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강원도

삼척 흥전리사지에서 확인된 통일신라 시대 금당지 일반 공개

노촌魯村 2015. 10. 19. 18:39


삼척 흥전리사지에서 확인된

통일신라 시대 금당지 일반 공개

- 2015.10.20. 오후 2시 삼척 흥전리사지 발굴현장 -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의 허가를 받아 불교문화재연구소(소장 정안 스님)가 발굴조사 중인 삼척 흥전리사지의 발굴현장이 오는 2015년 10월 20일 오후 2시 일반에 공개된다.

* 발굴현장: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흥전리 산 92-1

   

삼척 흥전리사지는 문화재청과 불교문화재연구소가 2013년 시작한 ‘중요사지 발굴조사사업’의 하나로 지난해부터 발굴조사 중에 있다. 2014년 1차 조사에서는 당지(金堂址)와 탑지(塔址)를 비롯한 여러 동의 건물지가 발견되었다. 또한, 신라 시대에 교계 최고 승려를 지칭하는 ‘국통(國統)’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비석편과 무늬가 세밀히 음각된 청동제 장식, 도깨비 얼굴이 장식된 기와인 귀면와(鬼面瓦) 등이 출토되어, 통일신라 시대의 국통과 관련된 위세 높은 사찰임을인하였다.

  

올해는 금당지에 대한 정밀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통일신라 시대 금당지는 좌·우에 익사(翼舍, 주건물 좌우에 잇대어 지은 부속 건물)가 붙어있는 형태로 확인되었다. 기단은 잘 다듬은 석재를 사용하여 목가구를 짜듯이 구성한 가구식(架構式) 기단으로, 건물을 받치기 위해 기단 내부를 깬 돌로 채운 온통초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기법은 경주 분황사지, 합천 영암사지, 순천 금둔사지 신라~통일신라 시대 사찰에서 확인되는 독특한 방식이다.

 

주요 유물로는 금동 장식판과 금동 달개장식, 높은 위계의 건물에서 쓰이는 귀면와, 곱새기와(지붕 마루 끝의 장식기와), 연화문·당초문이 새겨진 다량의 암·수막새 등이 출토되었다. 그중 금동 장식판은 장식판 중앙에 불꽃 모양의 염문(火焰文)을 투각하였고, 테두리에는 꽃무늬와 연주문(聯珠文, 크고 작은 구슬형태의 원을 연속한 모양)이 정교하게 음각되어 있다.

 

금동 장식판의 제작 양상을 정확히 확인하기 위한 3차원 컴퓨터 단층촬영(CT) 결과, 직사각형의 얇은 금동판이 두 번 접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테두리 끝 부분 2곳은 경첩의 연결고리 모양으로 돌출되어 있었는데, 이는 매우 드문 예이다. 이 장식판은 불교의식에 사용되는 장엄구의 장식판으로 추정되며, 금동번(幡,깃발)이나 번의 장식판일 가능성이 있다.

 

문화재청과 불교문화재연구소는 앞으로 흥전리사지에 대한 연차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전체 사역과 가람배치, 창건·폐사 시기, 유적의 성격 등을 보다 면밀히 밝힐 예정이다. 또한, 영동지역 인근의 사찰·절터와의 비교연구를 통해 삼척 지역의 불교문화를 이해하는 학술자료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글.사진 출처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