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70주년
⇒ - 국보 제70호는 무엇일까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훈민정음(訓民正音.국보 제70호.서울 성북구 성북로 102-11, 간송미술관 (성북동,간송미술관)
이 책은 새로 창제된 훈민정음을 왕의 명령으로 정인지 등 집현전 학사들이 중심이 되어 세종 28년(1446)에 만든 한문해설서이다. 책이름을 글자이름인 훈민정음과 똑같이 ‘훈민정음’이라고도 하고, 해례가 붙어 있어서 ‘훈민정음 해례본’또는 ‘훈민정음 원본’이라고도 한다. 전권 33장 1책의 목판본이다.
구성을 보면 총 33장 3부로 나누어, 제1부는 훈민정음의 본문을 4장 7면으로 하여 면마다 7행 11자씩, 제2부는 훈민정음해례를 26장 51면 3행으로 하여 면마다 8행 13자씩, 제3부는 정인지의 서문을 3장 6면에 1자 내려싣고, 그 끝에 ‘정통 11년’(1446)이라 명시하고 있다.
『세종실록』에 의하면 훈민정음은 세종 25년(1443)에 왕이 직접 만들었으며, 세종 28년(1446)에 반포한 것으로 되어있는데, 이 책에서 서문과 함께 정인지가 근작(謹作)하였다는 해례를 비로소 알게 되었다. 또한 한글의 제작원리도 확연하게 드러났다(글.사진 출처 : 문화재청)
광복 70주년
⇒ - 보물 제70호는 무엇일까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경주 서악동 귀부(慶州 西岳洞 龜趺.보물 제70호. 경북 경주시 서악동 1006-1번지)
서악리 태종무열왕릉의 남쪽 길 건너편에 남아있는 것으로,『삼국사기』의 기록이나 서악서원의 영귀루 북쪽 받침에서 찾아낸 비석조각에 새겨진 글로 미루어, 김인문(629∼694)의 공적을 새겨놓았던 비의 받침돌인 것으로 짐작된다.
네 발로 힘있게 디디고 있는 받침돌의 거북은 목을 앞으로 길게 빼고 있다.앞뒷발의 발가락이 모두 5개인 것이 다를 뿐 기교면에서 태종무열왕비의 귀부와 쌍벽을 이루고 있으며, 목에 새겨진 다섯가닥의 목주름은 사실적이면서도 자연스럽다. 거북의 등에 새긴 큼직한 육각무늬 역시 조각솜씨가 뛰어나며, 등 주위에 새긴 구름무늬와 그 바깥쪽에 구슬을 꿰놓은 듯한 무늬를 돌린 것은 독특한 모습이다. 등중앙에는 비를 꽂아 두었던 네모난 홈이 마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거북받침돌의 양식적인 변천을 볼 때, 9세기 부터는 거북의 머리가 용의 머리로 바뀌게 되는데, 서악리 귀부는 거북머리의 원형을 잘 지니고 있어, 한국 석비 받침돌의 최초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만들어진 연대는 삼국통일 후인 7세기 중반으로 추정하고 있다(글.사진 출처 : 문화재청)
'기타 > 각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국의 품에 안긴 덕혜옹주 유품, 그 특별한 만남- 국립고궁박물관,「돌아온 덕혜옹주 유품」특별 공개 / 8.25.~9.6. - (0) | 2015.09.02 |
---|---|
한국의 수중문화재 ‘고려청자’, 일본에 선보이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광복 70년 기념 국제교류전 개최 / 9.5.~11.23. - (0) | 2015.09.01 |
「강경성당」 등록문화재 등록 (0) | 2015.08.31 |
조선왕릉 연지, 그 비밀을 찾아서숭릉 연지(崇陵 蓮池)- 발굴성과 학술대회 개최 / 8.28. 국립고궁박물관- (0) | 2015.08.31 |
일제강점기 훼손된 문화유산, 고증을 통해 다시 태어난다! (0) | 2015.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