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도산서원 '글 읽는 소리, 책 읽는 마음'
일시 : 2016년05월03일 - 2016년07월31일
장소 : 국립대구박물관 기획전시실2
강세황 <도산도>(보물 제522호), 『퇴계선생문집』목판(보물 제1895호) 등 130점 내외. 영남유학의 총본산인 도산서원을 건축, 출판물, 회화 등의 전시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도산서원에서 펼쳐진 교육과 문화 그리고 당시 사람들의 도산서원에 대한 인식 등을 재조명
퇴계 이황 초상화(이유태)
이황 표준 영정
현대. 1975
한국은행화폐박물관. 1000원 지폐에 사용된 이황의 표준 영정
이황이 만든 향약의 서문(조선 1556년.종이 국립중앙박물관)
1556년(명종 11) 이황이 예안에서 시행하기 위해 중국 송나라의 <여씨향약>을 본떠 만든 향약의 서문이다. 향약이란 조선시대에 권선징악과 상부사조를 목적으로 만든 향촌사회의 자치규약이다. 이황이 만든 향약은 총 28조항이다. 그는 <여씨향약>의 4대 조목 가운데 과실상규過失相規를 특히 중시하였다.
이황이 조목에게 보낸 편지 모음 책
조선. 종이. 한국국학진흥원. 도산서원운영위원회 기탁
안동 도산서원(安東 陶山書院.사적 제170호)
안동 도산서원(安東 陶山書院.사적 제170호.경북 안동시 도산면 도산서원길 154 (토계리))
도산서원은 퇴계 이황 선생이 도산서당을 짓고 유생을 교육하며 학문을 쌓던 곳이다.
퇴계 이황(1501∼1570) 선생은 주자학을 집대성한 유학자로 우리나라 유학의 길을 정립하면서 백운동서원의 운영, 도산서당의 설립으로 후진양성과 학문연구에 전력하였다. 중종, 명종, 선조의 지극한 존경을 받았으며 일본 유학의 부흥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도산서원은 조선 선조 7년(1574) 그의 학덕을 추모하는 문인과 유생들이 상덕사(보물 제211호)란 사당을 짓고 전교당(보물 제210호) 동·서재를 지어 서원으로 완성했으며, 선조 8년(1575) 국왕에게 이름을 받아 사액서원이 되면서 영남지방 유학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 서원의 건축물들은 민간인들의 집처럼 전체적으로 간결, 검소하게 꾸며 퇴계의 품격과 학문을 공부하는 선비의 자세를 잘 반영한 것이라 볼 수 있다.(출처:문화재청)
주차장에서 도산서원 들어가는 길
추로지향(鄒魯之鄕.공자의 77대손 공덕성박사가 도산서원 원장 재임시 쓴 글)
鄒魯之鄕
庚申十二月八日 敬詣陶山書院 拜退溪先生 講堂展仰遺規 益覺欽 刻石爲記 曲府孔德成
경신년 12월8일 공경희 삼가 도산서원에 나아가 퇴계선생 신위에 배알하고 강당에 올라 끼치신 원규를 읽고 흠모하는 마음 더욱 간절하여 이를 돌에 새겨 기록한다. 곡부 공덕성 쓰다
시사단(試士壇)
시사단은 도산서원 맞은편 강 건너 석축 위에 있는 비각이다. 1792년(정조 16) 정조가 규장각 각신(閣臣) 이만수(李晩秀)를 도산서원에 보내어 과시(科試)를 보인 곳이다. 정조의 제문으로 올리는 서원의 제향에는 7,228명의 선비가 참여하였다 하고, 과거 시험에 답안지를 낸 사람이 3,632명이었다고 한다. 정조는 그중에서 급제 2명, 진사 2명, 초시 7명을 뽑았다.
그것을 기념하기 위해 과제가 걸렸던 자리에는 단을 쌓고 비석을 세웠으며, 비문은 번암 채제공이 지었다. “도산(陶山) 물 양양(洋洋)히 흘러 그 위에 단(壇)이로다/ 단(壇)에 계급(階級)이 있고 물엔 연원(淵源)이 있나니/ 단(壇)에 오르고 물에 임(臨)함에 류(類)를 따라 뜻을 펴노니 /선생(先生)의 덕화(德化)요 임금님의 은혜이다.” 안동댐이 건설되면서 시사단이 물에 묻힐 처지가 되자 단을 더 올려 수면 위로 솟게 하여 오늘에 이른다.(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열정(冽井)
도산서당 : 도산서원은 크게 도산서당과 서원의 구역으로 나뉠 수 있는데 서당은 퇴계 이황 생전에 생전에 유생들을 모아 교육하던 곳으로 도산서원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며, 선생의 실천적 학문과 검소함이 잘 나타나 있다. 도산서당, 농운정사, 역락서재가 도산서당의 구역이다.
