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경주/경주인근자료

임해전지(안압지) 관련 유물

노촌魯村 2011. 1. 6. 09:47

 

 임해전지(안압지) 항공사진(경주시 자료)

  임해전지(안압지) 항공사진(경주시 자료)

경주임해전지(慶州臨海殿址.사적  제18호.경북 경주시  인왕동 26)

안압지 서쪽에 위치한 신라 왕궁의 별궁터이다. 다른 부속건물들과 함께 왕자가 거처하는 동궁으로 사용되면서, 나라의 경사가 있을 때나 귀한 손님을 맞을 때 이곳에서 연회를 베풀었다고 한다. 신라 경순왕이 견훤의 침입을 받은 뒤, 931년에 왕건을 초청하여 위급한 상황을 호소하며 잔치를 베풀었던 곳이기도 하다. 신라는 삼국을 통일한 후 문무왕 14년(674)에 큰 연못을 파고 못 가운데에 3개의 섬과 못의 북·동쪽으로 12봉우리의 산을 만들었으며, 여기에 아름다운 꽃과 나무를 심고 진귀한 새와 짐승을 길렀다고 전해진다.『삼국사기』에는 임해전에 대한 기록만 나오고 안압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는데, 조선시대 『동국여지승람』에서 “안압지의 서에는 임해전이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현재의 자리를 안압지로 추정하고 있다. 일제시대에 철도가 지나가는 등 많은 훼손을 입었던 임해전 터의 못 주변에는 회랑지를 비롯해서 크고 작은 건물터 26곳이 확인되었다. 그 중 1980년에 임해전으로 추정되는 곳을 포함하여, 신라 건물터로 보이는 3곳과 안압지를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곳에서는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었는데, 그 중 보상화무늬가 새겨진 벽돌에는 ‘조로 2년(調露 二年, 680)’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어 임해전이 문무왕 때 만들어진 것임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대접이나 접시도 많이 나왔는데, 이것은 신라무덤에서 출토되는 것과는 달리 실제 생활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임해전은 별궁에 속해 있던 건물이지만 그 비중이 매우 컸던 것으로 보이며, 안압지는 신라 원지(苑池)를 대표하는 유적이다.(문화청 자료)

 임해전지(안압지) 항공사진(경주시 자료) 

 

 

 

임해전지에서 발굴된 배

 안압지출토금동판불상일괄(雁鴨池出土金銅板佛像一括.보물  제1475호.경북 경주시  인왕동 76)

안압지 출토의 삼존불상 등 판불상 10점은 조각수법이 우수하고 상들의 표현이 사실적이며 입체감이 두드러진다. 양식적으로는 7세기 말 통일신라와 중국, 일본을 포함한 국제적인 조각양식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특히, 도상이나 양식면에서 일본 법륭사 헌납보물에 있는 판불들이나 법륭사 금당 서벽 아미타정토의 본존불상과도 비교된다. 둥글고 통통한 얼굴과 자연스러운 옷주름 처리에 보이는 조각의 사실적인 표현은 중국 당(唐)시대 전성기 불상양식을 반영하면서도 7세기 후반 통일신라 불교조각의 뛰어난 표현력을 잘 대변해준다. 이 10점의 상들은 하나의 삼존불상과 4보살상이 한 세트로 두 종류의 소형목제 불감과 같은 구조물에 부착되어 예배된 것으로 추정된다. 주조기법 및 기량이 뛰어난 10점의 안압지 출토 판불상들은 7세기 말 통일신라 초기에 새로이 유입되는 국제적인 조각양식을 반영하는 중요한 예들로서 문화재적 가치가 높으며, 당시 한 · 중 · 일 불교조각의 양식비교 및 전파과정과 영향관계를 파악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이다(문화재청 자료)

  안압지출토금동판불상일괄(雁鴨池出土金銅板佛像一括.보물  제1475호.경북 경주시  인왕동 76) 

 안압지출토금동판불상일괄(雁鴨池出土金銅板佛像一括.보물  제1475호.경북 경주시  인왕동 76) 

 안압지출토금동판불상일괄(雁鴨池出土金銅板佛像一括.보물  제1475호.경북 경주시  인왕동 76)

 

 

 

 

 

 

 

 

 

 

 

 

 

 

 

 

 

 

 

 

 

 

 

 

 

 

 

 

 

 

 

 

 

 

‘혼자 노래 부르고 혼자 마시기(自唱自飮)’  ‘술 석 잔 한 번에 마시기(三盞一去)’  ‘소리없이 춤추기(禁聲作舞)’, ‘술잔 비우고 크게 웃기(飮盡大笑)’, ‘여러 사람 코 때리기(衆人打鼻)’, ‘달려들어도 가만있기(有犯孔過)’, ‘아무에게나 노래 청하기(任意請歌)’, ‘술 두 잔이면 즉각 마시기(兩盞則放)’, ‘시 한 수 읊기(空詠詩過)’, ‘추물을 버리지 않기(醜物莫放)’,‘간질여도 가만있기(弄面孔過)’, ‘팔뚝을 구부린 채 다 마시기(曲臂則盡)’,‘월경 한 곡조 부르기(月鏡一曲)’

 

 

 

 

 

 

 

 

 

 

 

 

안압지 옛 사진(일정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