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기타/각종정보

통일신라의 탁월한 조형미 간직한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국보 지정 예고- 전통 목조건축의 처마곡선을 사실적으로 재현한 옥개석… 당대 최고 석공 시공 추정

노촌魯村 2025. 1. 1. 02:11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전남 곡성 태안사(泰安寺)위치한 보물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谷城 泰安寺 寂忍禪師塔)을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로 승격 지정 예고하였다.

* 태안사: 대한불교 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인 구례 화엄사의 말사(末寺, 본사에서 갈라져 나온 절)로 신라 경덕왕(景德王, 742~765)신승(神僧)이 대안사(大安寺)라는 사명(寺名)으로 창건, 조선시대 이후 태안사(泰安寺)로 사용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은 통일신라의 동리산문(桐裏山門)을 세운 적인선사(寂忍禪師) 혜철(慧徹, 785~861) 부도(浮圖)이다.

* 동리산문: 신라 헌덕왕(809~826) 이후 당()나라에서 선법(禪法)을 받은 유학승들이 귀국하여 형성한 선종(禪宗)9개 파()인 구산선문(九山禪門) 중 태안사를 중심으로 형성된 문파(門派)

* 혜철: 814년 당()에 유학하여 선법(禪法)을 전해 받고, 동리산 태안사에 머물면서 동리산문(桐裏山門)을 형성하였고, 입적 후 신라 경문왕으로부터 시호(諡號)는 적인(寂忍), 탑호(塔號)는 조륜청정(照輪淸淨)을 받음.

* 부도: 고승(高僧)이 죽은 뒤에 유골을 안치하여 세운 석조물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은 여러 개의 석재를 짜 맞추어 조립한 가구식 기단을 별도로 조성한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 부도의 전형으로 탑 맨 아래에 위치한 하대석에는 각기 다른 형상의 사자상이 양각(陽刻, 돋을새김)되어 있고, 석탑의 몸을 이루는 탑신석 양 옆면에는 목조건축의 기둥과 인방(기둥과 기둥을 연결한 가로부재) 등 목부재를 본떠 새겼으며, 문비(門扉)와 사천왕상(四天王像) 등은 평면적으로 섬세하게 조각하여, 하나의 조형물에서 역동적인 조각기법과 절제된 조각기법을 동시에 사용하였다. 또한 전체적인 비례감과 조형미가 뛰어나며, 특히 목조건축의 지붕 형상을 본떠 조각한 개석은 전통한옥의 처마곡선과 목부재를 사실적으로 재현하여 당대 최고의 석공이 시공했을 것으로 추정되어 예술적, 기술적 가치가 크다.

* 팔각원당형: 부도탑의 기단, 탑신, 옥개석이 팔각형으로 이루어진 형식

* 문비: 부도탑, 석탑의 탑신석에 사리장치를 봉안하고 있다는 상징적인 의미로 새긴 문짝 장식

* 사천왕상: 우주의 사방을 지키는 수호신을 형상화한 불교조각

이외에도, 비문에 시호(적인)와 탑의 건립 시기(861)가 명확히 기록되어 있어 팔각원당형 부도탑의 편년 기준작이 되며, 기단 주변에 남아 있는 4개의 주초석은 신라시대에 건립된 승탑 중 유일하게 예불행위를 위한 탑전(塔殿)시설을 갖추었던 흔적으로 추정되어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

* 탑전: 탑을 외부 자연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예불을 하기 위한 건축물

국가유산청은 이번에 국보로 승격 지정 예고한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체계적으로 보존·관리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지속적으로 협조해나가는 적극행정을 이어갈 것이다.

□ 종 별 : 국보

□ 명 칭 :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谷城 泰安寺 寂忍禪師塔)

□ 지정내용

ㅇ 소 재 지 :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태안로 622-215, 태안사(원달리)

ㅇ 구조/규격 : 석조

ㅇ 수 량 : 1기

ㅇ 조성연대 : 통일신라

ㅇ 소유자(관리자) : 대한불교조계종 태안사

ㅇ 높 이 : 3.1m

ㅇ 지정면적 : 3㎡

□ 지정사유

ㅇ 통일신라 구산선문(九山禪門)중 동리산문(桐裏山門)*을 개산(開山)한 적인선사(寂忍禪師) 혜철(慧徹, 785~861)*의 부도탑으로 신라 경문왕으로부터 시호(諡號)는 적인(寂忍), 탑호(塔號)는 조륜청정(照輪淸淨)을 받았다.

* 신라 헌덕왕(809~826) 이후 당()나라에서 선법(禪法)을 받은 유학승들이 귀국하여 형성한 선종(禪宗)9개 파()중 태안사를 중심으로 형성된 문파(門派)

* 814년 당()에 유학하여 선법(禪法)을 전해 받고, 동리산 태안사에 머물면서, 동리산문(桐裏山門)을 형성

ㅇ「태안사 적인선사탑」은 가구식 기단을 별도로 조성하고, 건립한 전형적인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의 부도탑으로 하대석에는 각기 다른 형상의 사자상이 양각(陽刻)되어 있고, 탑신석 각 면 좌우에는 목조건축의 기둥과 인방 등 목부재를 모각(模刻)하였으며, 문비(門扉)와 사천왕상(四天王像) 등을 평면적으로 섬세하게 조각하여, 하나의 조형물에서 역동적인 조각기법과 절제된 조각기법을 동시에 표현하였고, 전체적인 비례감과 조형미가 뛰어나며, 옥개석은 전통한옥의 처마곡선과 목부재를 사실적으로 재현하여 당대 최고의 석공이 시공했을 것으로 추정되어 예술적, 기술적 가치가 크다.

