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기타/각종정보

전주 남고산성의 축조 내력을 밝히다- 전주 남고산성 발굴현장 일반공개 / 2016년4월 8일 오전 11시 -

노촌魯村 2016. 4. 7. 11:42

전주 남고산성의 축조 내력을 밝히다

- 전주 남고산성 발굴현장 일반공개 / 2016년48일 오전 11-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의 허가를 받아 ()전라문화유산연구원이 조사 중인 주 남고산성(사적 제294) 발굴조사 결과, 두 차례에 걸쳐 축조된 석축 성벽을 비롯하여 성벽 바깥쪽에 쌓은 1기의 치() 시설, 치 상단의 포루(砲樓)로 추정되는 건물터가 확인되었다.

* (): 적을 관측하고 방어할 수 있도록 성벽에 덧붙여 만든 시설물

 

남고산성은 전주시 남쪽의 고덕산에 자리한 석축 산성이다. 후백제를 세운 견훤이 쌓은 것으로 전해지며세종실록지리지등에도 기록이 남아 있다. 19세기 초에 성을 고쳐 쌓았고, 성 내부에 군사시설인 진()을 설치하면서 남고진(南固鎭)이라 하였으며, 이후 남고산성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번에 조사한 지역은 남고산성의 동포루지(樓址), 조사 결과 성벽은 단부와 하단부의 축조기법이 다르고, 일부 구간에 먼저 조성된 성벽구조가 확인되어 두 차례에 걸쳐 쌓은 것으로 밝혀졌다. 후대 것으로 추정되는 성벽 단부는 모양이 서로 다른 작은 석재로 축조하였고, 그에 앞서 조성된 하단부의 성벽은 장방형의 반듯한 큰 석재로 보다 정교하게 쌓았다.

 

성벽의 바깥쪽에 있었던 치()는 성벽을 쌓은 후 그에 덧대어 바깥쪽에 다듬은 돌과 흙을 이용해 장방형으로 쌓았다. 치 시설에는 주춧돌이 잘 남아 는데, 정면 3, 측면 1칸의 건물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형태와 위치 등으로 보아 누각 형태의 포루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출토된 유물은 조선 전기의 집선문(集線文)계 기와와 조선 후기의 수파문(水波文) 기와가 주를 이루는데, 이러한 유물의 출토 양상은 성벽이 조선 시대에 두 번에 걸쳐 축조되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 집선문(集線文): 직선이 가로, 세로, 대각선 방향으로 채워져 있는 무늬

* 수파문(水波文): 반원이 서로 중첩되어 있는 무늬. 물을 의미함

 

전주 남고산성 발굴성과는 2016년 4월 8일 오전 11시 발굴현장에서 일반에 공개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전라문화유산연구원(063-211-1444)으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 발굴현장: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산228번지 일원


<글.사진 출처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