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고창 문수사 대웅전(高敞 文殊寺 大雄殿)」과 「의성 고운사 가운루(義城 孤雲寺 駕雲樓)」를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하였다.
「고창 문수사 대웅전」은 전라도 지역 대표 문수도량인 문수사(文殊寺)의 주불전(主佛殿)으로, 보물로 지정된 「고창 문수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을 봉안하고 있는 건물이다.
「의성 고운사 가운루」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의 본사인 고운사(孤雲寺)의 진입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계곡 위를 가로질러 건립된 사찰 누각 중 가장 큰 규모이다.
고창 문수사는 644년(백제 의자왕 4) 자장율사(慈藏律師)가 창건하였다고 전하나, 기록으로 확인할 수 없다. 「문수사 창건기(文殊寺 創建記, 1758년)」에 따르면 임진왜란(壬辰倭亂) 후 1607년(선조 40)에 중창(重創)되었고, 1653년(효종 4) 회적(晦跡) 성오화상(性悟和尙)에 의해 또다시 고쳐지어졌으며, 그 다음해 1654년 제자인 상유(尙裕)가 삼불좌상과 시왕상 등을 조성한 기록으로 볼 때 「문수사 대웅전」 또한 이 시기에 중창(重創)된 것으로 추정된다.
* 중창(重創): 낡은 건물을 헐거나 고쳐서 다시 새롭게 지음.
* 2016년 보물로 지정된 「목조지장보살좌상 및 시왕상」 내 후령통에서 2004년 발견된 「시왕조성발원기」를 통해 1654년(효종 5)에 조성된 기록이 발견돼, 창건기 기록과 대웅전 중창을 뒷받침함.
* 회적(晦跡) 성오화상(性悟和尙):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승군으로 활약하며 1624년(인조 2) 팔도도총섭으로 임명되어 전쟁으로 소실된 전국의 사찰을 중건했던 승려 벽암각성(碧巖覺性, 1575∼1660)의 제자로, 현재 성오화상에 대한 상세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는 것으로 파악됨.
「고창 문수사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 형식으로 공포의 형태와 짜임에서는 단순하면서도 강직한 조선 전기∼중기에 이르는 양식과 전라도의 지역적 특색이 나타난다. 지붕은 팔작지붕 형식을 갖추고 있었으나, 후대에 맞배지붕으로 형태가 변화함에 따라, 현재는 다포계 맞배지붕의 기법과 양식을 충실하게 갖추고 있다. 또한, 대웅전의 단청은 전통무기안료와 아교가 사용된 옛 기법이 남아 있어, 학술적·역사적 가치를 더하고 있다.
* 다포: 공포를 기둥 위와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꾸며 놓은 건축양식
* 공포: 처마의 무게를 받치려고 기둥머리에 짜 맞추어 댄 나무쪽
* 팔작지붕 : 맞배지붕 옆에 삼각형의 합각을 남기고 경사를 지어 기와를 올리는 지붕
* 맞배지붕: 지붕면의 앞뒤로만 경사를 지어 기와를 올리는 지붕으로, 옆에는 판재를 이어 붙여서 비바람을 막음.
한편, 의성 고운사는 의상대사에 의해 신라시대 때 창건된 사찰로 전해지며, 「의성 고운사 가운루」는 「고운사사적비(孤雲寺事蹟碑, 1729년)」, 「고운사사적비(孤雲寺事蹟碑, 1918년)」 등의 문헌사료를 통해 1668년에 건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의성 고운사 가운루」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장방형 평면에 팔작지붕 형식을 갖춘 사찰 누각으로 조선 중·후기의 건축양식이 잘 남아 있다. 특히, 계곡의 양쪽 기슭(양안)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있으며, 3쌍의 긴 기둥이 계곡 바닥에서 누각을 떠받치고 있고, 기둥과 기둥 사이의 간격(주칸)을 넓게 배치한 점 등이 기존의 사찰누각과는 다른 독특한 구조로 자연과의 조화를 잘 이루고 있어 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크다.
