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 동해안 감시초소(GP)」등 4건 문화재 등록 예고 -「만해 한용운 심우장」사적 지정,「이봉창 의사 선서문」등 2건 문화재 등록 -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냉전 시대의 아픔과 평화의 염원을 담은 「고성 동해안 감시초소(GP)」와 항일유산인 「대한민국 임시정부 환국기념 23인 필묵」 등 4건을 문화재로 등록 예고하였다. 또한, 「만해 한용운 심우장」을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지정하고, 「이봉창 의사 선서문」 등 2건을 문화재로 등록하였다.
「고성 동해안 감시초소(GP)」는 1953년 군사정전협정 체결 직후, 남측 지역에 설치된 최초의 감시초소로, 북측 감시초소와 최단 거리에 자리하였던 역사성과 상징성 등에서 의미가 크다. 또한, 남북 분단과 이후의 남북 화합의 상징성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시설로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1953.7.27.): 6.25전쟁의 전쟁 행위를 멈추게 한 휴전협정
* 2018년 4.27 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한 ‘9.19 군사분야 합의서’에 따라 감시초소(GP) 시범철거 과정에서 존치 결정
「대한민국 임시정부 환국기념 23인 필묵」은 김구, 이시영 등 대한민국 임시정부 23인이 광복 이후 환국 하루 전인 1945년 11월 4일 저녁에 중국 충칭(重慶)에서 자신들의 감회, 포부, 이념 등을 필적으로 남긴 것이다. 근현대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인물들이 조국의 현실과 미래에 대해 각자 품고 있던 뜻과 의지, 사상을 살펴볼 수 있으며, 나아가 우리 현대사의 특수성과 그 시대상까지 동시에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부산 구 동래역사」는 1934년 동해남부선에서 최초로 완공된 역사로 일제강점기 병역 수송의 주요 거점이었으며, 오랫동안 새벽장터로서 지역생활의 중심지가 되면서 지역민들의 수많은 애환을 간직해온 곳이다. 또한, 건립 당시와 변천 과정의 모습을 소상하게 알 수 있는 건축도면이 현존하고 있는 등 역사성과 장소 면에서도 보존 가치가 충분하다.
「세종 구 산일제사 공장」은 산일제사 공장이 세워질 당시 처음 만든 건물로 추정된다. 제사공장(製絲工場)이란 누에고치에서 실을 만드는 공장으로, 이번에 문화재로 등록 예고되는 공장은 작업 특성상 내부에 균일한 빛을 받기 위해 북쪽에 창을 높게 설치한 톱날형 지붕 구조를 갖춰 초기 산업유산으로서 제사공장 건축의 특성 이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한국전쟁 당시 조치원여자고등학교 임시교사로 사용되었던 장소로 지역적, 역사적 의미를 지닌 건물로도 보존가치가 크다.
이번에 등록을 예고한 「고성 동해안 감시초소(GP)」, 「대한민국 임시정부 환국기념 23인 필묵」, 「부산 구 동래역사」, 「세종 구 산일제사 공장」은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등록될 예정이다.
한편, 이번에 사적 제550호로 지정된 「만해 한용운 심우장」은 승려이자 독립운동가인 만해 한용운(1879∼1944) 선생이 1933년에 직접 건립하여 거주한 곳이며, 독립운동 관련 활동과 애국지사들과의 교류 등에 대한 흔적이 남아 있다는 면에서 사적으로 문화재적 가치가 크다. 또한, 집의 방향을 총독부 있는 쪽을 피해 동북방향으로 잡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만해 한용운 선생이 사용하던 주 공간으로서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
* 심우(尋牛): 소를 사람에 비유하여 잃어버린 나를 찾자는 의미
등록문화재 제745-1호 「이봉창 의사 선서문」은 이봉창(李奉昌, 1900~1932) 의사가 일왕을 저격하고자 하는 결의를 기록한 국한문 혼용의 선서문으로 이봉창 의사의 대표적인 항일투쟁 유물이다. 이 선서문은 1931년 12월 13일에 김구 선생이 이봉창 의사를 안중근 의사의 아우인 안공근(安恭根) 선생 집으로 데려가서 선서식을 거행하고 작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등록문화재 제745-2호 「이봉창 의사 친필 편지, 봉투 및 의거자금 송금증서」는 이봉창 의사가 김구 선생에게 의거자금을 요청하는 편지와 이에 대한 회신으로 김구 선생이 의거자금을 송금한 증서이다. ‘이봉창 의사 친필 편지, 봉투’는 1931년 12월 24일에 동경에 있는 이봉창 의사가 상해의 김구 선생에게 의거 자금을 요청한 것으로, 의거실행을 “물품이 팔린다”라는 대체 용어로 약속하여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이봉창 의사 의거자금 송금증서’는 1931년 12월 28일에 김구 선생이 상해에서 동경에 있는 이봉창 의사에게 의거자금 100엔을 보낸 송금증서이다.
