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기타/각종정보

「인천 구 조흥상회」, 「이왕직 아악부 정간보, 오선악보」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예고 - 인천 배다리 지역의 도시화 과정 보여주는 건물, 조선시대 궁중음악의 악보 기록 역사 간직한 기록물로서 가치 인정-

노촌魯村 2024. 5. 9. 17:57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인천 구 조흥상회, 이왕직 아악부 정간보,이왕직 아악부 오선악보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 예고하였다.

이번에 등록 예고한 「인천 구 조흥상회」는 인천광역시 동구 금곡동에 위치한 지상 2층의 상업시설로 1955년 건축되었다. 근대기 인천의 역사를 온전히 간직한 배다리 지역을 대표하는 장소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당시 지역주민들의 생활상뿐만 아니라 해방 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의 인천의 도시화 과정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뛰어난 가치를 지녔다.

* 배다리: 과거 매립되기 이전에 바닷물이 작은 수로를 통해 철교 밑까지 드나들어, 수산물을 실은 배가 정박하던 다리가 있었다는 데서 유래

이왕직 아악부의 악보는 조선시대 궁중음악 기관인 장악원을 계승한 이왕직 아악부에서 1920∼1930년대에 연주되던 조선시대 궁중음악 등을 주요 악기별로 편찬한 악보이다.

* 이왕직(李王職):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구 대한제국 황실의 의전 및 황족과 관련된 사무를 담당하던 기구

이왕직 아악부 정간보거문고, 가야금, 피리, 대금, 해금, 아쟁, 당적(소금), 편종, 편경 등 궁중음악을 연주하는 악기별 연주 악곡과 곡· 장단 구성, 악곡별 악기 편성, 선율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제례악을 제외한 궁중음악 연주곡 전반을 포괄하고 있으며, 조선시대와 현대의 악보 기록법(기보법)의 변화 과정을 파악할 수 있어 음악사적 가치가 높다.

* 정간보(井間譜): 조선시대 세종 대 창안한 국악 기보법의 하나. 악보의 모양이 우물 정()이 위아래로 연결된 모양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 동양 최초 유랑악보(음의 길이를 표시하는 악보)라는 찬사를 들음.

「이왕직 아악부 오선악보」는 1930년대 채보되어 현재 전해지는 유일한 이왕직 아악부의 오선악보이자 우리나라 최초의 궁중음악 오선악보로, 궁중음악과 풍류음악(가곡, 가사, 시조 등) 등 당시 음악의 연주법과 시김새(꾸밈음) 등을 각 악기에 따라 세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 채보: 곡조를 듣고 그것을 악보로 만듦

영친왕 내외가 유럽 순방(1927년 5월 ~ 1928년 4월) 중 방문국에서 조선의 음반과 음악을 요청받은 것을 계기로 이왕직 아악부에 오선악보의 제작을 지시하였고, 이에 이왕직 아악부는 아악부원 양성소를 운영하여 아악부원들이 직접 음악을 연구하고 오선악보를 채보하게 하였다. 「이왕직 아악부 오선악보」는 이와 같이 우리나라 전통음악을 대외적으로 소개하기 위해 오선악보로 채보하던 초기의 상황과 과정을 알 수 있는 기록물로서 가치가 높은 자료이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등록 예고한 인천 구 조흥상회, 이왕직 아악부 정간보 이왕직 아악부 오선악보에 대해서는 30일간의 예고기간 동안 수렴된 의견을 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통해 최종 등록할 예정이다. 또한,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형태의 근현대문화유산을 꾸준히 발굴·등록하는 적극행정을 추진하여 그 가치를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 명 칭 : 인천 구 조흥상회

□ 종 별 : 국가등록문화유산

□ 제작연대 : 1955년

□ 수 량 : 1동(지상2층)

□ 규 격 : 건축면적 74.379㎡

□ 소 유 자 : 문화재청

□ 소 재 지 : 인천광역시 동구 금곡동 11-9, -11, -12

□ 등록 예고 사유

「인천 구 조흥상회」는 인천광역시 동구 배다리에 위치한 상업시설로서 과거 배다리 지역의 상권과 지역민의 삶을 표상하였던 곳으로 장소성을 지니고 있으며, 해방 이후 현대기로 넘어가는 1950년대 건축의 시대적 특징도 보여주고 있음.

□ 명 칭 : 이왕직 아악부 정간보

□ 종 별 : 국가등록문화유산

□ 제작연대 : 1930년대(추정)

□ 수 량 : 11책

□ 규 격 : 33.3×29.3(가야금·필률·대금·해금·양금・당적・단소보)

42.0× 29.5(현금・아쟁・경종보), 25.5×18.0(비파보)

□ 소 유 자 : 문화체육관광부

□ 소 재 지 :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64 국립국악원

□ 등록 예고 사유

「이왕직 아악부 정간보」는 1920∼1930년대 이왕직 아악부에서 연주되던 주요 악기들의 파트별 악보로 구전으로 전승되던 조선시대 궁중음악을 악기별로 편찬하였으며, 거문고, 가야금, 피리, 대금, 해금, 아쟁, 당적(소금), 편종, 편경 등 궁중음악에 연주하는 악기별로, 연주 악곡과 곡 구성, 장단 구성, 악곡별 악기편성, 선율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 제례악을 제외한 궁중음악 연주곡 전반을 포괄하고 있으며, 조선시대 기보법과 현대 기보법의 변화 과정을 보여주는 면에서 음악사적 가치가 높음.

□ 명 칭 : 이왕직 아악부 오선악보

□ 종 별 : 국가등록문화유산

□ 제작연대 : 1930년대(추정)

□ 수 량 : 196건 200점

□ 규 격 : 32×23.5

□ 소 유 자 : 문화체육관광부

□ 소 재 지 :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64 국립국악원

□ 등록 예고 사유

「이왕직 아악부 오선악보」1930년대 채보되어 현재 전해지는 유일한 이왕직 아악부의 오선악보로 각 악기에 따라 연주법과 시김새(꾸밈음) 등을 세세하게 살펴볼 수 있음. 이는 전통음악이 대외적으로 소개되기 위한 과정을 보여 주고 있고, 궁중음악과 풍류음악(가곡, 가사, 시조 등)에 이르기까지 당시 음악 문화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면에서 귀중한 자료임.

출처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