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서울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堤川 月光寺址 圓朗禪師塔碑)

노촌魯村 2012. 7. 1. 07:35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堤川 月光寺址 圓朗禪師塔碑.보물 제360호.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충청북도 제천군 한수면 동창리 월광사터에 전해오던 탑비로, 1922년 경복궁으로 옮겨 왔으며,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 경내에 있다. 통일신라 후기의 승려인 원랑선사(?∼866)의 행적을 기록한 탑비이다. 원랑선사는 문성왕 18년(856) 당나라에 유학하여 11년간 명산을 두루 돌아다니다 귀국한 뒤 월광사에 머물렀다. 68세로 입적하자 헌강왕이 ‘대보광선(大寶光禪)’이라는 탑명을 내려, 김영에게 비에 새길 글을 짓게 하였다. 글씨는 구양순체의 해서체로 순몽이 쓴 것이다. 비는 거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얹은 모습이다. 거북받침은 네 발이 몹시 작고 짧은 목과 머리를 꼿꼿이 세우고 있는데, 이는 통일신라 후기에 나타나는 형식화된 조형이다. 머릿돌에 새긴 조각은 매우 사실적이다. 전체적으로 탑비의 머리·몸·받침 각 부분의 비례감이 훌륭한 비로서, 단아하면서도 안정된 느낌을 준다. 탑비는 원랑선사가 돌아가신 후 진성여왕 4년(890)에 세워졌다. (문화재청 자료)

 

 

 

 

 

 

 

 

 

 


사진출처 :제천시      

사진출처 :제천시      

월광사지(충청북도 기념물 제154호. 충북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산9-3번지 등 1필지)

월광사는 성주산문과 밀접한 관계에 있던 낭혜화상의 제자였던 원랑선사(816~883)가 머무르면서 이 지역 선종의 보급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던 곳으로 보물 제360호인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와 도지정 유형문화재 제231호인 제천 송계리 대불정주범자비와 관련된 역사문화 환경 유존지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