「이봉창 의사 선서문」과 「이봉창 의사 친필 편지, 봉투 및 의거자금 송금증서」는 의거의 전개과정과 항일독립 의지를 드러내고 있으며, 이봉창 의사의 유물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는 점에서도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사적으로 지정된 「만해 한용운 심우장」과 문화재로 등록된 「이봉창 의사 선서문」, 「이봉창 의사 친필 편지, 봉투 및 의거자금 송금증서」를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협력하여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문화재 등록 예고 개요 |
1. (등록 예고) 고성 동해안 감시초소(GP)
□ 문화재명: 고성 동해안 감시초소(GP)
□ 종 별: 등록문화재
□ 소 재 지: 강원도 고성군 수동면 덕산리 산1번지
□ 건립연대: 1953년
□ 수 량: 감시초소(GP) 일곽
□ 소 유 자: 국방부
□ 등록 사유
ㅇ 한국전쟁 이후, 남측 지역에 설치된 감시초소 중 최초로 설치되었으며, 북측 감시초소와 최단거리에 위치하였던 역사성 및 상징성 등의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또한 남북 분단과 냉전시기의 지속과정과 남북 화합과 평화의 상징성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시설로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2. (등록 예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환국기념 23인 필묵
□ 문화재명: 대한민국 임시정부 환국기념 23인 필묵
□ 종 별: 등록문화재
□ 소 재 지: 서울특별시 동작구
□ 연 대: 1945년
□ 수량(규격): 1축 / 23.0×311.5㎝
□ 소 유 자: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 등록 사유
ㅇ 김구, 이시영 등 대한민국 임시정부 23인이 광복 이후 환국 하루 전인 1945년 11월 4일 저녁에 중국 충칭(重慶)에서 자신들의 감회, 포부, 이념 등을 필적으로 남긴 것이다. 근현대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지니고 있는 인물들이 조국의 현실과 미래에 대해 각자 품고 있던 뜻과 의지를 필적을 통해 표현하고 있어 그들이 근본적으로 품고 있었던 의식을 살펴볼 수 있으며, 나아가 우리 한국사의 특수성과 그 시대상까지 동시에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3. (등록예고) 부산 구 동래역사
□ 문화재명: 부산 구 동래역사
□ 종 별: 등록문화재
□ 소 재 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낙민동 112-3번지
□ 건립연대: 1934년
□ 수 량: 1동
□ 소 유 자: 부산광역시(관리자: 동래구)
□ 등록 사유
ㅇ 1934년 동해남부선에서 최초로 완공된 역사로 일제강점기 병역 수송의 주요 거점이였으며, 오랫동안 역사 광장에서는 새벽장터로서 지역생활의 중심지가 된 곳으로 지역민들의 수많은 애환을 간직하고 있다. 또한, 건립 당시 및 변천과정의 모습을 소상하게 알 수 있는 건축도면이 현존하고 있는 등 역사성과 장소성 측면에서 보존가치가 충분하다
4. (등록예고) 세종 구 산일제사 공장
□ 문화재명: 세종 구 산일제사 공장
□ 종 별: 등록문화재
□ 소 재 지: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남리 60-1
□ 건립연대: 미상
□ 수 량: 1동
□ 소 유 자: 세종특별자치시
□ 등록 사유
ㅇ 최초 산일제사공장의 건물로서 톱날형 지붕 구조는 북쪽에 창을 높게 설치하여 내부에 균일한 빛을 받기위한 것이며, 이는 초기 산업유산으로서 제사공장 건축을 이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한국전쟁 당시 조치원여자고등학교 임시교사로 사용되었던 장소로 지역적, 역사적 의미를 지닌 건물로 보존가치가 크다.