ㅇ 또한, 「태안사 적인선사탑비」비문에 적인선사와 탑의 건립(861년)시기를 명확하게 기록으로 알 수 있어, 석조미술의 편년 기준작임과 함께 가구식 기단 주변에 4개의 주초석이 현존, 신라시대 건립된 승탑 중에서 유일하게 탑전(塔殿)시설을 갖추고, 개산조(開山祖, 혜철)에 대한 예불행위가 있었다는 신앙적 행위의 구체적 사례로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

출처 : 국가유산청

곡성 태안사

태안사는 통일신라 경덕왕 원년(742)에 이름모를 스님 세 분이 세웠다고 전한다. 고려시대에는 광자대사가 크게 늘려 지었는데 이 때 절의 규모는 총 40여 동에 110칸이었고, 법당에는 높이 1.4m되는 약사여래철불좌상을 모셨던 듯하다. 고려 고종 10년(1223)에는 당시 집권자인 최우가 고쳐 지었으며, 조선시대에는 숙종 10년(1684)에 주지 각현이 창고를 새로 지었다는 기록이 보이고 있다. 특히 조선초에 태종의 둘째 아들 효령대군이 이곳에 머물렀던 인연이 있는 곳이다. 한국전쟁때 많은 피해를 입어서 지금 있는 건물은 대부분이 복원된 것이다. 경내에는 혜철선사의 부도인 적인선사조륜청정탑(보물 제273호), 윤다의 부도인 광자대사탑(보물 제274호), 광자대사비(보물 제275호), 승무를 출 때 사용하던 태안사대바라(보물 제956호), 태안사동종(보물 1349호), 태안사일주문(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83호), 태안사삼층석탑(문화재자료 제170호) 등이 있다. (문화재청 자료 )

능파각
태안사 일주문
동리산 태안사 현판
일주문 뒷편(봉황문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음)
태안사 부도군
광자대사탑
기단부
광자대사탑비
대웅전
대웅전(지장보상 석가모니불 관세음보살)
태안사동종(泰安寺銅鍾 보물  제1349호 )

태안사 대웅전 안에 놓인 이 동종은 조선시대 전기 억불정책으로 불교가 많은 탄압을 받던 시기에 왕실의 도움없이 사찰 불사의 일환으로 조성된 범종이다. 맨 위에는 소리의 울림을 부드럽게 한다는 음통과 종의 고리 역할을 하는 용을 새긴 용뉴가 있다. 그리고 어깨에는 1단의 연꽃무늬가 돌려 있고, 그 밑에 넓은 띠에는 방형 속에 연꽃무늬를, 아래에는 작은 원 속에 범자를 새겨 넣었다. 넓은 몸체에는 네군데에 사각형의 유곽이 있는데 그 주위는 당초문으로 장식을 하고 그 안에 9개의 유두를 연꽃속에 넣었다. 밑부분에도 어깨띠와 비슷한 넓은 띠가 있는데 연꽃무늬와 당초문을 새겨 넣었다. 종 몸체에 새겨진 명문에 의하면, 조선 세조 3년(1457)에 이 종을 처음 주조했으나 파손되어 선조 14년(1581)에 다시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신라에서 고려시대로 이어지는 한국종의 독창적인 조형양식을 계승하고 있는 이 종은 조선전기 동종양식의 과도기적 상황 속에서, 전통양식의 계승과 새로운 양식의 접목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제작과 관련된 명문이 뚜렷하게 양각되어 있으며, 주조기술도 비교적 좋은 편이다(문화재청 자료)

약사전
약사여래
보제루
보제루 현판
보제루의 만세루 현판
삼성각
나반존자
칠성탱회
산신탱화
선원
배알문

배알문 현판(이삼만의 글씨 이삼만: 조선 순조 때의 서예가(1770-1845). 자는 윤원(允遠) 호는 창암(蒼巖) 당대의 명필이던 이광사에게 글씨를 배웠으며 특히 초서에 뛰어났다.

문화재청 자료 사진

 태안사대바라(泰安寺大바라 보물  제956호)

바라란 절에서 종교적으로 사용되거나 춤을 출 때 사용된 타악기이다. 냄비 뚜껑같이 생긴 두 개의 얇고 둥근 놋쇠판으로 만들며, 놋쇠판 중앙의 볼록하게 솟은 부분에 구멍을 뚫고, 끈을 꿰어 그것을 양손에 하나씩 잡고 서로 부딪혀서 소리를 낸다. 이 바라는 지름 92㎝의 큰 작품으로 제작 방법이 우수하며, 국내에서 제일 큰 작품으로 손상이 거의없이 내려왔다. 이 바라에는 효령대군이 세종과 왕비, 왕세자의 복(福)을 빌기 위하여 만들었다는 글이 남아있다. 크기로 보아 사람이 들고 사용하지 못하고 매달아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문화재청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