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기타/각종정보

옛 모습 찾은 광화문- 월대와 현판 복원기념 ‘새길맞이’ 행사(10.15. 오후 5시, 광화문 월대 앞 광장)

노촌魯村 2023. 10. 16. 10:49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2013년 10월 15일(일) 오후 5시(본행사는 오후 6시) 경복궁 광화문 앞 광장에서 ‘광화문 월대 및 현판 복원’을 기리기 위한 기념행사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지난 2006년 ‘광화문 제 모습 찾기’를 시작으로 그간 추진된 월대와 현판의 복원이 마무리되었음을 국민들께 알리고, 명실상부 우리나라 대표적 문화유산인 경복궁의 광화문이 완성되었음을 기념하기 위해 ‘광화문 월대 새길맞이’라는 슬로건으로 준비하였으며, 문화재청 누리집을 통해 사전 신청한 국민 500명도 같이 참여한다.

* 월대(月臺): 궁궐의 정전과 같이 중요 건물에 넓게 설치한 대(臺)로 궁궐 정문에 난간석을 두르고 기단을 쌓은 경우는 광화문 월대가 유일함

복원된 월대를 통해 경복궁을 바라보며 진입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이 마련되어 대한민국이 문화강국을 향해 나아가자는 염원을 표현함과 동시에 ‘빛으로 퍼져나간다’는 광화문(光化門)의 의미에서 볼 수 있듯이 복원된 문화유산을 국민들께 되돌려드리는 시민참여형 행사로 연출될 예정이다.

기념식은 식전행사와 본행사, 야간관람으로 구성되며, 기념식과 연계한 행사 등도 함께 진행된다. 2013년 10월 15일 오후 5시에 열리는 식전행사에서는 ▲광화문과 관련된 재미있는 이야기를 소개하는 ‘광화문답’(신희권, 서울시립대학교)이 있을 예정이며, 오후 6시에 시작되는 본행사에서는 광화문 완성이 갖는 다양한 의미를 살릴 수 있도록 ▲‘광화등’ 점등식(월대와 현판 공개), ▲광화문 개문 의식, ▲‘새길맞이단’과 광화문 월대 행진 및 ▲참신한 연출기법으로 완성된 다양한 영상과 공연, 프로젝션 맵핑(미디어쇼)이 진행될 것이다.

특히 이번에 진행되는 프로젝션 맵핑은 ‘연결·소통·창조’를 주제로 한 대형 미디어쇼로서, 약 130미터 가량의 광화문과 담장을 배경으로 축하공연과 함께 상영되어, 국민들께 많은 감동을 안겨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 행사후 참석자들은 월대를 걸어 광화문을 통해 경복궁에 입장하게 되며, 흥례문 광장에서 수문장 도열과 취타대 연주를 관람한 후 한국문화재기능인작품전과 근정전에서의 문무백관 도열 등을 즐길 것이다.

이번 행사와 별도로, 다양한 연계행사도 준비되어 궁중문화축전(10월 13~18일 / 4대궁), 제4회 문화재기능인 전통기법 진흥대회(10월 15일 9시~17시 / 광화문 광장 놀이마당), 제18회 한국문화재기능인작품전(10월 13일~19일 / 경복궁 흥례문 및 근정문 행각)도 진행된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경복궁 복원정비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경복궁의 역사성을 회복하고 세계적인 K-관광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특히 광화문이 온전히 복원됨에 따라 광화문이 갖는 건축적인 가치뿐만 아니라, 역사·사회·경제적 가치 등 국민들께서 우리 전통문화를 풍성히 누리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

향후, 경복궁을 찾는 관람객들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문화재청은 월대로 인한 교통과 인파 혼잡, 안전사고 방지 등을 위해 서울시 등 유관기관과 지속적으로 협조하여 대응할 예정이다. 또한, 월대 복원에 원래의 부재가 다수 사용된 만큼 보존관리를 위해서도 안전요원 배치 등을 통해 지속적 모니터링을 실시할 것이다.

구분 시간 일정 내용
식전
행사
(60‘)
17:00-18:00 ∙ 홍보영상
∙ 광화문답
∙ 입장객 안내
∙ 월대복원 이야기콘서트
(사회자, 신희권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복원
기념식
18:00-18:01 ∙ 인트로 영상  
18:01-18:03 ∙ 사회자 개식 고지 ∙ 사회자 : 이재용
18:03-18:04 ∙ 국민의례 및 내외빈 소개  
18:04-18:09 ∙ 기념사(문화재청장)  
18:09-18:12 ∙ 축사(문화체육부 장관)  
18:12-18:15 ∙ 축사(서울시장)  
18:15-18:21 ∙ 경과보고 영상 ∙ 복원과정 영상(시민, 전문가 인터뷰 등)
18:21-18:26 ∙ 새길맞이 점등식 ∙ 새길맞이단 소개
∙ 새길맞이 점등식 및 관객 라이팅
∙ 월대 및 현판 공개
18:26-18:27 ∙ 빛의 축 영상  
18:27-18:30 ∙ 미디어파사드 및 축하공연 ∙ 송소희와 리틀엔젤스합창단
- 내나라 대한, 우리의 광화
18:30-18:31 ∙ 광화문 개문식 ∙ 수문장 도열
경복궁
관람
18:31-18:34 ∙ 새길맞이단 월대 행진 ∙ 월대 앞 기념촬영
18:34-20:00 ∙ 참석자들 월대 통과
∙ 광화문 및 근정전 영역 관람
∙ (광화문-흥례문)
수문장 도열 및 취타대 연주
∙ (근정전)
문무백관 도열

