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경주/경주인근자료

경주 원성왕릉 석상 및 석주일괄 (慶州 元聖王陵 石像 및 石柱一括)

노촌魯村 2006. 2. 21. 16:34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경주 원성왕릉 석상 및 석주일괄 (慶州 元聖王陵 石像 및 石柱一括.보물  제1427호.경북 경주시 외동읍 괘릉리 산17, 611-4)

사적 제26호 경주 원성왕릉을 중심으로 좌·우 입구에 한 쌍씩 석조상들이 배치 되어 있으며 수량은 문·무인 4점, 사자상 4점, 석주 2점으로 총 10점이다.
무인상은 서역인 또는 서역풍을 나타내고 있어서 동서문화의 교류적 측면에서 크게 중시되고 있는 자료이며, 통일신라시대 절정기의 사실적인 조각인 성덕대왕 능 석인상을 계승하여 매우 사실적으로 조각된 상이다.
또한 이들 문·무인상들은 흥덕대왕 능의 석상들보다 앞선 생동감을 갖고 있고 역동적인 사실성을 나타낸 대표적인 조각품으로 신라 조각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아울러 8세기의 이상적 사실 조각과 함께 당대의 찬란한 신라 문화의 진수를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출처 : 문화재청)


경주 원성왕릉 (慶州 元聖王陵.사적  제26호.경북 경주시 외동읍 괘능리 산17번지)

원성왕릉은 낮은 구릉의 남쪽 소나무 숲에 있는 것으로 신라 제38대 원성왕(재위 785∼798)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원성왕의 이름은 경신이며 내물왕의 12대 후손으로 독서삼품과를 새로 설치하고 벽골제를 늘려쌓는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 왕릉이 만들어지기 전에 원래는 작은 연못이 있었는데, 연못의 모습을 변경하지 않고 왕의 시체를 수면 위에 걸어 장례하였다는 속설에 따라 괘릉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이 능은 원형 봉토분으로 지름 약 23m, 높이 약 6m이다.
흙으로 덮은 둥근 모양의 무덤 아래에는 무덤의 보호를 위한 둘레석이 있는데, 이 돌에 12지신상이 조각되어 있다. 봉분 바로 앞에는 4각 석상이 놓였고 그 앞으로 약 80m 떨어진 지점부터 양 옆으로 돌사자 한쌍·문인석 한쌍·무인석 한쌍과 무덤을 표시해주는 화표석(華表石) 한쌍이 마주보고 서 있다. 이 석조물들의 조각수법은 매우 당당하고 치밀하여 신라 조각품 중 가장 우수한 것으로 꼽히고 있는데, 특히 힘이 넘치는 모습의 무인석은 서역인의 얼굴을 하고 있어 페르시아인이라는 주장도 있다.
원성왕릉의 무덤제도는 당나라의 영향을 받은 것이지만 둘레돌에 배치된 12지신상과 같은 세부적인 수법은 신라의 독창적인문화재청) 것이다. 또한 각종 석물에서 보여지는 뛰어난 조각수법은 신라인의 예술적 경지를 잘 나타내고 있다.(출처:문화재청)









 



경주 패릉

사적 제26호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괘릉리

 신라 원성왕(725~798)의 능으로 추정되는 이 왕릉은 본래 이곳에 있던 작은 연못에 왕의 유해를 수면상에 걸어 안장하였다고 하는 속설에 따라 패릉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봉분의 밑둘레에는 12지신상을 새긴 호석을 둘렀고, 그 주위로 수십 개의 돌기둥을 세워 난간을 돌렸으며, 봉분 앞에 안산을 새긴 석상을 놓았다. 봉분에서 훨씬 떨어진 남쪽에는 돌사자 2쌍과 문인석․무인석 각 1쌍이 좌우대칭으로 배치되었고, 그 앞에 화표석 2개가 좌우로 서 있다. 통일신라 시대의 완비된 능묘 제도의 대표적인 이 괘릉은 서역 사람의 얼굴 모습을 조각한 무인석에서도 볼 수 있듯이 당나라와의 활발한 문물교류를 통하여 이루어진 것이지만, 호석에 배치한 활달한 12지신상은 신라인의 창안이며 각종 석조물에서 볼 수 있는 힘찬 조각 수법은 당시 신라인의 문화적 독창성과 우수한 예술적 감각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문화재안내문에서)

 

 

 

 

 

 

 

 

 

 

 

 

 

 

 

 

 

 

 

 

 

 

 

 

 괘릉 옛 사진

신라. 천년을 이어온 고도 경주(경주의 고분을 찾아서) :

 http://visit.ocp.go.kr/visit/cyber_new/serv06.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