* 제사공장(製絲工場): 누에고치에서 실을 만드는 공장
문화재(사적) 지정개요 |
1. (지정) 만해 한용운 심우장
□ 문화재명: 만해 한용운 심우장
□ 종 별: 사적 제550호
□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222-1외 2필지
□ 건립연대: 1933년
□ 면 적: 1동(지정면적 88.6㎡, 보호구역 386.4㎡)
□ 소 유 자: 성북구청장
□ 지정 사유
ㅇ 승려이자 독립운동가인 만해 한용운(1879∼1944) 선생이 1933년에 건립하여 거주한 곳이며, 독립운동 관련 활동과 애국지사들과의 교류 등에 대한 흔적이 남아 있다는 측면에서 사적으로서의 문화재적 가치가 충분하다.
문화재 등록 개요 |
1. (등록) 이봉창 의사 선서문 등 2건
□ 종별․문화재명: 등록문화재 제745-1호 이봉창 의사 선서문
등록문화재 제745-2호 이봉창 의사 친필 편지, 봉투 및 의거자금 송금증서
등록번호 | 명칭 | 수량․규격․면적 | 건립(제작)년대 | 소유자및소재지 | |
제745-1호 | 이봉창 의사 선서문 | 1점, 20.1×32.3cm | 1931년 (12월13일) | 국립중앙박물관 | |
제745-2호 | 이봉창 의사 친필 편지, 봉투 및 의거자금 송금증서 | 3점, 편지 24.1×16.5cm, 봉투 13.0×7.8cm 송금증서 14.4×21.2cm | 편지· 봉투 1931년(12월24일) / 송금증서 1931년(12월28일) |
□ 등록 사유
ㅇ『이봉창 의사 선서문』은 이봉창(李奉昌, 1900.8.10.~1932.10.10.) 의사가 일왕을 저격하고자 하는 결의를 기록한 국한문 혼용의 선서문으로 이봉창 의사의 대표적인 항일투쟁 유물이다. 동 선서문은 1931년 12월 13일에 김구선생이 이봉창 의사를 안중근 의사의 아우인 안공근(安恭根)선생 집으로 데려가서 선서식을 거행하고 작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ㅇ『이봉창 의사 친필 편지, 봉투 및 의거자금 송금증서』는 이봉창 의사가 김구 선생에게 의거자금을 요청하는 편지와 이에 대한 회신으로 김구 선생이 의거자금을 송금한 증서이다. ‘이봉창 의사 친필 편지, 봉투’는 1931년 12월 24일에 동경에 있는 이봉창 의사가 상해의 김구 선생에게 의거 자금을 요청한 것으로, 의거실행을 “물품이 팔린다.”라는 대체 용어로 약속하여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이봉창 의사 의거자금 송금증서’는 1931년 12월 28일에 김구 선생이 상해에서 동경에 있는 이봉창 의사에게 의거자금 100엔을 보낸 송금증서이다.
ㅇ 「이봉창 의사 선서문」 및 「이봉창 의사 친필 편지, 봉투 및 의거자금 송금증서」는 의거의 전개과정과 항일독립 의지를 드러내고 있으며, 이봉창 의사의 유물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는 점에서도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
<출처 : 문화재청>
'기타 > 각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무장지대 역곡천 건너편서 중어성 추정 축석 확인 (0) | 2019.04.23 |
---|---|
울진 성류굴에서 삼국·통일신라·조선 각석 명문 수십 개 발견 (0) | 2019.04.11 |
경남 고성 거류산에서 고려 전기 추정 마애약사불좌상 발견 (0) | 2019.04.04 |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 억새 자르는 날 (0) | 2019.04.03 |
경주 월성에서 최고(最古)‘의례용 배 모양 목제품’출토 (0) | 2019.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