몽천(蒙泉)
농운정사(隴雲精舍)
농운정사는 학생들이 기숙하며 공부할 수 있는 공간으로 설계되었다. 이 집이 ‘공(工)’자 모양을 갖추고 있는 것은 학생들의 공부가 성취되기를 바라는 염원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공(工)’자가 옆으로 누워 있는 형상으로, 동쪽의 도산서당 쪽에서 서쪽을 바라보고 쓴 글씨인 것이다.
‘공(工)’자 모양의 아래쪽 일선, 그러니까 도산서당 쪽 일선에는 남쪽으로 튀어나온 부분에 작은 사각 마루방이 마련되어 있는데, 그곳이 시습재이다. 그 반대쪽인 위쪽 일선의 남쪽으로 자리 잡은 마루방은 관란헌이다. 이곳에서는 전에 낙강의 굽어 도는 물줄기가 잘 보였다고 한다. 오늘날은 호수로 바뀌어 옛날 정취를 느낄 수는 없다. 중앙에 일선으로 내려 그는 것은 지숙요이다. 이곳은 주로 서당에 공부하러 온 학생들 중에서 나이 많은 축이 머물렀다고 한다. 1561년 완성되었다.(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진도문(進道門)
광명실(光明室)
안동 도산서원 전교당(安東 陶山書院 典敎堂.보물 제210호.경북 안동시 도산면 도산서원길 154 (토계리))
서원이란 훌륭한 사람들에게 제사지내고 유학을 공부하던 조선시대 사립교육기관을 말한다. 도산서원은 퇴계 이황(1501∼1570)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처음 세웠다. 그 중 전교당은 유생들의 자기수양과 자제들의 교육을 하는 강당으로서, 전교당의 앞 마당 좌우에는 유생들이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가 자리하고 있다.
이 전교당은 조선 선조 7년(1574)에 지은 것을 1969년에 보수한 것이며 규모는 앞면 4칸·옆면 2칸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보았을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의 화려한 팔작지붕이고 온돌방과 대청마루로 이루어져 있다.
매우 간소하게 지은 건물로 선조가 서원에 내려준 ‘도산서원’이라는 현판 글씨는 명필 한석봉이 임금님 앞에서 쓴 글씨라고 전한다. (출처:문화재청)
유생들이 기숙사인 동재
유생들이 기숙사인 서재
안동 도산서원 상덕사 및 삼문 (安東 陶山書院 尙德祠 및 三門.보물 제211호.경북 안동시 도산면 도산서원길 154 (토계리))
서원이란 훌륭한 사람들에게 제사지내고 유학을 공부하던 조선시대 사립교육기관을 말한다. 도산서원은 퇴계 이황(1501∼1570)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처음 세웠다.
이황 선생은 조선 중기의 유명한 문신으로 여러 벼슬을 두루 거치고 평생을 학문 연구와 제자 양성에 힘쓴 분이다.
도산서원 제일 뒤쪽에 있는 상덕사는 이황 선생의 신주를 모신 사당이다. 조선 선조 7년(1574)에 지었고 지금 있는 건물은 1969년 수리한 것이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2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상덕사를 드나드는 정문은 앞면 3칸·옆면 2칸 크기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문은 상덕사를 지을 때 같이 지은 것으로 앞면 기둥은 계단 높낮이때문에 다른 기둥보다 길이가 길다. 정문 양옆으로 사당 주위를 둘렀던 토담은 1969년 보수공사 때 돌담장으로 모두 바꾸었다.
간결하고 매우 검소하게 지은 전통 깊은 조선시대 건축물이다(출처:문화재청)
사진 출처:문화재청
사진 출처:문화재청
전사청(典祀廳)
고직사(庫直舍)
옥진각(玉振閣) : 도산서원 경내에 위치하고 있는 옥진각은 퇴계 이황 선생의 유물전시관이다. 옥진각은 ‘집대성 금성옥진(集大成金聲玉振)’의 줄임말로 ‘집대성했다는 것은 금소리에 옥소리를 떨친 것이다’ 라는 뜻이 담겨 있다.
유물 전시관은 1970년에 보수를 할 때 지은 건물로서 퇴계 이황 선생의 유품인 지리, 베개 등의 실내비품과 매화연 옥서진 등의 문방구, 청려장, 매화등, 투호, 혼천의 등이 소장되어 있다.
'대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객 김광석' 홀로그램으로 다시 태어나 (0) | 2016.06.20 |
---|---|
화원 까치봉 트레킹 trekking (0) | 2016.06.11 |
대구 북구 노곡동 하중도 유채(油菜)단지 개방 (0) | 2016.04.16 |
2016 특별전시-금속상감, 기술로 예술을 새기다(5) (0) | 2016.04.05 |
2016 특별전시-금속상감, 기술로 예술을 새기다(4) (0) | 2016.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