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경주/경주인근자료

전 홍유후설총묘 (傳 弘儒侯薛聰墓)

노촌魯村 2020. 2. 7. 21:21


전 홍유후설총묘 (傳 弘儒侯薛聰墓. 경상북도 기념물 제130호. 경북 경주시 보문동 423번지)

신라 경덕왕 때의 학자인 설총의 묘이다. 
아버지는 원효이고 어머니는 요석공주이며 출생시기는 태종무열왕대인 654∼660년 사이로 짐작된다. 나면서부터 재주가 많았고, 경사에 널리 능통하였다고 한다. 신라 유학의 종주가 되었으며, 후에 강수·최치원과 함께 신라의 3대 문장가로 꼽혔다.
그가 이두를 창제했다고도 하나, 그가 생존하기 전인 진평왕 때의『서동요』, 선덕여왕 때의『풍요』등이 이두로 기록되어 있는 점으로 보아 그가 창제한 것이 아니라 집대성한 것으로 보인다. 설총은 6경을 읽고 새기는 방법을 발명하여 한문을 국어화하였으며, 유학 등 한학의 연구를 발전시키는 데도 공헌하였다. 또 신문왕 때의 국학 설립에 주동적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보문동 한복판 인가에 둘러 싸여 있는 묘에는 비문과 비석은 없으나, 예로부터 진평왕릉의 동쪽 보문리에 있다고 전해져 왔다. 최근에 그 앞에 상석이 하나 놓여졌으며 보존은 잘 되어 있는 편이다.(출처 : 문화재청)


원효가 파계승이라는 꼬리표를 달면서까지 후사를 보고 싶어 한 것은 신라의 대문장가 설총을 낳으려고 그랬던 것은 아닐까.
삼국유사 속 ‘몰가부 설화’에서는 원효와 요석공주의 인연과 설총을 낳기까지의 과정이 그려져 있다.
“하루는 원효가 거리를 다니며 큰 소리로 노래를 불렀다.
”누가 자루 빠진 도끼를 주려는가, 내가 하늘을 받칠 기둥을 자르고자 하는데.“
노랫소리를 들은 태종무열왕은 원효의 깊은 뜻을 헤아렸다.
스님이 부인을 얻어 현자를 낳겠다는 뜻일 거라 생각한 왕은 요석궁에서 과부로 지내는 공주를 떠올렸다.
왕의 의중을 파악한 원효는 남산에서 내려오다 월정교를 건너며 일부러 물에 빠져 버렸다.
옷을 말린다는 명목으로 요석궁에 들어간 원효는 요석공주와 연을 맺었고, 설총을 낳게 되었다.
설총은 총명했다.
어려서부터 경전과 역사를 깨우쳤고 문장 솜씨가 남달랐다.
그의 아버지 원효가 신라 불교사에 한 획을 그었다면, 신라 유교사에 커다란 족적을 남긴 이는 설총이었다.
신라의 10현인으로 추앙받았고, 강수, 최치원과 함께 3대 문장가로 이름을 떨쳤다.
그의 문장 솜씨를 알 수 있는 유일한 유문으로 ‘화왕계’가 있다.
또, 그의 주요한 업적 중 하나로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우리말을 기록하던 표기법인 ‘이두’를 집대성한 것을 빼놓을 수 없다.
수많은 업적을 남긴 설총은 남촌마을 내의 야트막한 언덕에 잠들어 있다고 전해진다.
설총묘 앞에 붙은 홍유후라는 명칭은 고려시대 현종이 설총에게 추증한 시호이다.(출처 : 경주시청)