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 유천리 청자 요지에서 고려 청자가마 확인 - 완전한 구조(연소실-소성실(초벌칸 포함)-배연부-유물퇴적구)의 가마 발굴 - - 2019. 6.17. 현장 설명회 -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의 허가를 받아 부안군(군수 권익현)과 (재)전북문화재연구원(원장 김규정)에서 발굴조사 중인 ‘부안 유천리 요지(사적 제69호) 6구역 가마’에서 2기의 고려청자 가마가 확인되어 2019년 6월 17일 오후 1시에 발굴현장에서 설명회를 개최된다.
* 발굴현장: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 유천리 250-52번지
유천리 요지 6구역에 대한 체계적인 보호와 보존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이번 조사는 2018년 있었던 시굴조사에서 그 존재가 확인됐던 가마와 유물퇴적구의 축조방법과 운영시기, 성격 등을 정밀하게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2019년 2월부터 시작해 이달 말 마무리될 예정이다.
부안 유천리 요지는 고려 시대 최고급 상감청자 등 다양한 자기가 제작된 곳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에 조사된 유천리 6구역은 망여봉에서 뻗어내린 나지막한 구릉지대이며, 이번 조사에서 발견된 2기의 가마는 구릉의 서쪽 경사면에 등고선과 직교한 방향에 약 5m 간격으로 비교적 가깝게 자리하고 있다.
가마는 진흙과 석재를 이용해 만든 토축요(土築窯, 진흙가마)다. 가마 바닥면에는 원통형 갑발(匣鉢)과 도지미가 불규칙하게 놓여 있다. 가마 2기 중 1호는 전체적인 구조가 양호한 상태로, 전체 길이 25m, 연소실(燃燒室, 불을 때는 곳) 길이 1.6m, 소성실(燒成室, 토기를 굽는 곳) 길이 19m다.
* 갑발(匣鉢): 도자기를 구울 때 담는 큰 그릇
* 도지미: 도자기를 구을 때 놓는 받침
가마 맨 끝부분에서는 석재로 만든 배연시설이 확인되었으며, 배연시설과 맞닿아 있는 소성실 끝 칸의 마지막 바닥 면에는 폐기장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유물 퇴적구가 확인되었다. 이곳에는 여러 점의 초벌 청자 조각들이 집중적으로 쌓여 있었는데, 이를 통해 가마온도가 가장 낮은 이곳을 초벌 전용칸으로 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조사된 고려 시대 청자가마에서 초벌 칸을 운용하던 사례는 강진 사당리 43호가 있으나, 초벌 칸과 연결된 유물퇴적구에서 초벌 청자가 다량으로 조사된 점은 가마구조의 발전단계를 확인할 수 있는 괄목할 만한 성과다. 참고로, 이러한 구조와 비교할 수 있는 예로는 조선 시대 15세기 경 분청사기 가마 구조가 있다.
이번 조사에서 확인한 고려청자 가마 구조상 배연시설과 초벌칸, 초벌칸과 연결된 초벌청자 유물퇴적구 등은 학술 가치가 높아 앞으로 사적지 복원‧정비 사업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 문화재청>
'기타 > 각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시대 왕실 관련 유물 2점 국내 환수 (0) | 2019.06.23 |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110여 년 만에 원주 고향으로 (0) | 2019.06.23 |
부여 능안골 고분군에서 백제 귀족층 돌방무덤·봉분 확인 (0) | 2019.06.09 |
안성 청룡사 대웅전 보수 중 기둥 밑에서「옛 곡자」발견 (0) | 2019.06.05 |
「고성 최동북단 감시초소(GP)」등 4건 문화재 등록 (0) | 2019.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