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기타/각종정보

강릉 굴산사지서 비석 귀부(碑石 龜趺) 발견- 11.27. 오후 1시 30분 / 강릉 굴산사지 제3차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개최 -

노촌魯村 2014. 11. 27. 00:30

강릉 굴산사지서 비석 귀부(碑石 龜趺) 발견

- 11.27. 오후 1시 30분 / 강릉 굴산사지 제3차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개최 -

 

문화재청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소장 김덕문)는 강릉 굴산사지 제3차 발굴사에서 고려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비석의 귀부(龜趺)를 발견하여, 이에 대한 현장설명회를 오는 2014년 11월27일 오후 1시 30분에 발굴조사 현장에서 개최한다.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는 지난 2010년부터 강릉 굴산사지의 역사적 가치 구명과 정비·복원을 위한 목적으로 발굴조사를 진행해 오고 있다.

 

강릉 굴산사(崛山寺)는 신라 하대 구산선문(九山禪門) 중 굴산문(崛山門)의 본산으로, 지난 2005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된 강릉단오제의 주신(主神, 대관령국사성황)인 범일국사(梵日國師, 810~889년)가 신라 문성왕 13년(851)에 창건한 영동 지역 선종(禪宗)의 중심 사찰이다.

※ 구산선문: 선종(禪宗)이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후 신라 말 고려 초에 형성된 9개의 문파

 

이번에 발견된 귀부는 머리 부분이 결실된 상태로, 너비 255㎝, 길이 214㎝, 몸통 높이 93㎝의 크기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이 귀부는 3중으로 된 육각형의 귀갑(龜甲, 거북의 등딱지)과 치켜 올라간 꼬리, 뒷발가락이 사실적이고 생동감 있게 조각되어 있다. 몸통의 중앙에는 비신(碑身, 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을 세웠던 비좌(碑座)가 마련되어 있고, 그 둘레는 구름 문양으로 장식되어 있다.

※ 비좌: 비신을 세우는 대좌(臺座) 또는 비신을 꽂아 세우기 위하여 홈을 판 자리

 

아울러 귀부 주변에서는 글자가 새겨진 비신 조각도 발견되었다. 강릉 굴산지에서는 1978년도에 ‘명주도독(溟州都督)’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비신 조각이 지표조사 시 수습된 바 있는데, 이번에 발견된 비신 조각과는 암질과 글자체에 차이가 있어 서로 다른 개체인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지난 제2차 발굴조사에서 현존하는 승탑 외에 별도의 승탑 부재가 발견된 데 이어, 이번 제3차 발굴조사에서는 승탑 동편에 한 단 낮게 조성된 평탄면에서 승탑지로 추정되는 원형 유구가 확인되었다. 이로 보아 굴산사지에는 각각 2기 이상의 승탑과 이와 관련된 비석이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강릉 굴산사지에서는 그동안의 발굴조사를 통해 다수의 건물지, 담장지, 보도시설 등이 확인된 바 있는데, 이번 발굴조사로 승탑 주변 구릉부와 사역(寺域, 절이 차지하고 있는 구역 안) 북편 구역의 양상을 파악할 수 있게 되어 굴산사지 사역의 변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는 강릉 굴산사지의 제3차 발굴조사 성과를 굴산사지 발굴조사 현장에서 관련 전문가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강릉 굴산사지 발굴조사 개요(회차별)

 

구분

조 사 기 간

조 사 내 용

1차

시굴

2010.7.13.

~ 2010.10.31.

사적지정구역 내 유구분포범위 확인

2차

시굴

2011.5.25.

~ 2011.12.10.

사적지정구역 내 유구분포범위 확인

1차

발굴

2012.8.23.

~ 2012.12.18.

건물지 9기, 디딜방아, 담장지 등 확인

2차

발굴

2013.7.19.

~ 2013.11.8.

물지 9기, 담장지, 보도시설, 승탑부재 등 확인

3차

발굴

2014.8.25.

~ 2014.11.현재

건물지 5기, 추정 승탑지 2기, 집수정, 비석 귀부 등 확인

 

 

귀부(龜趺) 측면

귀부(龜趺) 후면

 

<글.사진 출처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