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기타/각종정보

주미대한제국공사관, 113년 만에 태극기 게양

노촌魯村 2018. 5. 15. 22:04

주미대한제국공사관, 113년 만에 태극기 게양

- 복원공사 마치고 개설 130주년 기념 개관식 / 미국 워싱턴 D.C. 2018.5.22. -

 

문화재청(청장 김종진)2012년 매입한 미국 워싱턴 D.C. 주미대한제국공사관(이하 공사관’) 건물의 복원공사를 모두 마치고, 2018년 522일 오전 1030(미국 동부 현지 시각) 워싱턴 D.C.에서 개관식을 개최한다. 개관식 날짜는 1882522일 맺은 조미수호통상조약날짜에 맞췄다.

 

초 공사관 건물은 1877년 미국 남북전쟁 참전군인 출신 정치인이자, 외교관인 세스 펠프스(Seth L. Phelps)의 저택으로 건립되었던 것으로, 1882년 미국과 수교한 조선은 18892월 이곳에 주미공관을 설치하였다. 이후 1893년 개최된 시카고박람회 참가 준비 등 16년간 활발한 외교활동의 중심 무대로 쓰였으나, 190511 대한제국이 을사늑약으로 일제에 외교권을 빼앗기면서 공사관의 역할도 멈췄으며, 1910년 한일강제병합 직후에는 소유권마저 일제에 단돈 5달러에 넘겨지고 말았다.

 

이후 공사관 건물은 제2차 세계대전 기간 중 아프리카계 군인들의 휴양시설과 화물운수노조 사무실, 그리고 개인주택 등으로 사용되었고, 이 사실이 알려지면서 2003년 이민 100주년을 계기로 한때 재미교포사회에서 공사관 매입 움직임이 있었으나 성사가 되지는 못했다. 이에 문화재청은 정부차원의 매입 필요성을 느끼고 문화유산국민신탁을 통해 전() 소유자(젠킨스 부부)와 협상해 201210월 매매가 이루어지면서 일제에 공사관을 빼앗긴 지 102년 만에 다시 소유권을 되찾아왔다.

 

문화재청은 공사관 매입 이후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사장 지건길, 이하 재단’) 위탁관리자로 지정(2013.1.)해 정밀실측조사를 마쳤고(2013.11.), 국내외 각종 문헌과 사진자료 등을 바탕으로 보수·복원 공사를 하여 지난 312일 최종 준공하였다.

 

공사관은 조선 후기 동북아시아의 구질서를 극복하고, 더 큰 외교적 지평을 열고자 했던 고종의 자강자주외교 정신을 상징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현존하는 대한제외교공관을 통틀어 유일하게 원형을 간직한 단독건물이란 점에서 문화재적 가치도 매우 크다. 그뿐만 아니라 미국 워싱턴 D.C. 안에 있던 19세기 외교공관 30여개 가운데 내외부의 원형이 남아 있는 유일한 건물로 확인되어, 미국의 외교사적 측면에서도 역사적 가치가 매우 크다.

 

문화재청은 오는 2018년 522일 오전 1030(동부시각) 공사관이 있는 로건서클 역사지구(Logan Circle Historic District) 내 공원에서 김종진 문화재청장, 주미한국대사관 관계자, 미국 정부·의회 인사, 1882년 당시 공관원들(박정양, 이상재, 장봉환)의 후손, 재미교포 대표, 현지주민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공사관 개관식 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1905년 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을 박탈당한 이후 113년 만에 국기를 게양하는 행사가 특별히 마련되었다. 게양자로는 독립유공자이자, 초대 공관원이었던 월남 이상재 선생의 증손이 직접 맡기로 했다.

 

현재 공사관 1~2층은 국내외에서 발굴된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각종 문헌과 사진자료 등을 바탕으로 복원·재현하였으며, 특히, 이번 복원 작업에서 1943훼손된 천장과 계단실을 원래 상태로 복원하였다. 이와 함께 복원과정에서 발굴된 수행인용 계단의 흔적을 그대로 남겨 당시 생활상을 엿볼 수 있게 했다. 3전시관에는 한미관계사 등이 전시패널과 영상자료를 통해 전시된다. 또한, 건물 주차장으로 사용되어 오던 외부공간은 꽃담, 불로문(不老門), 박석(薄石) 등을 설치해 과거의 건물을 현재적 관점에 맞춰 한국정원으로 꾸며, ‘미국 속의 한국이라는 공간적 의미를 재해석하여 한국적인 멋과 문화를 느낄 수 있는 장소로 새롭게 조성했다.

* 불로문(不老門): 왕의 장수를 위해 세운 돌문

* 박석(薄石): 통행 등을 이유로 얇고 넓은 돌을 길에 깔아둔 것

 

공사관은 월요일을 제외하고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일반인에게 공개되며 관람료는 무료이다. 영어와 한국어가 모두 가능한 안내 해설사가 배치되고 인터넷 사전 예약(www.oldkoreanlegation.org)과 현장 접수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외에도 임금이 계신 궁을 향해 예를 올리는 망궐례(望闕禮) 재현 행사, 로건 서클 역사지구 관람, 외교사 탐방로 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운영되어 한국의 역사와 전통문화를 체험하고 한미 간 우호증진에도 이바지하도록 할 계획이다.

건 물 개 요


                                □ 명 칭 : 주미대한제국공사관(Old Korean Legation in Washington D.C.)

소 재 지 : 1500 13th ST NW, Washington, D.C. 20005

소 유 자 : 문화재청

관리단체 : 국외소재문화재재단

건 립 : 1877(설계 : 토머스 플라우만 Thomas M. Plowman)

재 질 : 벽돌조, 목조 바닥

양 식 : 미국 빅토리안양식

규 모 : 지상 3, 지하 1(건축면적 150.98, 연면적 578.83)

의 의 : 고종의 자강자주외교 상징, 현존 조선왕조대한제국 공사관 중 원형을 간직한 유일한 단독건물

    

주요 연혁 및 추진 경과


1882.5.22. :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제물포 화도진)

1887.8.18. : 초대공사 박정양 임명(미국 샌프란시스코도착 : 1888.01.01.)

1888.1.17. : 박정양 공사, 클리블랜드 대통령에 국서전달

1888.1.19. : 1차 공사관 개설(워싱턴 D.C. Fisher House)

1889.2.13. : 2차 공사관 개설(워싱턴 D.C. 아이오와서클, 로건서클 공사관)

1891.12.01. : 고종, 공사관 건물 매입($25)

1893.5.10. : 조선왕조, 시카고 만국박람회 참가

1897.10.12. : 대한제국 선포

1898.4.07. : 공사관 건물 3층 일부 화재

1905.11.17. : 을사늑약 강제로 외교권박탈(대한제국공사관 기능 중단)

1910.9.01. : 일본 강제매입($5) 후 미국인에 매각($10)

1945.8.15. : 광복

1940~1960년대 : 아프리카계 미군 휴양시설, 화물운수노조 사무소로 사용

1972.6.16. : 국립공원관리청, 로건서클 역사지구(Historic District)’ 지정

1977.: 젠킨스 부부(Timothy L. Jenkins, Lauretta Jenkins) 거주

2012.10.18. : 문화재청 매입($350, 395천만원, 젠킨스 부부문화재청)

2013.1.31. : 건물 관리 위탁(문화재청국외소재문화재재단)

2013.4.2013.11. : 건물 정밀실측(건축사무소 강희재)

2013.12.2017.12. : 건물 복원 및 리모델링 설계 / 공사 시행

2018.3.12. : 건물 준공 승인(DCRA)


<출처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