또한, 조선 초 학자이자 문신인 김극기(1379~1463)는 자신의 시 규봉암을 통해 이상한 모양이라 이름을 붙이기 어렵더니, 올라와 보니 만상(萬像)이 공평하구나. 돌 모양은 비단으로 감은 듯하고 봉우리 형세는 옥을 다듬어 이룬 듯하다. 명승을 밝으니 속세의 자취가 막히고, 그윽한 곳에 사니 진리에 대한 정서가 더해지누나(중략)’라고 언급하며 이곳에서 느낄 수 있는 독특한 아름다움과 경이로움을 칭송하기도 하였다.

 

지공너덜은 주상절리가 오랜 세월 풍화작용 때문에 깨어져 산 능선을 타고 모여진 산물로 특이한 지형경관을 이루며, 인도 승려인 지공대사가 이곳에 석실(石室)을 만들고 좌선수도하면서 그 법력으로 억 만개의 돌을 깔았다라고 말한 것에서 유래가 전해져 내려온다.

* 너덜: 너덜겅(돌이 많이 흩어져 있는 비탈)

 

문화재청은 무등산 규봉 주상절리와 지공너덜을 국가지정문화재(명승)로 지정하여 올해 417일 지정된 무등산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의 지질학적 가치 뿐 아니라 무등산의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선양하여 자연문화유산을 누릴 기회를 확대하고자 한다.

 

문화재청은 30일간의 예고를 통해 의견을 수렴한 후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명승 지정 예고 개요



지정명칭: 무등산 규봉 주상절리와 지공너덜

(한문) 無等山 圭峯 柱狀節理指空너덜

(영문) Gyubong Columnar Joint and Jigong Block Stream in Mudeungsan Mountain

 

지정종별: 명승

 

소 재 지: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영평리 산 88-1 일원

 

지정면적(문화재구역): 350,000(2필지)

 

관리단체: 전라남도 화순군

 

지정가치

호남 주산인 무등산의 입석대·서석대와 규봉은 화산활동에 의해 분출된 용암이 냉각·수축되어 형성된 주상절리로 유명하다. 규봉은 그 중 규모가 제일 크며, 하늘과 맞닿을 듯 깎아지른 약 100여개의 돌기둥 사이로 자라고 있는 울창한 수림과 규봉암의 사찰이 어울려 한 폭의 동양화를 보는 듯 하고 조선 시대 고문헌에 기록된 규봉과 지공너덜은 현존까지 잘 보존되고 있어 역사적·학술적·경관적 가치가 높은 명승임

조선 시대의 인문지리서인신증동국여지승람의 전라도 광산현(光山縣)편에는 규봉은 열 개의 대()가 있는데, 송하(送下)광석(廣石)풍혈(風穴)장추(藏秋)청학(靑鶴)송광(松廣)능엄(楞嚴)법화(法華)설법(說法)은신(隱身)이라고 이름한다라고 각각의 돌기둥에 이름을 명칭하였다.

김극기의 시에는 이상한 모양이라 이름을 붙이기 어렵더니, 올라와 보니 만상(萬像)이 공평하구나. 돌 모양은 비단으로 감은 듯하고 봉우리 형세는 옥을 다듬어 이룬 듯하다. 명승을 밝으니 속세의 자취가 막히고, 그윽한 곳에 사니 진리에 대한 정서가 더해지누나. 어떻게 속세의 인연을 끊을까, 가부(跏趺)하고 앉아 무생(無生)을 배우노라.”하여 이 곳에서 느낄 수 있는 경이로움과 아름다움을 칭송하기도 하였다.

지공너덜은 주상절리가 오랜 세월 풍화작용에 의해 깨어져 산 능선을 타고 모여진 산물로 주상절리와 초기 형성과정을 같이하며, 인도 승려인 지공대사가 이곳에 석실(石室)을 만들고 좌선수도하면서 그 법력으로 억만 개의 돌을 깔았다는 유래가 전해져 내려옴

                 

<출처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