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 선유도 망주봉 일원」 명승 지정 |
문화재청(청장 김종진)은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에 있는 「군산 선유도 망주봉 일원(群山 仙遊島 望主峰 一圓)」을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제113호로 지정하였다.
군산 앞바다의 총 63개의 크고 작은 섬(유인도 16개, 무인도 47개)을 고군산군도라 하는데, 「군산 선유도 망주봉 일원」은 그 중 가장 아름다워 신선이 놀았다하여 부르게 된 선유도(仙遊島, 舊군산도)에 자리한다.
망주봉은 옛날 억울하게 유배된 한 충신이 북쪽을 바라보며 임금을 그리워했다는 유래가 유명하며, 하늘과 바다가 모두 붉은 색조로 변하는 ‘선유낙조’를 볼 수 있는 탁월한 장소이기도 하다. 망주봉에서 바라본 선유낙조는 서해의 낙조기관(落照奇觀) 중 으뜸이며, 360도 사방의 조망지점을 갖고 있어 여타의 명소와는 차별화되는 독보적인 가치가 있다.
2001년 문화재청의 「명승 자원 조사보고서 전라북도편」에 따르면 선유도에는 선유8경이 있으며 망주봉에서 6경을 모두 감상할 수 있다. 망주봉과 마주하는 솔섬에서는 많은 비가 내리면 망주봉 정상에서 암벽을 타고 흐르는 폭포의 절경을 바라볼 수 있어 경관적 보존가치가 높은 곳이다.
* 선유도 8경 중 6경: 망주봉, 선유낙조, 삼도귀범(앞산섬, 주산섬, 장구섬의 세섬이 귀향하는 범선을 닮음), 명사십리(선유도 해수욕장 모래사장), 무산12봉(12개 봉우리가 마치 여러 무사들이 서 있는 모습), 평사낙안(기러기가 땅에 내려앉은 형상) / 나머지 2경은 장자어화(장자도), 월영대(신시도)
또한, 송나라 사신으로 고려에 왔던 서긍이 편찬한 『선화봉사 고려도경』에 따르면 망주봉에는 바다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오룡묘가 있고, 송나라 사신을 영접하던 숭산행궁(객관)을 비롯하여 군산 선유도 고려유적(전라북도 기념물 제135호, 2017.4.7. 지정)과 군산정(정자), 자복사(사찰)의 터가 남아 있어 역사적 보존가치 또한 높다고 하겠다.
문화재청은 관리단체인 전라북도 군산시와 협력하여 「군산 선유도 망주봉 일원」의 역사유적과 경관적․예술적 가치를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시행해 나아갈 예정이다.
명승 지정 개요 |
□ 지정명칭: 군산 선유도 망주봉 일원
ㅇ 한문: 群山 仙遊島 望主峰 一圓
ㅇ 영문: MangJubong Peak and Surroundings in Seonyudo Island, Gunsan
□ 지정종별: 명승 제113호
□ 소 재 지: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선유도리 산23-1번지 등
□ 문화재구역: 172,760㎡(71필지)
ㅇ 문화재지정구역 : 152,915㎡(44필지), 문화재보호구역 : 19,845㎡(27필지)
□ 관리단체: 전라북도 군산시
□ 지정가치
ㅇ 군산 앞바다의 총 63개의 크고 작은 섬(유인도 16개, 무인도 47개)을 고군산군도라 하는데 그 중 섬의 경치가 가장 아름다워 신선이 놀았다하여 부르게 된 선유도(舊 군산도)의 망주봉에서 바라본 선유낙조는 하늘과 바다가 모두 붉은 색조로 변하여 서해의 낙조기관(落照奇觀) 중 으뜸으로 저명한 경관을 형성하여 명승적 가치가 높음.
ㅇ 북쪽을 바라보며 임금을 그리워했다는 유래가 있는 망주봉은 선유 8경 중 6경을 감상할 수 있는 조망점이며, 망주봉과 마주하는 솔섬에서는 많은 비가 내리면 망주봉 정상에서 암벽을 타고 흐르는 폭포의 절경을 바라볼 수 있어 문화재적 보존가치가 높은 곳임.
ㅇ 송나라 사신으로 고려에 왔던 서긍이 편찬한「선화봉사 고려도경」에 따르면 망주봉에는 바다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오룡묘」(군산시 향토문화유산 제19호)가 있고, 송나라 사신을 영접 행사하던 숭산행궁(객관), 「군산 선유도 고려유적」(전라북도 기념물 제135호, 지정 2017.4.7.)과 군산정(정자), 자복사(사찰)의 터가 남아 있어 역사적 보존가치가 높음
<출처 : 문화재청>
'기타 > 각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주 반구대 암각화 주변서 새로운 형태의 4족 보행 척추동물 발자국 화석 발견 (0) | 2018.06.05 |
---|---|
「속초 신흥사 극락보전」 보물 지정 (0) | 2018.06.04 |
<조선왕조 궁중현판>, <만인의 청원, 만인소>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 지역목록 등재 (0) | 2018.05.31 |
부여 능안골 고분군에서 백제 귀족층 무덤과 매장행위 확인 (0) | 2018.05.28 |
울주 반구대 암각화 주변서 공룡발자국 화석 30점 확인 (0) | 2018.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