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창녕 관룡사 대웅전 관음보살벽화’,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관음보살·달마대사벽화’, ‘서울 보타사 금동보살좌상’, ‘서울 봉은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 ‘서울 청룡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서울 화계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등 7건의 문화재를 보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창녕 관룡사 대웅전 관음보살벽화(昌寧 觀龍寺 大雄殿 觀音菩薩壁畵)’
보타락가산(補陀落迦山)에서 설법하는 관음보살(觀音菩薩)에게 선재동자(善財童子)가 법을 청하는 장면을 그린 작품이다. 벽면 전체에 걸쳐 크게 그린 유희좌(遊戱座)의 관음보살은 전반적으로 조선 후기 18세기 불화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한편, 관음보살의 주처(主處) 보타락가산을 그리면서 특징적인 물결 표현을 생략하는 등 다른 사찰 후불벽 관음보살도에서는 볼 수 없는 표현형식으로 의미가 크다.
* 유희좌(遊戱座): 불보살의 자세 중 한쪽 다리는 아래로 내리고 다른 한쪽 다리는 편안히 가부좌로 앉은 모양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관음보살·달마대사벽화(淸道 雲門寺 大雄寶殿 觀音菩薩·達摩大師壁畵)’
거대한 흙벽 화면에 높고 험준한 바위산을 배경으로 온화하고 화려한 관음보살과 호방하고 대담한 달마대사를 대비시켜 그린 작품이다. 한 화면에 관음과 달마를 나란히 표현한 벽화의 유일한 사례이자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반경의 불화양식을 보여주는 자료로서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된다.
‘서울 보타사 금동보살좌상(서울 普陀寺 金銅菩薩坐像)’
당시 보기 드물게 큰 규모의 금동으로 제작된 상이다. 여성적 면모가 느껴지는 얼굴 표현과 착의(着衣) 형식은 국보 제221호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등 조선 초기 보살상에서 볼 수 있는 양식적 특징으로, 조선 초 왕실이나 지배층이 발원한 것으로 추정되는 요소이다. 천의(天衣)를 어깨에 숄처럼 걸치고 가슴에서 띠 형태로 비스듬히 가로지르다가 한 자락을 수직으로 늘어뜨린 모습은 섬세하면서도 우아한 자태를 잘 보여준다.
* 천의(天衣): 보살이나 비천 등이 입는 옷
‘서울 봉은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서울 奉恩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
조선 후기 1651년 조각승 승일(勝一)이 우두머리 조각승으로 제작한 상이다. 본존 석가여래상은 1765년의 개금발원문(改金發願文)에 따르면 1689년 무렵 화재로 잃어 새로 조성하여 좌우협시상에 비해 30cm 정도 크고 본래 상들과는 양식적인 면에서도 차이가 난다. 조각적으로 우수하고 발원문과 개금문을 통해서 삼불(三佛)의 봉안과 개금에 참여했던 시주자들, 조각을 담당했던 조각승들을 알 수 있으므로 조선 후기 17세기 중후반 불교조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 개금발원문(改金發願文): 불보살상 표면 금칠을 고쳐 하면서 시주자 등 관련 내역을 적은 글
‘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서울 玉泉庵 磨崖菩薩坐像)’
5미터가 넘는 대형의 마애상으로 상 전면이 흰색 호분(胡粉)이 칠해져 있어 일반적으로 ‘백의관음(白衣觀音)’으로 불리기도 한다. 사실적인 보살상의 얼굴 표현, 유려한 설법인(說法印)의 손 모양과 어깨에 드리워진 천의(天衣)의 표현 등에서 뛰어난 조각적 완성도를 보여준다. 고려 후기 조각의 특징을 잘 보여주면서 보존상태도 양호하여 고려시대 불교조각 연구에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 설법인(說法印): 여래나 보살 등이 설법할 때 취하는 손 모양
* 호분(胡粉): 조개가루로 만들어진 흰색 가루
‘서울 청룡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서울 靑龍寺 石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
지장보살삼존상을 중심으로 시왕상, 귀왕(鬼王), 판관(判官), 사자(使者), 동자, 인왕(仁王) 등이 잘 남아 조선 후기 명부전 조각의 구성을 그대로 보여준다. 승일(勝一)이 우두머리 조각승으로 제작한 상들로 큰 규모의 지장보살상은 네모진 얼굴에 특징적 입 모양을 하고 있다. 또 각 시왕의 관모, 복식, 옷주름, 지물(持物) 등에서 세부표현이 충실하게 이루어져 승일 조각의 특성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다. 불사에 동참한 시주자들, 조각을 담당했던 조각승들을 밝힌 발원문이 전하고 있어서 조선 후기 불교조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서울 화계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서울 華溪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
조각승 영철(靈哲) 등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지장삼존상과 함께 시왕, 판관, 사자, 인왕 등 총 25구로 이루어져 있다. 당당한 신체와 율동적인 옷주름 묘사 등에서 수연(守衍), 영철로 이어지는 수연파의 작품 특징을 잘 보여준다. 비록 일부 동자상을 잃었지만 명부전 내부의 주요 존상들이 대부분 남아있어 조선 후기 명부전의 구성을 잘 보여주는 예이자 뛰어난 작품성과 함께 조성연대, 조각가, 봉안사찰 등에 관한 명확한 기록이 남아 있는 작품이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한 유물 7건에 대해, 30일간의 지정 예고 기간 중 수렴된 각계 의견을 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출처: 문화재청
‘창녕 관룡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 등 7건 보물 지정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창녕 관룡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 등 7건을 국가지정문화재인 보물로 지정하였다.