국가유산청은 앞으로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적극적으로 협조하여, 이번에 지정한 「고창 문수사 대웅전」과 「의성 고운사 가운루」가 체계적으로 보존·관리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 종 별 : 보물
□ 명 칭 : 고창 문수사 대웅전(高敞 文殊寺 大雄殿)
□ 지정내용
ㅇ 소 재 지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수면 칠성길 135(은사리 48번지)
ㅇ 구조/규격 : 목구조 / 정면3칸, 측면2칸 / 맞배지붕
ㅇ 수 량 : 1동
ㅇ 조성연대 : 조선시대
ㅇ 소유자(관리자) : 대한불교조계종 문수사
ㅇ 지정면적 : 52.8㎡
□ 지정사유
ㅇ 고창 문수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선운사의 말사이다. 644년(백제 의자왕 4) 자장율사(慈藏律師)가 창건하였다고 전하나, 기록으로 확인할 수 없으며, 이후 조선시대“문수사 창건기(文殊寺 創建記, 1758년)”에 따르면 임진왜란(壬辰倭亂) 후 1607년(선조 40)에 중창(重創)되었고, 1653년(효종 4) 회적(晦跡) 성오(性悟)에 의해 3중창을 하고, 그 다음해 1654년 제자인 상유(尙裕)가 대웅전 내 보물로 지정된 “목조석가여래삼존불상”과 문수사 내 시왕상 등을 조성한 기록으로 볼 때 「문수사 대웅전」또한 이 시기에 중창(重創)된 것으로 추정1)되어, 역사적 가치가 크다.
1) 2016년 보물로 지정된 “목조지장보살좌상 및 시왕상” 후령통에서 2004년 발견된「시왕조성발원기」를 통해 1654(효종 5)조성 기록 발견, 창건기 기록과 대웅전 중창을 뒷받침 한다.
ㅇ「고창 문수사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이며, 포작은 내외 3출목 다포형식으로 공포의 형태와 짜임은 단순하면서도 강직한 조선 전기∼중기에 이르는 양식과 전라도의 지역적 특색이 나타나고 있고, 1653년(효종 4) 중창 당시의 모습을 상당부분 유지하고 있어 학술적 가치가 크다.
ㅇ 지붕가구는 4면에 공포를 배열하고, 충량(衝樑)2)과 활주(活柱)3)을 사용한 팔작지붕 형식을 갖추고 있으나, 형태는 맞배지붕으로 후대에 변화가 있었음에도 다포계 맞배지붕의 기법과 양식을 충실하게 하고 갖추고 있어 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높다. 또한, 대웅전의 단청은 전통무기안료와 아교가 사용된 고식(古式) 기법이 남아 있어, 학술적·역사적 가치를 더하고 있다.
2) 팔작지붕의 측면에서 평주와 대량에 걸쳐 대는 보 부재
3) 팔작지붕에서 추녀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추녀 끝단에 설치한 보조기둥
□ 종 별 : 보물
□ 명 칭 : 의성 고운사 가운루(義城 孤雲寺 駕雲樓)
□ 지정내용
ㅇ 소 재 지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길 415(구계리 116)
ㅇ 구조/규격 : 목구조 / 정면5칸, 측면2칸 / 익공계 / 홑처마 / 팔작지붕
ㅇ 수 량 : 1동
ㅇ 조성연대 : 조선시대
ㅇ 소유자(관리자) : 대한불교조계종 고운사
ㅇ 지정면적 : 194.18㎡
□ 지정사유
ㅇ 의성 고운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의 본사로서 의상대사에 의해 신라시대 때 창건된 사찰로 전해지며,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 역사 깊은 사찰이다.
ㅇ 「의성 고운사 가운루」의 건립 시기는 「고운사사적비(孤雲寺事蹟碑, 1729년)」, 「고운사사적비(孤雲寺事蹟碑, 1918년)」 등의 문헌사료를 통해 1668년에 건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후 현재까지 여러 차례 수리를 거쳤지만 큰 훼손이나 변형 없이 본래의 모습과 위치를 유지하고 있어 역사적 가치가 크다.
ㅇ 가운루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장방형 평면에 팔작지붕 형식을 갖춘 사찰 누각으로 파련형 대공, 소매걷이형 창방의 결구형태, 설주를 둔 창호, 익공의 형태 등 다수의 부재에서 조선 중·후기의 건축적 양식이 잘 남아 있으며,
ㅇ 특히, 계곡의 양안을 가로질러 배치한 사찰 누각 중 가장 큰 규모이고, 계곡으로 인한 지형의 고저차를 기둥 높낮이로 해결하는 수법과 넓은 주칸을 해결하는 구조 형식 등은 기존의 사찰누각과는 다른 독특한 구조 형태로 자연과의 조화를 잘 이루고 있어 예술적, 학술적 가치가 크다.
ㅇ 이와 같이 의성 고운사 가운루는 건립연대가 비교적 명확하고, 여러 차례 수리를 거쳤다고 하나, 조선 중・후기에 성행하였던 건축양식이 잘 남아 있으며, 계곡에 가로질러 설치된 독특한 사찰 누각 건물로서 역사적, 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크다.
출처 : 국가유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