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 수악주둔소」등 2건 문화재 등록, 「도산 안창호 일기」등 3건 문화재 등록 예고 |
문화재청(청장 김종진)은 「제주 4·3 수악주둔소」 및 「운강선생유고 및 부록」을 문화재로 등록하고, 「도산 안창호 일기」를 포함한 총 3건은 문화재로 등록 예고하였다.
이번에 등록이 결정된 문화재는 우리의 아픈 역사인 4‧3사건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제주 4·3 수악주둔소」와 항일독립 문화유산인 「운강선생유고 및 부록(雲岡先生遺稿 및 附錄)」 등 2건이다.
등록문화재 제716호 「제주 4‧3 수악주둔소」는 해방 이후 정부 수립과 한국전쟁 당시 정치적, 사회적 혼란기 속에서 한국 현대사의 주요 사건이었던 제주 4‧3사건의 역사성과 지역성을 간직한 유적이다.
무장대 토벌을 위해 당시 만들어졌던 많은 주둔소 중에서도 규모가 크고, 건축적인 면에서 형식‧구조도 독특하며 보존상태도 양호하다. 제주 4‧3사건의 흔적이 대부분 사라지고 현존 유적도 극소수인 상태에서 제주 4‧3사건을 재조명하고 그것으로부터 교훈을 얻기 위한 역사적 현장으로서 상징적 의미가 있다.
등록문화재 제717호 「운강선생유고 및 부록(雲岡先生遺稿 및 附錄)」은 구한말 대표적인 항일 의병장인 운강 이강년(雲岡 李康秊, 1858~1908)이 1908년 서대문형무소에서 순국한 후 제천지역 의병들이 그가 남긴 글과 의병활동 내용을 기록한 필사본 3책이다. 운강 이강년이 지은 시문과 글을 필사한 유고 1권과 그의 의병활동 등을 적은 부록 3권의 총 3책으로 구성되었다.
운강 이강년은 명성황후 시해 사건이 일어난 다음 해인 1896년, 고향인 경상북도 문경에서 의병을 일으켜 충청북도 제천 등지에서 활동하였고, 군대 해산 후 의병을 재건하여 충청도와 강원도의 산악지대를 넘나들며 일본군을 상대로 군사 활동을 전개하다 붙잡혀 1908년 10월 13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한편, 이번에 등록 예고된 문화재는 항일독립 문화유산인 「도산 안창호 일기」, 「관동창의록(關東倡義錄)」과 한국전쟁 이후 건립된 관공서 건물인 「파주 구 교하면사무소」 등 총 3건이다.
「도산 안창호 일기」는 도산 안창호(島山 安昌浩, 1878∼1938)가 1919년 3·1운동 이후 중국 상해로 건너가 상해임시정부 내무총장 겸 국무총리 대리 등으로 역임하던 시기의 활동을 기록한 일기다. 1920년 1월 14일부터 8월 20일까지, 1921년 2월 3일부터 3월 2일까지 약 8개월의 기록으로, 임시정부에서 사용하던 것과 같은 용지에 썼으며 3책으로 되어있다. 이 일기는 임시정부에서 활동한 인물이 기록한 당시의 일기 중에서 공개된 것으로는 유일하며, 안창호가 직접 쓰지는 않은 것으로 보이나 임시정부 초창기의 활동과 조직운영, 참여인사들의 면모 등을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에 등록 예고하는 일기는 안창호의 유족들이 보관하고 있다가 1985년 독립기념관에 기증하였다. 정부에서는 안창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관동창의록(關東倡義錄)」은 1895년부터 1896년까지 강원도 강릉을 중심으로 북으로는 함경도와 남으로는 경상북도 일대에서 활동한 의병장 민용호(閔龍鎬, 1869~1922)의 의병항전 사실을 기록해 놓은 일기와 서한 등이 수록된 자료로, 필사본 2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의 상권에는 1895년 8월 명성황후 시해사건 직후 경기도 여주에서 의병을 일으킨 때부터 1896년 2월까지, 하권에는 1896년 3월부터 같은 해 11월 의병 해산 후 중국 망명 초기까지의 활동 내용을 비롯하여 국가 변란을 탄식하며 국권회복을 주장하는 장편의 국한혼용 가사가 담겨 있다.
「관동창의록」은 강원도와 함경도 일대에서 전개한 의병항쟁사의 귀중한 원초적 사료로 평가받고 있으며, 정부에서는 민용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한편 「파주 구 교하면사무소」는 한국전쟁 이후인 1957년에 건립된 관공서 건물로서 외벽에 석재를 이용하여 마감한 건축방법 등은 당시의 건축적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정면 현관 상부를 봉황과 무궁화 문양으로 장식 처리한 특징을 보인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등록된 2건의 등록문화재를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소유자(관리자) 등과 협력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활용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이번에 등록을 예고한「도산 안창호 일기」 등 3건은 30일간의 등록 예고 기간 중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등록할 예정이다.
문화재 등록 개요 |
1. (등록) 제주 4‧3 수악주둔소
□ 문화재명: 제주 4‧3 수악주둔소
□ 종 별: 등록문화재 제716호
□ 소 재 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신례리 산5번지
□ 제작연대: 1950년
□ 면 적: 약 1,920㎡ * 석성 길이 약 271m
□ 소 유 자: 산림청
□ 등록 사유
ㅇ 해방 이후 정부수립 및 한국전쟁 당시 정치적, 사회적 혼란기 속에서 한국 근대사의 주요 사건이었던 제주 4․3사건의 역사성과 지역성을 지닌 대표적 유적으로, 무장대 토벌을 위해 당시 만들어졌던 많은 주둔소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크고, 건축적인 면에서 형식‧구조도 독특하며 보존상태도 양호하다. 제주 4․3사건의 흔적이 대부분 사라지고 현존 유적도 극소수인 상태에서 제주 4․3사건을 재조명하고 그것으로부터 교훈을 얻기 위한 역사적 현장유구로서 상징적 의미가 있다.