월대의 개념과 의미

❍ 경복궁 중건을 기록한 『경복궁영건일기』, 과거 고증사진 및 전문가 자문 등을 토대로 ‘재제작 방침’ 최종 확정(’19년)

-『광화문 현판 색상 과학적 분석 연구용역 보고서』(2017, 문화재청)를 통해 국립중앙박물관, 동경대학교, 스미소니언박물관 소장 고사진 등을 과학적으로 분석

* 광화문 현판은 검정 바탕에 금박 글자로 판단된다는 연구결과 도출 등

-『경복궁영건일기』 ‘墨質金字’기록과 근정전 현판 등 사례분석을 통해 광화문 현판이 검은 바탕에 동판도금 추정의 학술 논문 발표(김민규, 2018)

光化門 懸板 書寫官訓將林泰榮 墨質金字 以片銅爲畵 十品金四兩重塗之 銀匠 金景祿 崔泰亨 金友三 等所願納 (『景福宮營建日記』 三, 乙丑年 十月 十一日)
광화문 현판 서사관은 훈련대장 임태영이다. 검은 바탕에 금색 글자다. 동판으로 글자를 만들고 가장 좋은 금 넉 냥을 발랐다. 은장 김영록, 최태형, 김우삼이 원납했다. (『경복궁영건일기』, 을축년(1865, 고종 2) 10월 11일)

현판 복원 내용

❍ 현판 바탕과 글자 색 : ‘묵질금자’(검은 바탕에 금색 글자)

❍ 光化門 글자: 경복궁 중건 당시 훈련대장인 임태영 글씨로 동경대, 스미소니언, 중박 소장 유리건판 사진으로 확인

※ 경복궁 중건 시 궁궐 4대문은 임태영(광화문), 이경하(건춘문), 허계(영추문), 이원직(신무문) 등 모두 將臣(무관)들이 씀

❍ 현판과 글자 크기: 앞의 고사진 속 건축물과 현판, 글자와의 비율을 분석하여 결정. / 현판크기(알판기준) 4,276㎜×1,138㎜

❍ 현판 단청 : 2020년 전통단청 이후 초기 안정화를 거쳐 현재까지 유의미한 변화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판단

* 국립문화재연구원의 색상변형 모니터링 진행

❍ 글자 제작 : 고증자료분석 및 전문가 자문 등을 토대로 추진

- 알판에 양각으로 글자를 각자

- 동판으로 글자를 오린 후 아말감 도금 기법* 적용

- 글자를 동못으로 고정

* 아말감 도급기법: 수은에 금을 녹인 아말감을 금속 표면에 칠한 후 수은을 증발시켜 표면에 도금

광화문 현판 복원 의의

❍ 경복궁 복원은 고종 대 중건을 기준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광화문 현판 역시 같은 시기 사료를 근거로 복원하여 경복궁 전체 복원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음

- 경복궁 중건 당시 사료와 고증사진 등을 근거로 복원 진행

❍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光化門)은 경복(景福), 즉 큰 복이 ‘빛이 되어 백성에게 퍼져 나간다’는 민본사상을 엿볼 수 있으며 조선시대 사상이 현판(광화문의 이름)에 상징적으로 표현됨

* 세종은 1425년(세종 7) 경복궁을 거처로 삼았으며, 이듬해 궁성의 세 문을 건춘문, 영추문, 광화문이라고 명명

주요 추진경과

ㅇ 광화문 현판 재제작 계획 발표(‘10.12월)

ㅇ 현판 재제작 위원회 구성 및 자문회의 실시(‘11.1월~’16.2월/14회)

- (주요 내용) 재제작 현판 목재 수종 선정, 현판규격 및 글자 크기 결정 등

ㅇ 재제작 광화문 현판 틀 및 각자 완료(‘15.11월)

- (현판규격/알판기준) 4,276㎜ × 1,138㎜

ㅇ 현판 색상 검토 자문회의 실시(‘12.2월~’18.1월/5회)

- (주요 내용) 고사진 속 광화문 현판에 대한 과학적 분석 연구 용역 필요성 제기

ㅇ 광화문 현판 색상 과학적 분석 연구 용역 추진(‘17.3월~12월)

- (주요 내용) 스미소니언박물관ㆍ동경대ㆍ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사진 및 실험용 현판 촬영 후 비교ㆍ분석