보물 제1816호 ‘창녕 관룡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昌寧 觀龍寺 大雄殿 觀音菩薩 壁畵)’는 보타락가산(補陀落迦山)에서 설법하는 유희좌(遊戱座)의 관음보살(觀音菩薩)을 벽면 전체에 걸쳐 그렸다. 조선 후기 불화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한편, 관음보살이 머무는 보타락가산을 그리면서 특징적인 물가 표현을 생략하는 등 색다른 표현 형식이 나타나 의미가 크다.
* 유희좌(遊戱座): 불보살의 자세중 한쪽 다리는 아래로 내리고 다른 한쪽 다리는 편안히 가부좌로 앉은 모양
보물 제1817호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관음보살?달마대사벽화(淸道 雲門寺 大雄寶殿 觀音菩薩?達摩大師 壁畵)’는 한 화면에 관음과 달마를 나란히 표현한 유일한 사례이자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반경의 불화양식을 보여주는 자료로서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된다.
보물 제1818호 ‘서울 보타사 금동보살좌상(서울 普陀寺 金銅菩薩坐像)’은 조선 초기로서는 보기 드물게 큰 규모의 금동으로 제작된 상이다. 여성적 면모가 느껴지는 얼굴 표현과 옷주름 형식은 조선 초기 보살상에서 볼 수 있는 양식적 특징으로, 조선 초기에 왕실이나 지배층이 발원한 것으로 추정되는 요소이다.
보물 제1819호 ‘서울 봉은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서울 奉恩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은 조선 후기 1651년 조각승 승일(勝一)이 중심이 되어 제작한 상이다. 1765년의 개금발원문(改金發願文)을 통해 1689년 무렵 화재가 발생하여 본존 석가여래상을 새로 조성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삼불좌상 모두 조각적으로 우수하고, 발원문을 갖추고 있어 17세기 중후반의 불교조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 개금발원문(改金發願文): 불보살상 표면 금칠을 고쳐 하면서 시주자 등 관련 내역을 적은 글
보물 제1820호 ‘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서울 玉泉庵 磨崖菩薩坐像)’은 5미터가 넘는 대형 마애상으로 엄숙하고도 단정한 보살상의 얼굴 표현, 유려한 설법인(說法印)의 손 모양 등 뛰어난 조각적 완성도를 보여준다.
* 설법인(說法印): 여래나 보살 등이 설법할 때 취하는 손 모양.
보물 제1821호 ‘서울 청룡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서울 靑龍寺 石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은 지장보살삼존상을 중심으로 시왕상, 귀왕(鬼王), 판관(判官) 등이 잘 남아 있어 조선 후기 명부전 조각의 구성형식을 잘 보여준다. 또 승일(勝一)이 우두머리 조각승으로 제작한 상으로 작가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보물 제1822호 ‘서울 화계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서울 華溪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은 조각승 영철(靈哲) 등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지장보살삼존상과 함께 시왕, 판관, 사자(使者), 인왕(仁王) 등 총 25구이다. 당당한 신체와 율동적인 옷주름 묘사 등에서 수연(守衍), 영철로 이어지는 수연파의 작품 특징을 잘 볼 수 있다.
이번에 지정된 ‘창녕 관룡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 등 벽화 2건은 문화재청이 시행한 사찰건축물벽화 조사사업을 거쳐 국가문화재로 지정되었고, ‘서울 봉은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등 5건은 불교문화재 일제조사사업을 통해 국가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가 체계적으로 보존 관리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 소유자 등과 적극 협조해 나갈 계획이다.
출처: 문화재청(보도자료 2014-03-12)
'기타 > 각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마라집(鳩摩羅什):동으로 간 푸른 눈의 승려 (0) | 2014.01.15 |
---|---|
세계 3대 불교 유적지 앙코르와트, 보로부두르, 바간 (0) | 2014.01.14 |
천년신비, 고려불화의 세계 (0) | 2014.01.06 |
‘난중일기’와 ‘새마을운동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확정 (0) | 2013.06.19 |
지도 위에서 또 다른 문화유산 나들이 (0) | 2013.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