2. (등록) 운강선생유고 및 부록(雲岡先生遺稿 및 附錄)
□ 문화재명: 운강선생유고 및 부록(雲岡先生遺稿 및 附錄)
□ 종 별: 등록문화재 제717호
□ 소 재 지: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의암로 566-7 제천의병전시관
□ 제작연대: 1939년 이후
□ 수 량: 3책(유고 1권, 부록 3권)
□ 소 유 자: 제천의병전시관
□ 등록 사유
ㅇ 「운강선생유고 및 부록(雲岡先生遺稿 및 附錄)」은 구한말 대표적인 항일 의병장인 운강 이강년(雲岡 李康秊, 1858-1908)이 남긴 시문 등이 포함된 유고 1권과, 사후 제천지역 의병들이 그의 의병활동 등을 기록한 부록 3권으로 구성된 필사본 3책이다. 이강년은 을미사변 시 고향인 경상북도 문경에서 창의(倡義, 의병을 일으킴)하여 충청북도 제천 등지에서 의병활동을 벌였고, 군대해산 후 의병을 재건하여 충청도와 강원도의 산악지대를 넘나들며 일본군을 상대로 군사 활동을 전개하다 붙잡혀 1908년 10월 13일 서대문감옥에서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문화재 등록 예고 개요 |
1. (등록예고) 도산 안창호 일기
□ 문화재명: 도산 안창호 일기
□ 종 별: 등록문화재
□ 소 재 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삼방로 95 독립기념관
□ 제작연대: 1920~1921년
□ 수 량: 3책(27.5×20.0㎝)
□ 소 유 자: 독립기념관
□ 등록 사유
ㅇ 「도산 안창호 일기」는 도산 안창호(島山 安昌浩, 1878∼1938)가 1919년 3·1운동 이후 중국 상해로 건너가 상해임시정부 내무총장 겸 국무총리 대리 등으로 역임하던 시기의 활동을 기록한 일기다. 시기적으로는 1920년 1월 14일부터 8월 20일까지, 1921년 2월 3일부터 3월 2일까지 약 8개월 분량으로, 당시 임시정부에서 사용하던 것과 같은 용지에 썼으며 3책으로 되어있다.
이 일기는 임시정부에서 활동한 인물이 기록한 당시의 일기 중에서 공개된 것으로는 유일하며, 안창호가 직접 쓰지는 않은 것으로 보이나 임시정부 초창기의 활동과 조직운영 및 참여인사들의 면모 등을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에 등록 예고하는 일기는 안창호의 유족들이 보관하고 있다가 1985년 독립기념관에 기증하였다. 정부에서는 안창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2. (등록예고) 관동창의록(關東倡義錄)
□ 문화재명: 관동창의록(關東倡義錄)
□ 종 별: 등록문화재
□ 소 재 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삼방로 95 독립기념관
□ 제작연대: 1897년~1900년대 초기
□ 수 량: 2책(20.0×17.7cm)
□ 소 유 자: 독립기념관
□ 등록 사유
ㅇ 「관동창의록(關東倡義錄)」는 1895년부터 1896년까지 강원도 강릉을 중심으로 북으로는 함경도와 남으로는 경상북도 일대에서 활동한 의병장 민용호(閔龍鎬, 1869~1922)의 의병항전 사실을 기록해 놓은 일기와 서한 등이 수록된 자료로, 필사본 2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의 상권에는 1895년 8월 명성황후 시해사건 직후 경기도 여주에서 의병을 일으킨 때부터 1896년 2월까지, 하권에는 1896년 3월부터 같은 해 11월 의병 해산 후 중국 망명 초기까지의 활동 내용을 비롯하여 국가 변란을 탄식하며 국권회복을 주장하는 장편의 국한혼용 가사가 담겨 있다. 관동창의록은 강원도와 함경도 일대에서 전개한 의병항쟁사의 귀중한 원초적 사료로 평가받고 있으며, 정부에서는 민용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3. (등록예고) 파주 구 교하면사무소
□ 문화재명: 파주 구 교하면사무소
□ 종 별: 등록문화재
□ 소 재 지: 경기도 파주시 교하로 1401
□ 제작연대: 1957년
□ 면 적: 1동, 건축면적 693.04㎡, 연면적 1,203.56㎡
* 추후 실측 통해 면적 조정(증축 면적 제외)
□ 소 유 자: 파주시
□ 등록 사유
ㅇ 한국전쟁 이후인 1957년에 건립된 관공서 건물로서 외벽에 석재를 이용하여 마감한 건축방법 등은 당시의 건축적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정면 현관 상부를 동물문양과 무궁화 문양으로 장식 처리한 것이 특징적이다.
<출처 : 문화재청>
'기타 > 각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 군산세관 본관」사적 지정 예고, 「칠곡 왜관성당」등 5건 문화재 등록 예고 (0) | 2018.06.22 |
---|---|
익산 미륵사지 석탑, 20년 만에 수리 완료 (0) | 2018.06.21 |
금호강에서 발견된 고대인의 삶과 죽음 -「금호강과 길」특별전 개최 (2018.6.19.~9.30. / 국립대구박물관) - (0) | 2018.06.17 |
울주 반구대 암각화 주변서 새로운 형태의 4족 보행 척추동물 발자국 화석 발견 (0) | 2018.06.05 |
「속초 신흥사 극락보전」 보물 지정 (0) | 2018.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