- (용역결과) 광화문 현판 바탕색은 검은색, 글자색은 금박(금색)

ㅇ 광화문 현판 시범 단청(전통소재 및 현대소재) 모니터링 추진(‘18. 4월~’19. 4월)

ㅇ 『경복궁 영건일기』 추가 고증자료 확보*(‘18. 12월)

* 『경복궁 영건일기』와 경복궁의 여러 상징 연구(김민규, 2018) / 광화문 현판은 검은 바탕에 글자는 동판도금으로 추정

ㅇ 광화문 현판 시범글자 제작 설치 추진(‘19. 4월 ~ 6월)

- (주요내용) 동판 도금 제작 방법 및 시공성 확인 등

ㅇ 광화문 현판 단청소재 선정 및 글자재료 관련 자문회의 개최(‘19.7월)

ㅇ 광화문 현판 전통소재 단청 실시(’20. 8월 ~10월) 및 모니터링

ㅇ 광화문 현판 글자 제작 설계(‘22. 2월 ~ 12월)

ㅇ 광화문 현판 포함 경복궁 현판 정비사업 추진(’23. 5월 ~ 11월 예정)

* 광화문 기존 현판 철거 및 복원 현판 설치(‘23.10.12.)

광화문 월대 복원 추진 경과

ㅇ 월대 등 복원 위한 우회도로 신설 등 교통분석해태상 이전 및 육조거리(의정부터 포함) 복원 등용역 후, 문광부서울시 등 자료 공유 및 협의(’02~)

- 광화문 원위치 복원 시 월대 일부(10m)만 우선 복원 추진(’06~’10)

- 문화재청․서울시 MOU체결(‘18) 및 광장 재구조화(’20~‘22)

ㅇ 월대 복원설계 추진(’21.9.~‘22.12.) 및 발굴조사(’22.9.~‘23.5.)

- 발굴조사를 통하여 월대 규모 및 구조 확인(’23.5.)

* 동서 폭 29.7m, 남북 길이 48.7m(어도 포함)

* 남측면은 어도와 동서양측의 계단 구성 부재 확인

* 월대의 변화를 4단계로 구분, 어도 하부에서 조선 전기 유구 확인

- 월대 고증자료 수집 및 분석, 동구릉 부재 실측조사(난간석 등 40여점)

* 1890년대 이전(1단계)을 기준으로 복원설계 추진

* 발굴조사 결과, 부재강도 및 안정성 고려하여 기존 부재 최대한 재사용 반영

ㅇ 광화문 월대 복원공사 추진(’23.5.~11.)

- 서수상 기증(‘23.8.) 및 복원공사 완료(’23.10.)

* 서수상과 받침석(발굴유구)의 크기 일치, 조선후기 석조양식적 특징 확인

* 기단과 계단석 등 기존부재 사용, 기존 부재의 위치 특정(사전 가조립)

* 암석성분, 복원된 광화문 석재 등을 고려하여 신재 선정, 수가공으로 석재마감

월대의 개념과 의미

ㅇ 의례 등을 행할 수 있도록 특히 높고 넓게 쌓은 건물의 기단

ㅇ 주로 의례와 행사, 외교와 위민․소통의 무대 등으로 활용되었음

- 광화문의 격을 높여주었으며, 궁궐과 백성을 연결해주는 기능\

광화문 밖의 의미

ㅇ 실록 등에서는 『국조오례의』의 각종 의례가 진행되는 중요한 장소 중 하나이며, 행사와 외교 등의 주요 무대로 기록하고 있음

ㅇ 또한, 사미(賜米, 쌀을 나누어줌)와 더불어 백성들의 상소, 상언 등을 행함

· 광화문 밖 장전(帳殿)에 납시어 친히 무과 시험을 보였다(세종실록 97권, 1442년)

장전(帳殿) : 임금이 앉도록 임시로 꾸민 자리를 이르던 말

· 광화문(光化門) 밖에 채붕(綵棚)을 맺고 잡희(雜戲)를 베풀게 하였다(세종실록 127권, 1450년)

채붕(綵棚) : 1. 나무로 단을 만들고 오색 비단 장막을 늘어뜨린 일종의 장식무대

2. 임금의 행차 때나 중국의 칙사를 맞이할 때 색실, 색종이, 헝겊 따위를 문이나 다리, 지붕 등에 내다 걸어 장식을 이르던 말

· 중국 칙서를 맞는 … 광화문 앞에 채붕을 설치하고 왕세자 … (문종실록 12권, 1452년)

· 광화문 밖에 이르러 산대놀이를 구경하고 한참 뒤에 들어왔다(중종실록 90권, 1539년)

· 왕이 광화문에 나아가 무과시험을 보였다(명종실록 24권, 1558년)

· 광화문에서 백성들의 상언을 받도록 명함(승정원일기 영조 20년, 1744년) 등

· 광화문에 나아가 왕세자가 …에게 쌀을 하사하는 행사 거행(고종실록 28권, 1891년)

출처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